여전히 부정한 인생임에도 불구하고

[학개 2장 10절~23절]
10절 - 다리오 왕 제이년 아홉째 달 이십사일에 여호와의 말씀이 선지자 학개에게 임하니라 이르시되
11절 -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니 너는 제사장에게 율법에 대하여 물어 이르기를
12절 - 사람이 옷자락에 거룩한 고기를 쌌는데 그 옷자락이 만일 떡에나 국에나 포도주에나 기름에나 다른 음식물에 닿았으면 그것이 성물이 되겠느냐 하라 학개가 물으매 제사장들이 대답하여 이르되 아니니라 하는지라
13절 - 학개가 이르되 시체를 만져서 부정하여진 자가 만일 그것들 가운데 하나를 만지면 그것이 부정하겠느냐 하니 제사장들이 대답하여 이르되 부정하리라 하더라
14절 - 이에 학개가 대답하여 이르되 여호와의 말씀에 내 앞에서 이 백성이 그러하고 이 나라가 그러하고 그들의 손의 모든 일도 그러하고 그들이 거기에서 드리는 것도 부정하니라
15절 - 이제 원하건대 너희는 오늘부터 이전 곧 여호와의 전에 돌이 돌 위에 놓이지 아니하였던 때를 기억하라
16절 - 그 때에는 이십 고르 곡식 더미에 이른즉 십 고르뿐이었고 포도즙 틀에 오십 고르를 길으러 이른즉 이십 고르뿐이었었느니라
17절 -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내가 너희 손으로 지은 모든 일에 곡식을 마르게 하는 재앙과 깜부기 재앙과 우박으로 쳤으나 너희가 내게로 돌이키지 아니하였느니라
18절 - 너희는 오늘 이전을 기억하라 아홉째 달 이십사일 곧 여호와의 성전 지대를 쌓던 날부터 기억하여 보라
19절 - 곡식 종자가 아직도 창고에 있느냐 포도나무, 무화과나무, 석류나무, 감람나무에 열매가 맺지 못하였느니라 그러나 오늘부터는 내가 너희에게 복을 주리라
20절 - 그 달 이십사일에 여호와의 말씀이 다시 학개에게 임하니라 이르시되
21절 - 너는 유다 총독 스룹바벨에게 말하여 이르라 내가 하늘과 땅을 진동시킬 것이요
22절 - 여러 왕국들의 보좌를 엎을 것이요 여러 나라의 세력을 멸할 것이요 그 병거들과 그 탄 자를 엎드러뜨리리니 말과 그 탄 자가 각각 그의 동료의 칼에 엎드러지리라
23절 -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스알디엘의 아들 내 종 스룹바벨아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 날에 내가 너를 세우고 너를 인장으로 삼으리니 이는 내가 너를 택하였음이니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하시니라

* 주제별 목록 작성
하나님의 말씀
12절 : 율법에 대한 질문 / 부정한 자가 만지면 부정함
14절 : 백성들의 상태를 알리심
15절 : 성전 쌓기 전 추억 - 돌이키지 않음(17절)
18절 : 성전 쌓던 날 추억 - 복 주심을 약속(19절)

* 도움말
1. 9월 24일(10절) : 9월은 2모작을 하는 이스라엘이 곡물을 파종하는 때로서 비가 꼭 필요한 시기이다. 본문은 그들이 지금까지 농업의 성과를 얻지 못했음을 상기시키는데 그 직접적인 원인은 비가 오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2. 거룩한 고기(12절) : 하나님께 드려질 희생 제물 혹은 제사장의 몫으로 주어진 제물을 뜻한다.
3. 스룹바벨(21절) : ‘바벨론의 씨’라는 뜻이다. 이 사람은 바벨론 포로 생활을 했던 이스라엘 백성들을 상징하기도 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기도 하는 인물이다.
4. 인(23절) : 주로 왕의 인장반지 혹은 그 반지의 인을 뜻한다고 해석된다. 이 반지 혹은 이 반지의 인은 곧 왕권을 발휘하는 힘이 있다.

* 말씀묵상
본문의 말씀은 하나님의 무한하신 자비로우심과 그의 자녀들을 향한 불타는 열심을 보여 줍니다. 그들은 성전을 재건하기로 작정하기 전과 다름없이 여전히 부정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들이 성전으로서의 인생을 재건하기로 작정한 것 자체를 높이 평가하셨으며 이 사실을 인하여 그들에게 복을 주시기로 작정하셨습니다.

1. 성전과 부정
아무리 초라한 성전이라도 여호와의 신이 임하시면 영화롭게 될 수 있는(학 2:4-9) 반면에 아무리 거룩한 성물일지라도 부정한 것에 접촉되면 역시 부정하게 되어 버립니다. 우리의 인생도 외양적으로는 아무리 초라하고 비참할지라도 하나님의 임재 속에서 살아간다면 아름다운 인생을 가꿀 수 있는 반면에, 예수님을 믿는다 할지라도 부정한 생각과 부정한 일들 속에서 살아간다면 여전히 부정함을 면치 못할 것입니다. 이 말씀은 우리가 거룩하게 되느냐 부정하게 되느냐는 우리가 접촉하는 것, 우리가 마음속에 품고 있는 것들로 결정된다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성전으로서의 인생을 살기로 작정한 이후에도 여전히 부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각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2. 하나님의 은혜
본문에 비추어 볼 때 그들이 은혜를 얻은 것은 그들의 삶이 변화했기 때문이 아니라 단지 성전이 재건되었다는 사실 때문이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누릴 수 있는 이유도 오직 성전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때문입니다(요 2:19-21).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인하여 우리는 하나님께 은혜를 얻을 담대한 소망을 품을 수 있습니다. 비가 내려야 할 때 마침내 비가 내려 그 땅의 메마름과 황폐함이 해소되고 그들이 농업과 산업의 결실을 누릴 수 있었듯이, 가장 적절할 때 주님은 우리를 도우사 마침내 영광된 승리를 쟁취할 수 있게 해 주실 것입니다.

[도움질문]
1. 하나님이 부정하다고 여기신 것은 무엇이었습니까?(12-14절)
2. 하나님은 여전히 부정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어떤 은혜를 더하여 주십니까?(19절)
3. 하나님은 결국 다리오 왕으로 하여금 스룹바벨의 성전 재건 역사를 인정하게 만드셨습니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스룹바벨의 용기, 헌신된 자를 위한 하나님의 돌보심, 이 모든 사실은 오늘 당신에게 어떤 용기를 줍니까?

 


제공:프리셉트

'학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개 2장 - study  (0) 2014.05.24
학개 1장 - study  (0) 2014.05.24
시온의 종말론적 비전 (학 2:1~9)  (0) 2013.08.16
성전을 재건하라 (학 1:8~15)  (0) 2013.08.16
자기의 소위를 살펴볼지니라 (학 1:1~7)  (0) 2013.08.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