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라 격파당한 가나안 북부 성읍과 왕들
[여호수아 12장 1절~24절]
1절 - 이스라엘 자손이 요단 저편 해 돋는 쪽 곧 아르논 골짜기에서 헤르몬 산까지의 동쪽 온 아라바를 차지하고 그 땅에서 쳐죽인 왕들은 이러하니라
2절 - 시혼은 헤스본에 거주하던 아모리 족속의 왕이라 그가 다스리던 땅은 아르논 골짜기 가에 있는 아로엘에서부터 골짜기 가운데 성읍과 길르앗 절반 곧 암몬 자손의 경계 얍복 강까지이며
3절 - 또 동방 아라바 긴네롯 바다까지이며 또 동방 아라바의 바다 곧 염해의 벧여시못으로 통한 길까지와 남쪽으로 비스가 산기슭까지이며
4절 - 옥은 르바의 남은 족속으로서 아스다롯과 에드레이에 거주하던 바산의 왕이라
5절 - 그가 다스리던 땅은 헤르몬 산과 살르가와 온 바산과 및 그술 사람과 마아가 사람의 경계까지의 길르앗 절반이니 헤스본 왕 시혼의 경계에 접한 곳이라
6절 - 여호와의 종 모세와 이스라엘 자손이 그들을 치고 여호와의 종 모세가 그 땅을 르우벤 사람과 갓 사람과 므낫세 반 지파에게 기업으로 주었더라
7절 -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자손이 요단 이편 곧 서쪽 레바논 골짜기의 바알갓에서부터 세일로 올라가는 곳 할락 산까지 쳐서 멸한 그 땅의 왕들은 이러하니라 (그 땅을 여호수아가 이스라엘의 지파들에게 구분에 따라 소유로 주었으니
8절 - 곧 산지와 평지와 아라바와 경사지와 광야와 네겝 곧 헷 족속과 아모리 족속과 가나안 족속과 브리스 족속과 히위 족속과 여부스 족속의 땅이라)
9절 - 하나는 여리고 왕이요 하나는 벧엘 곁의 아이 왕이요
10절 - 하나는 예루살렘 왕이요 하나는 헤브론 왕이요 하나는 야르뭇 왕이요
11절 - 하나는 라기스 왕이요
12절 - 하나는 에글론 왕이요 하나는 게셀 왕이요
13절 - 하나는 드빌 왕이요 하나는 게델 왕이요
14절 - 하나는 호르마 왕이요 하나는 아랏 왕이요
15절 - 하나는 립나 왕이요 하나는 아둘람 왕이요
16절 - 하나는 막게다 왕이요 하나는 벧엘 왕이요
17절 - 하나는 답부아 왕이요 하나는 헤벨 왕이요
18절 - 하나는 아벡 왕이요 하나는 랏사론 왕이요
19절 - 하나는 마돈 왕이요 하나는 하솔 왕이요
20절 - 하나는 시므론 므론 왕이요 하나는 악삽 왕이요
21절 - 하나는 다아낙 왕이요 하나는 므깃도 왕이요
22절 - 하나는 게데스 왕이요 하나는 갈멜의 욕느암 왕이요
23절 - 하나는 돌의 높은 곳의 돌 왕이요 하나는 길갈의 고임 왕이요
24절 - 하나는 디르사 왕이라 모두 서른한 왕이었더라
* 주제별 목록 작성
이스라엘에게 정복당한 가나안 북부의 15개 성읍과 왕
17절 : 답부아 왕과 헤벨 왕
18절 : 아벡 왕과 랏사론 왕
19절 : 마돈 왕과 하솔 왕
20절 : 시므론 므론 왕과 악삽 왕
21절 : 다아낙 왕과 므깃도 왕
22절 : 게데스 왕과 욕느암 왕
23절 : 돌 왕과 고임 왕
24절 : 디르사 왕
* 도움말
1. 아벡(18절) : 욥바 북동쪽, 샤론 평야에 위치했던 고대 성읍이다. 훗날 블레셋이 이스라엘과 대진할 때 교두보로 삼은 곳이기도 하다(삼상 4:1-2, 29:1).
2. 악삽(20절) : 갈릴리 호수 서쪽, 악고 평지에 위치했던 성읍이다. 이곳은 아셀 지파에게 기업으로 할당되었다(19:25).
3. 므깃도(21절) : 나사렛 남서쪽 약 16km 지점으로, 이스르엘 계곡에 인근한 전략적 요충지이다(왕상 9:15).
4. 디르사(24절) : 세겜 북동쪽 약 11km 지점에 위치했던 성읍이다. 훗날 오므리가 사마리아를 새로운 왕도로 삼기 전까지 북왕국 이스라엘의 수도였던 곳이기도 하다.
* 말씀묵상
본문에 연이어 나오는 피정복자의 명단과 지명은 자칫 그냥 지나치기 쉽습니다. 그러나 기록된 성경 말씀은 어느 것 하나 무의미하거나 불필요한 것이 없습니다. 우리는 본문을 깊이 묵상하는 가운데 숨겨진 뜻과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깨달을 수 있어야 합니다.
1. 헤아려 볼 하나님의 은혜
본문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가나안 원주민들이 조상대대로 뿌리내리며 살아 오던 땅인 가나안 북부를 이스라엘이 마저 정복했음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이스라엘 자손은 본문을 대할 때마다 감격스럽고 자랑스러웠을 것입니다. 게다가 그들은 자신들이 가나안을 정복하게 된 것이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임을 깨닫고 고백하며, 감사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가나안은 하나님이 조상 적부터 이스라엘 자손에게 주겠다고 약속하신 땅이었으며, 이스라엘은 자신들과 늘 함께하시며 친히 싸움의 선봉장이 되어 연전연승을 거두게 해 주신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아 마침내 약속의 땅을 차지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본문은 자신들을 이기게 해 주신 하나님의 주권과 은혜를 기리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일종의 신앙 고백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하나님이 주신 축복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을 정복하고 그것을 기업으로 누리게 된 것은 자신들이 애쓰고 힘쓴 덕분이 아닙니다. 물론 그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피와 땀과 눈물을 흘렸을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주시지 않았다면 어떻게 이스라엘 백성들이 그 땅을 정복할 수 있었겠습니까? 본문은 바로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러한 사실을 깨닫고서 인정하는 일종의 찬미가인 것입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베푸셨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베풀어 주실 은혜와 축복은 한량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도 그 은혜와 축복을 헤아리며 하나님께 감사할 줄 아는 자들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살전 5:18).
[도움질문]
1. 요단 서편 땅을 정복한 여호수아는 그 땅을 어떻게 했습니까?(7절)
2. 가나안 북부 지역에서 세력을 떨치던 15명의 왕들이 차례로 하나님의 군대인 이스라엘에게 정복당한 사실은 어떤 교훈을 줍니까?
3.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을 마침내 기업으로 받아 누리게 된 사실은 당신에게 어떤 교훈을 줍니까?하나님의 약속이 이루어지기까지 그리스도인이 가져야 할 삶의 자세를 본문을 통해 점검해 보십시오.
제공:프리셉트
'여호수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 가족대로 얻은 기업 (수 13:15~33) (0) | 2013.09.11 |
---|---|
요단 동편 지경과 레위 지파의 분깃 (수 13:1~14) (0) | 2013.09.11 |
일단락된 가나안 정복 전쟁 (수 11:1~23) (0) | 2013.09.11 |
성공적인 정복 비결 (수 10:28~43) (0) | 2013.09.11 |
아모리 다섯 왕의 비극적 최후 (수 10:16~27) (0) | 2013.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