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여인에게 임한 선물

[열왕기하 4장 1절~17절]
1절 - 선지자의 제자들의 아내 중의 한 여인이 엘리사에게 부르짖어 이르되 당신의 종 나의 남편이 이미 죽었는데 당신의 종이 여호와를 경외한 줄은 당신이 아시는 바니이다 이제 빚 준 사람이 와서 나의 두 아이를 데려가 그의 종을 삼고자 하나이다 하니
2절 - 엘리사가 그에게 이르되 내가 너를 위하여 어떻게 하랴 네 집에 무엇이 있는지 내게 말하라 그가 이르되 계집종의 집에 기름 한 그릇 외에는 아무것도 없나이다 하니
3절 - 이르되 너는 밖에 나가서 모든 이웃에게 그릇을 빌리라 빈 그릇을 빌리되 조금 빌리지 말고
4절 - 너는 네 두 아들과 함께 들어가서 문을 닫고 그 모든 그릇에 기름을 부어서 차는 대로 옮겨 놓으라 하니라
5절 - 여인이 물러가서 그의 두 아들과 함께 문을 닫은 후에 그들은 그릇을 그에게로 가져오고 그는 부었더니
6절 - 그릇에 다 찬지라 여인이 아들에게 이르되 또 그릇을 내게로 가져오라 하니 아들이 이르되 다른 그릇이 없나이다 하니 기름이 곧 그쳤더라
7절 - 그 여인이 하나님의 사람에게 나아가서 말하니 그가 이르되 너는 가서 기름을 팔아 빚을 갚고 남은 것으로 너와 네 두 아들이 생활하라 하였더라
8절 - 하루는 엘리사가 수넴에 이르렀더니 거기에 한 귀한 여인이 그를 간권하여 음식을 먹게 하였으므로 엘리사가 그 곳을 지날 때마다 음식을 먹으러 그리로 들어갔더라
9절 - 여인이 그의 남편에게 이르되 항상 우리를 지나가는 이 사람은 하나님의 거룩한 사람인 줄을 내가 아노니
10절 - 청하건대 우리가 그를 위하여 작은 방을 담 위에 만들고 침상과 책상과 의자와 촛대를 두사이다 그가 우리에게 이르면 거기에 머물리이다 하였더라
11절 - 하루는 엘리사가 거기에 이르러 그 방에 들어가 누웠더니
12절 - 자기 사환 게하시에게 이르되 이 수넴 여인을 불러오라 하니 곧 여인을 부르매 여인이 그 앞에 선지라
13절 - 엘리사가 자기 사환에게 이르되 너는 그에게 이르라 네가 이같이 우리를 위하여 세심한 배려를 하는도다 내가 너를 위하여 무엇을 하랴 왕에게나 사령관에게 무슨 구할 것이 있느냐 하니 여인이 이르되 나는 내 백성 중에 거주하나이다 하니라
14절 - 엘리사가 이르되 그러면 그를 위하여 무엇을 하여야 할까 하니 게하시가 대답하되 참으로 이 여인은 아들이 없고 그 남편은 늙었나이다 하니
15절 - 이르되 다시 부르라 하여 부르매 여인이 문에 서니라
16절 - 엘리사가 이르되 한 해가 지나 이 때쯤에 네가 아들을 안으리라 하니 여인이 이르되 아니로소이다 내 주 하나님의 사람이여 당신의 계집종을 속이지 마옵소서 하니라
17절 - 여인이 과연 잉태하여 한 해가 지나 이 때쯤에 엘리사가 여인에게 말한 대로 아들을 낳았더라

* 주제별 목록 작성
엘리사의 말
2절 : 내가 너를 위하여 어떻게 하랴?
13절 : 내가 너를 위하여 어떻게 하랴?
14절 : 저를 위하여 무엇을 하여야 할꼬?

* 도움말
1. 수넴(8절) : ‘두 안식처’란 뜻으로 잇사갈 지파의 경내 므레 산록 다볼 산의 서남쪽 8km지점, 곧 엘리사의 주거지인 갈멜 산과 왕의 별장이 있는 이스르엘 사이에 위치했다.
2. 귀한 여인(8절) : ‘사회적으로 유력한 여인.’ 특히 ‘경제적으로 부유한 여인’을 지칭한다.
3. 담 위에 짓고(10절) : ‘주택 옥상(지붕)에 짓다’라는 뜻으로 본다. 지붕은 담(벽)에 부착되어 있는 계단을 통해 아래층에서 위로 올라갈 수 있었다.
4. 백성 중에 거하나이다(13절) : ‘백성 가운데 평안히 자족하며 살고 있다’는 뜻으로, ‘욕심내거나 바랄 만한 것이 없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5. 돐이 되면(16절) : ‘다음 해 이맘때가 이르면’.

* 말씀묵상
4장은 엘리사가 일으킨 4가지 기적을 중심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1. 가난 속에 얻게 된 부요
한 선지자 생도의 아내가 남편을 잃고 과부가 되어 빚 때문에 자기 아들을 종으로 넘겨주어야 할 딱한 처지에 처하게 됐습니다. 그러자 이 여인은 엘리사에게 하나님을 경외한 남편을 상기시키며 부르짖었습니다. 고대 근동의 많은 농부들과 소지주들은 열악한 환경 탓에 종종 채무를 지고 있었습니다. 더군다나 가뭄으로 인해 1년 이상 흉년이 계속되면 땅과 재산은 물론 가족과 자신마저 종으로 팔아야 했습니다. 따라서 이 여인의 요구는 굉장히 절박한 것이었습니다. 엘리사는 그녀에게 가능한 많은 그릇을 구해 전 재산이라 할 수 있는 한 병의 기름을 그릇마다 가득 붓게 했습니다. 이 일은 은밀히 이루어졌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가져온 모든 그릇들을 채우고 또 채우셨습니다. 당시 과부는 사회에서 상처받고 소외된 자였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자신의 백성들의 필요를 은밀히 채우셨습니다.

2. 베풂을 통해 얻게 된 생명
수넴 지역에 거하던 중 엘리사는 믿음 좋은 한 여인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하나님의 사람 엘리사를 간권하여 음식을 대접했고, 남편을 설득하여 그를 위한 작은 방을 마련할 정도로 섬세한 마음의 소유자였습니다(10절). 그녀는 엘리사로부터 소원을 말해 보라는 제안을 받았을 때 적절한 거절로 그를 향한 환대가 대가성이 아닌 순수한 봉사였음을 확인시켜 줍니다. 하지만 엘리사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여인이 구하지 않은 필요를 생각했고, 이스라엘 사회에서 자녀 없는 설움에서 벗어나 당당하게 살 수 있도록 여인에게 생명을 약속합니다. 자족하며 선지자를 후대한 여인의 섬김도 빛을 발하거니와 그냥 지나치지 않고 여인의 필요를 생각한 엘리사의 배려 또한 청중의 마음을 흐뭇하게 합니다.

[도움질문]
* 본문 관찰
1. 선지자 생도의 아내의 처지는 어떠합니까?(1절)
2. 여인이 유일하게 소유한 것은 무엇입니까?(2절)
* 깊은 묵상
1. 엘리사는 여인의 필요를 어떻게 채웠습니까?(3-7절)
2. 엘리사는 재차 선한 수넴 여인의 필요를 살핍니다.(13-14절)이 사실에서 무엇을 느낄 수 있습니까?(메시지 참조)
* 적용 질문 
엘리사는 자신을 찾아오는 사람들의 필요를 채우는 일에 힘썼습니다. 나는 나를 찾는 사람들에 대해 어떠한 자세를 갖고 있습니까?


제공:프리셉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