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대사회
당시 유대사회는 종교적 기득권자들이 부유한 계층을 형성하고 있었다. 특히 제사장 계급은 마카비 시대부터 팔레스틴 지역을 통치했다. 유대 사회의 계급은 크게 바리새파, 사두개파, 평민으로 구분된다.
1) 바리새파
바리새파인들은 주로 예루살렘 그 근처에 거주했던 것 같다. 이들은 주로 중산 계층으로 율법 교사직을 담당했다. 이들이 상층 계급으로 상승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아마도 사두개파와의 교리적 관점 차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바리새인과 사두개인의 교리적 차이점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바리새파는 예정론을 신봉하는 반면 사두개파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강조했다. 둘째 사두개파는 내세의 보응과 상급을 부정한 반면 바리새파는 유적인 부활과 영혼 불멸을 믿었다. 셋째 바리새파는 영적 존재를 인정하나 사두개파는 부정하는 입장이다. 넷째 사두개파는 성경만 인정하는 반면 바리새파는 성경과 유전(遺傳)을 모두 인정한다. 이러한 교리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합심하여 예수그리스도를 핍박한 이유는 자신들의 이익과 권위를 옹호하기 위해서이다.
2) 사두개파
이들은 대제사장직을 독점하면서 유대사회의 상층 계급을 형성하였다. 로마는 다신교 국가이기 때문에 피점령지의 종교를 무조건 탄압하지 않았다. 따라서 당시 로마의 지배하에 있었지만 이들이 지닌 제사장직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다. 이들은 비록 소수이지만 그들을 무시할 수 없었으며, 권력을 이용해 평민들을 약탈했기 때문에 평민들로부터 지지를 얻지 못하였다.
3) 평민
당시 평민이란 호칭은 모세의 율법에 관한 무지한 자들을 칭하였다. 랍비법에 따르면 재판 과정에서 평민은 증인이 될 수 없으며, 평민의 증언은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평민과 결혼하는 것은 외압으로 인해 그들과 타협한 기회주의자들은 권력과 부를 얻었지만 순진한 평민들은 이러한 것을 획득할 기회를 얻지 못한 결과이다. 예수님은 이러한 상황을 잘 알고 계셨기 때문에 평민들과 어울렸으며, 그들의 아픔을 감싸주셨던 것이다. 기득권자들은 평민을 무가치한 존재로 치부했지만 예수님은 '목자 없는 양'(마9:36)으로 불렀다. 따라서 이런 평민들을 옹호한 예수에 대해 바리새파와 사두개인들의 비난은 당연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당시 유대사회의 계급 구조는 학식과 권력이 있는 자는 재빨리 외세의 압력과 결탁하여 자신들의 확고한 위치를 굳혔던 사두개, 중산 계급으로 혼란한 틈을 이용해 상층 계급으로 성장하려는 바리새파인들, 이 두계급의 수탈 대상이었던 평민들, 평민들은 이들의 억압과 착취에 대해 무기력한 상태였다. 따라서 평민들은 사회의 개혁을 요구하게 되었고 때를 같이하여 예수그리스도가 사역을 시작했던 것이다.
2. 이방인 사회
이방인사회 중에서도 유대사회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로마사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귀족사회
로마는 정복 전쟁으로 인해 많은 국토와 더불어 부를 축척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기득권을 소유하고 있던 귀족 계급들은 더 많은 것을 소유하게 되었다. 특히 라티푼디움이라는 대농장을 소유하며 많은 노예를 거느리게 되었다. 또한 이들은 대규모 농장을 이용하여 자직농들을 압박하여 헐값으로 농지를 매매하였다.
2) 중산계급
중산 계층은 전쟁 중에 많은 희생을 치룬 결과로 그 층이 얇아졌다. 한편 이들은 귀족 계급과 평민 계층 사이에서 양쪽 다 원망을 사는 계층이었다. 즉 귀족계급은 이들에 과중한 세금을 요구받는 계층이며, 평민들에게는 무리하게 세금을 거두는 계층이기 때문이다. 후에 이들 중산 계급은 대부분 상인 계층으로 새로이 성장하게 되었다.
3) 평민계급
로마 사회는 부익부 빈익빈의 상태가 됨으로 인해 평민의 생활고는 말이 아니었다. 심지어 이들에 대한 대우가 노예보다 나쁠때가 있다. 이들은 거리로 나와서 구걸하는 자가 점점 많아져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었다. 때로는 일정한 대가를 받고 정치가들의 선동장에 앞장서기도 했다.
4)노예계급
당시 로마의 노예 숫자는 로마 시민의 두배에 달았다고 한다. 이들은 대부분 전쟁 포로이거나 부모 중 어느 한쪽이 노예이며, 따라서 그 자식도 자연히 노예의 신분을 갖게 되었다. 노예들의 모든 권리는 주인의 손에 달려 있다.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빌레몬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자료] 사도 바울의 부탁과 축복 (빌레몬서 1:17~25) - 2 (0) | 2012.05.17 |
---|---|
[연구자료] 사도 바울의 부탁과 축복 (빌레몬서 1:17~25) - 1 (0) | 2012.05.17 |
[연구자료] 오네시모를 위한 간구 (빌레몬서 1:8~16절) - 1 (0) | 2012.05.17 |
[연구자료] 빌레몬에 대한 칭찬 (빌레몬서 1:1~7절) - 2 (0) | 2012.05.17 |
[연구자료] 빌레몬에 대한 칭찬 (빌레몬서 1:1~7절) - 1 (0) | 201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