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본 서와 유다서의 정경성(正經性)에 관한 문제
유다서와 본 서는 많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함께 언급하는 것이 좋다. 먼저 신악성경에서 이 두서신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상정하는 문제이다. 오늘날에 있어 베드로후서는 평범한 내용의 전개와 더불어 한쪽으로 치우쳐 강조하며, 유다서는 고발적이며 단조로운 내용으로 전개되어 있기 때문에 독자들이 쉽게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또한 두서신서는 묵시 문학으로 종말론을 집중적으로 강조하고 있다고 한다.
16세기에 이르러 성경에 관한 정경성 문제가 대두되었을때 이 두서신서 역시 도마 위에 올려지게 되었다. 칼빈(John Calvin:1509-1564)과 에라스무스(Erasmus;1466-1536) 등은 결론적으로 두서신서를 정경으로 인정은 하고있지만, 애매 모호한 표정이다. 특히 루터(Martin Luther;1483-1546)와 같은 경우는 '9월의 언약'(September Testament, 1522)이라는 부록에 유다서를 첨가시키고 있다. 그리고 카제탄(Cajetan)과 외콜람파디우스(Oecoampadius)는 정경에 가까운 제2의 권위에 속한다고 분류하고 있다.
아마 신약성경 중에서 베드로후서만큼 오랜기간을 두고 정경성 문제에 관한 논쟁이 지속된 것이 없을 정도로 오랜 세월동안 정경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제롬에 의하면 베드로전서에 비교해 볼때 문체상 많은 상이점이 있는 이유로 인해 정경으로 인정받지 못했다고 한다. 본 서는 다른 성경과는 달리 동방에서 먼저 정경으로 받아들였다. 이러한 모습은 초기곱트 번역과 헬라어 파피루서72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 대해 오르게네스는 라틴어 번역을 믿을수 있다면 정경으로 인정할 수 있으나 논란의 여지는 남아있다고 한다. 오르게네스 이외에도 아다나시우스, 그레고리(Gregory), 에피파니우스(Epiphanius) 등은 정경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유세비우스, 크리소스톰(John Chrysostom), 몹수에스티아(Mopsuestia), 데오도르(Theodore) 등은 본 서를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A.D.397년 카르타고 회의에서는 정경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수리아 교회등지에서는 6세기 초까지 베드로후서를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이 두서신에 대해 오늘날에도 많은 의심의 여지를 남겨놓고 있다. 즉 다른 신약성경과 비교해 볼때 우수성이 결여되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초대교회 기독교 신앙을 과소평가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루터는 복음의 메시지가 불분명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두서신서는 영적인 능력과 통찰력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이런 비평의 와중에서도 두서신서에 대한 일정한 의의를 둘 수 있다. 즉 장차 있을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경고와 재림, 사도들의 가르침에 대한 것들이다.
2. 수신인과 수신지
본 서의 수신인과 수신자는 베드로전서와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즉 "사랑하는 자들아 내가 이제 이 둘째 편지를 너희에게 쓰노니.…"(벧후3:1)라는 구절에서 엿볼 수 있다. 따라서 "본도, 갈라디아, 갑바도기아, 아시아와 비두니나에 흩어진 나그네"(벧전1:1)이다. 그런데 여기서 흩어진 나그네는 일시적인 체류자나 방랑자들까지도 포함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베드로가 이런 나그네까지 포함한 이유는 이들 역시 하나님 나라의 시민권을 소유한 자이기 때문이며 무엇보다도 아시아 지역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베드로를 사도행전에서는 최초의 교회지도자로 평가하고 있다. 베드로는 주로 팔레스틴 지역을 중심으로 복음의 메시지를 전파함과 아울러 기독교 신앙으로 개종한 유대인들과 타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유대인들에게 복음을 전했다.
3. 저술 동기
당시 교회 지도자들은 외압과 내부적인 붕괴가 일어나고 있던 시기이다. 또한 바리새파인들은 기독교를 유대화하는데 전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베드로전서는 옛계약과 새계약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베드로후서는 반(反)유대화에 역점을 두고있다. 뿐만 아니라 구약성경의 인용과 거짓 교사들에 관한 저주를 설명하고 있는점이 유다서와 대동소이한 점이다. 베드로전서와 후서의 이런 차이점은 바로 역사적인 시대의 변화를 암시한다. 로마의 쇠퇴와 더불어 헬레니즘 사상의 보급은 그리스도의 부활 사건 마저 신비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이게 되자, 올바른 가르침을 위해 본 서를 기록한 것이다.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베드로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자료] 거짓 교사들에 대한 경고 (베드로후서 2장) - 1 (0) | 2012.05.22 |
---|---|
[연구자료] 그리스도인의 성숙 (베드로후서 1장) - 2 (0) | 2012.05.22 |
[연구자료] 그리스도인의 성숙 (베드로후서 1장) - 1 (0) | 2012.05.22 |
[연구자료] 베드로후서 - 1 (0) | 2012.05.22 |
위험한 성경해석 (벧후3:14~18) (0) | 2012.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