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따라 구하라’는 의미는(고전 14:1)?
성령의 은사를 구하려는 성도들의 내적인 의도의 순수성을 촉구하는 뜻임.
은사의 효용성은 과연 그 은사가 사랑을 따라 사용되고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은사가 사랑과 유리되면, 이미 그 은사는 주신바 목적에서 이탈되고 맙니다. 또한 은사는 개인의 소유가 아니라 교회 전체의 것입니다. 그러므로 은사를 사모하거나 활용하는 사람들은 교회 전체의 유익을 위하여, 사랑의 충만한 기초 위에서 열매 맺어야 합니다.
방언의 은사가 예언의 은사만큼 유익하지 못한 이유는(고전 14:2-5)?
방언의 은사가 개인적인 유익에 그치는 반면, 예언의 은사는 교회 전체에 유익을 가져오기 때문.
여기서 우리가 반드시 배워야 하는 것은 ‘교회를 위한 유익’입니다. 개인적인 덕을 세우는 것보다 교회 전체의 유익과 덕을 세우는 일이 우선되고 더 가치있게 평가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알아 듣기 쉬운 말을 하라’는 권고의 의미는(고전 14:6-9)?
방언의 은사가 알아듣지 못하는 말이기 때문에 그 은사를 공적으로 남용하는 어리석음을 경계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방언의 은사가 없거나 무지한 사람들에게는 그 기도가 도리어 걸림돌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방언의 기도는 충분히 용납되는 시간과 장소에서 사용되어져야만 합니다. 교회의 질서를 문란하게 하면서까지 사용되는 은사는 결코 성경적인 것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은사 사용에 있어서의 원칙은(고전 14:26)?
모든 은사는 덕을 세우기 위해 사용되어야 함.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서 발견한 가장 큰 문제점은 교회의 공적인 유익보다 개인이나 분파를 더 지향하는 교인들의 성향이었습니다. 그들은 은사의 사용에서도 동일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었습니다.
바울은 그러한 고린도 교회의 무질서를 책망하면서, 그 대안으로 교회의 덕을 추구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교회에서 예언을 하는 목적은(고전 14:31)?
모든 사람이 배우고 권면을 받게 하기 위해서.
예언은 가르침의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초대 교회의 예언은 현대 교회에서의 설교와 가르침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은사는 은사가 갖고 있는 자체적인 의미보다 그 은사가 사용되는 용도에 더 많은 가치가 있습니다.
‘모든 것을 적당하게 하라’는 말의 의미는(고전 14:40)?
교회의 질서와 화평을 위한 절제를 가르침.
이 구절이 가르치는 것은 타협할 수 없는 신앙의 절대성이 어떻게 교회에서 화평의 열매를 맺을 수 있을까 하는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적당하게 하라는 가르침은 신앙의 원칙에 관한 것이 아니라, 신앙의 실질적 적용에 관한 것임을 발견해야 합니다.
출처 : 갓피플
'고린도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고린도전서 16장 (0) | 2012.05.24 |
---|---|
[성경 QA자료] 고린도전서 15장 (0) | 2012.05.24 |
[성경 QA자료] 고린도전서 13장 (0) | 2012.05.24 |
[성경 QA자료] 고린도전서 12장 (0) | 2012.05.24 |
[성경 QA자료] 고린도전서 11장 (0) | 201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