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에 따른 예배 처소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면(스 5:1-17)?

제단 - 국가가 형성되지 않은 족장 시대의 예배 처소(창8:20).
성막 - 모세를 통해 제사 제도에 관한 규례를 주신 때부터 성막에서 예배를 드림(출40:1-38).
성전 - 솔로몬 시대에 예루살렘 성전을 건축함으로 드리게 된 예배 처소(왕상8:1-66).
회당 - 바벨론에 의해 예루살렘 멸망 이후 대치된 예배 처소(스6:13-22).
교회 - 초대 교회의 예배 처소로는 ‘다락방’ 등이 이용되었고 기독교가 확장되면서 교회 건립이 본격화 됨(행1:13).


침체해 있던 백성에게 영적 각성을 심어준 선지자들은(스 5:1, 2)?

학개와 스가랴.
두 선지자들은 판벽한 집에 거하며 여호와의 전 건축 시기가 아직 이르지 아니하였다고 말하는 백성들에게 안일과 나태에서 벗어나 신앙적 열정을 되찾고 영적으로 각성할 것을 부르짖었습니다.
또한 이들은 장차 세워질 하나님 나라와 불의한 자들에 대한 심판 그리고 하나님 앞에 나아온 자들의 축복에 대해 예언함으로 당시의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큰 위로와 용기를 주었습니다.


성전 건축의 제 2차 방해 사건은(스 5:3,4)?

총독 닷드내가 성전 건축에 이의를 제기함.
그러나 유대인들은 담대한 믿음과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성전 건축을 중단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총독 닷드내는 성전 건축의 정당성을 따지고 고레스 칙령(B.C. 538년)의 사실성을 물은뒤 답신이 올때까지 공사 진척 상황에 방관하는 자세를 취했습니다.
그러나 이일에도 불구하고 성전 건축은 좋은 결과를 가져왔고 이 모든 일이 하나님께서 당신의 일을 진행시키기 위해 베푸신 섭리임을 알게 했습니다.


불신앙인이 역사적 사실에 대해 취한 태도는(스 5:11-16)?

사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를 정직하게 고함.
불신앙인들도 때로는 윤리적으로 신앙인보다 앞서있고 더 진실되고 의로울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스라엘이 이방인에게 패망한 원인을 무엇으로 보았는가(스 5:12)?

그들의 열조가 하나님께 범죄했기 때문.
느부갓네살에게 패망하고 성전이 헐리며 포로가 된 것을 우연한 역사의 과정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역사 인식은 신앙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이들은 패망을 통해 더욱 하나님을 생각했으며 모든 문제의 원인을 자기에게서 찾았습니다.

출처 : 갓피플

'에스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에스라 7장  (0) 2012.05.25
[성경 QA자료] 에스라 6장  (0) 2012.05.25
[성경 QA자료] 에스라 4장  (0) 2012.05.25
[성경 QA자료] 에스라 3장  (0) 2012.05.25
[성경 QA자료] 에스라 2장  (0) 2012.05.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