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벽 재건에 있어서 이스라엘의 내적인 문제점은(느 5:1-5)?
식량난 - 귀환자들의 자녀들이 점점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가난과 기근 - 모든 사람이 성벽 중건에 투입되었기 때문입니다.
과중한 세금 - 바사 제국에 엄청난 공물을 바쳐야 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동족 안에서 서로 착취하는 사건으로까지 발전하여 문제의 심각성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왜냐하면 선민 백성은 서로 더불어 사는 사랑의 공동체의 삶을 살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성경에 나오는 세금의 종류는(느 5:4-13)?
‘할라크’(스4:13,20) - ‘걷다’라는 히브리어 동사로써 집세나 통행세를 말함.
‘마스’(신20:11) - 피정복 국민의 노동력.
‘메케스’(민31:37) - 정복군의 조약을 통해 피정복군에게 받는 조공을 말함.
‘오네쉬’(왕하23:33) - 징벌의 세금, 벌금.
‘에렉’(왕하23:35) - 정복군에게 조공을 바치기 위해 피정복군이 자국인에게 강제로 부과하는 세금.
‘헬로스’(마17:25) - 통관세나 관세.
‘포로스’(눅20:22,23) - 농산물로 바치는 세금.
‘디드라크몬’(마17:24-27) - 성전세.
성벽 재건 중 동족 내에서 나타났던 일은(느 5:6-13)?
착취와 취리(取利)의 문제.
이 사건은 신앙이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진 가식적이고 위험한 문제였습니다.
하나님을 향한 외적인 모습도 중요하고 필요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중심을 보시는 하나님 앞에서 행하는 것입니다. 가장 작은 것부터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려는 실천의 태도는 작지만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느헤미야의 고백을 통한 선민 집단으로써 이스라엘의 위치는(느 5:14-19)?
단순한 국가 공동체가 아닌, 위로는 하나님을 섬기고 아래로는 하나님의 명령을 따라 형제들과 사랑의 교제를 나누어야 하는 신앙 공동체로써의 위치.
이는 하나님의 역사를 훌륭히 감당하기 위해서는 먼저 약한 형제를 돌아봄으로 내부적 결속을 공고히 하는 일이 선결되어야 함을 가르쳐 줍니다.
출처 : 갓피플
'느헤미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느헤미야 7장 (0) | 2012.05.28 |
---|---|
[성경 QA자료] 느헤미야 6장 (0) | 2012.05.28 |
[성경 QA자료] 느헤미야 4장 (0) | 2012.05.28 |
[성경 QA자료] 느헤미야 3장 (0) | 2012.05.28 |
[성경 QA자료] 느헤미야 2장 (0) | 2012.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