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벽 재건 작업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사실은(느 3:1-32)?
선지자요, 백성의 지도자로서의 느헤미야의 치밀한 계획성과 일을 지도하는 능력과, 유대 백성들의 아름다운 헌신의 모습.
이스라엘을 돌보시고 사랑하시는 하나님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즉 하나님께서는 느헤미야를 통해 성벽을 재건케 하심으로 잃었던 선민 국가의 역사까지 가시적으로 회복하게 하신 것입니다.
성의 구조는 어떻게 되었는가(느 3:1-32)?
10개의 문과 4개의 망대.
* 10개의 문(예루살렘의 성문들).
양문(느 1절; 요1:29), 어문(느 3절; 마4:19),
옛문(느 6;절; 마11:29), 골짜기 문(느 13절; 눅14:11),
분문(느 14절; 고후7:1), 샘문(느 15절; 요7:38),
수문(느 26절; 요15:3), 마문(느 28절; 엡6:11),
동문(느 29절; 계22:12), 함밉갓문(느 31절; 고후5:10).
* 4개의 망대.
함메아 망대, 하나넬 망대,
풀무 망대, 내어민 망대.
성벽 중건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느 3:1-32)?
양문부터 시작하여 유지들은 물자 동원과 공정을 분할 담당했음.
일시적으로 전면적인 성벽 중건의 착수는 느헤미야의 치밀한 조직력과 탁월한 지도력, 그리고 백성들의 자원하는 아름다운 모습 속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예루살렘 성문들이 내포하고 있는 영적 의미는(느 3:1-32)?
양문(느 1절) : 하나님의 어린양 예수(요1:29).
어문(느 3절) : 사람 낚는 어부(마4:19).
옛문(느 6절) : 성도가 걸어야 하는 선한 길.
골짜기문(느 13절) : 주를 섬기는 자의 겸손.
분문(느 14절) : 영육의 더러움을 깨끗케 함.
샘문(느 15절) : 성령으로 충만해야 함.
수문(느 26절) : 말씀의 물로 정결케 됨.
마문(느 28절) : 선한 싸움을 하는 그리스도의 군사 (엡6:11-18).
동문(느 29절) : 다시 오실 그리스도(요14:1-3).
함밉갓문(느 31절) : 그리스도의 심판대에 섬.
예루살렘 성벽 중건에서 얻을수 있는 영적 교훈은(느 3:1-32)?
죄로 인해 죽었던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영원히 살수 있다는 것을 예시함(롬3:23).
예루살렘 성은 B.C. 587년에 느부갓네살 왕에 의해 불타고 파괴되었지만 완전하게 파괴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무너진 성벽은 성읍을 방어할 수 있는 기능을 상실했기 때문에 다시 중건되어야 했습니다.
느헤미야가 성벽을 재건할때 중심으로 삼았던 하나님의 원리는(느 3:1-32)?
협동의 원리, 은사의 원리, 소명의 원리, 격려의 원리.
이들은 성벽 재건을 하나의 작업으로 생각지 않고 주의 역사, 즉 하나님의 일이라고 생각하며 일했습니다.
출처 : 갓피플
'느헤미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느헤미야 5장 (0) | 2012.05.28 |
---|---|
[성경 QA자료] 느헤미야 4장 (0) | 2012.05.28 |
[성경 QA자료] 느헤미야 2장 (0) | 2012.05.28 |
[성경 QA자료] 느헤미야 1장 (0) | 2012.05.28 |
[연구자료] 언약 민족의 개혁 (느헤미야 11~13장) - 2 (0) | 2012.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