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신득의의 결과
1) 사죄의 획득
성자 하나님으로서 성육신하사 성도의 구속을 성취하신 예수를 믿음으로써 의인으로의 법적 지위를 획득한 성도는 자연히 예수의 절대적이고도 완전한 공로가 적용되어 과거의 죄뿐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모든 죄에 대해서까지도 일시에 완전히 해방받게 된다(롬5:21 ;롬8:1 ; 히10:14). 즉 성도는 실질적으로는 분명 죄인이다. 그 죄에 해당되는 형벌로 율법에 규정된 저주와 죽음을 예수가 대신 감당하사 모든 율법을 온전히 충족시키신 절대적 구속사역의 공로가 믿음을 통해 성령에 의하여 예수와 연합한 그에게 적용된 결과 그는 율법의 적용 대상에서 근본적으로 제외되어 사죄를 얻는 것이다. 따라서 신자는 근본적으로 율법의 적용 대상에서 영원히 면제되었기 때문에 다시 죄에 대한 율법의 형벌로 인해 멸망에 이를 염려가 없다. 다만 법적 차원에서 실질적으로 아직 죄인인바 성도가 된후에도 여전히 남아있는 죄의 영향력 때문에 그 죄에 대해 회개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죄를 경계하며 의의 길로 점점 나아가 실질적으로 자신을 의인으로 변모시켜 가는 성화(Sanctification)의 과정을 겪게되는 것이다.
2) 영생 복락 및 천국 상급
믿음으로 의롭다함을 얻은 신자는 소극적인 의미에서의 죄사함뿐 아니라 장차 천국에서 영생을 누릴 권한까지 갖게 된다. 혹자는 이신득의의 결과 신자는 단지 범죄 이전의 아담과 같은 무죄의 상태에 있게되고 그후로부터 자기의 영생을 위하여 공적을 쌓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성도는 의인의 법적 신분을 얻는 순간 범죄 이전에 아담에게 주어졌던 영생과 복락의 축복까지 획득하게 된다. 다만 이제 그런 영생과 복락이 태초 인간의 죄로 오염되기 이전 세상으로 단순히 회복됨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세상이 완전히 갱신되어 새하늘과 새땅에 천국이 실현될 것이란 점이 다르다. 한편 근본적으로는 이신득의의 원리로 의인이 된 성도 모두에게 천국에서의 절대적 영생과 복락이 주어지나 천국에서의 상급은 각자의 공적과 업적에 따라 상대적 차이가 있다(고전3:10-15).
2. 율법폐기론(Antinomianism)
1) 정의
믿음으로 외롭다함을 받은 성도에게는 어떤 종류의 율법이든지 더이상 필요치 않으며 또한 율법 자체가 그리스도의 복음과 상반되는 악한 것이므로 성도는 어떠한 율법이든지 지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오직 성령의 인도함을 따라서만 살면된다고 주장하는데 이를 가리켜'율법 폐기론' 또는 '도덕론 폐기론'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주장은 인간의 육체와 육체안에 속한 인간의 삶을 경시하고 지식에 근거한 영적인 삶만을 우월시하는 영지주의(Gnosticism)의 영향을 받아 초대교회 당시에 널리 퍼져있었으며, 오늘날에도 소수의 사람들이 이 주장을 따르고 있다.
2) 율법폐기론의 부당성
성도가 율법의 행로가 아니라 믿음으로 구원얻는다고 하는 말은 이제 더이상 율법을 지키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 아니다. 다만 그리스도께서 죄인들의 구원을 위하여 율법의 모든 요구를 만족시키셨기 때문에 율법이 죄인의 구원을 위해서는 더이상 필요가 없다는 말일 뿐이다. 따라서 비록 성도가 되었다 하더라도 구원받은 자로서의 바른 도리를 지키기 위해 율법이 교훈하는 선을 행해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 한편 구약 율법 가운데서 의식법은 그 자체가 궁극적으로 의도하는 바가 예수의 구속 사역으로 성취되었기 때문에 신약의 성도는 더이상 지킬 필요가 없다. 그리고 시민법의 대부분과 도덕법도 그 근본 정신은 신약 시대까지 계승되나 그 규정 자체는 계시의 점진성에 따라 그리스도의 율법(고전9:21 ; 갈6:2)으로 성화되었기 때문에 신약의 성도는 실제적으로 구약의 율법은 지키지 않으며, 그것보다 월등한 신약의 법을 지킨다고 말할수 있다. 따라서 성도가 구원을 위하여 율법의 요구를 만족시켜야할 의무에 있어서는 예수를 통하여 해방되었지만(롬8:1,2) 율법자체는 선하며 또 성도가 된후에 더욱 거룩한 삶을 살아야 하는 성도의 바른 행위의 규범으로 율법은 여전히 유용한 것이기 때문에 율법 폐기론은 전혀 타당치 않다.
3. 양자된 성도의 축복
① 하나님을 아바 아버지라 부른다(롬8:15 ; 갈3:25,26).
② 예수그리스도와 영적으로 형제가 된다(요20:17 ; 히2:11).
③ 율법의 얽매임에서 완전히 자유하게 된다(갈4:4-6).
④ 구원이 확실히 보장된다(엡4:3 ; 벧전1:5).
⑤ 천국 유업에 대한 모든 약속을 받고 천국 유업을 상속받는다(갈4:7 ; 히6:12 ; 벧전 1:3,4).
⑥ 믿음으로 담대히 하나님 앞에 나아가게 된다(엠3:12 ; 히14:16).
⑦ 장차 그리스도와 함께 영광을 받게 된다(롬8:17).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로마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자료] 하나님의 의에 대한 변증 (로마서 9~11장) - 2 (0) | 2012.07.18 |
---|---|
[연구자료] 하나님의 의에 대한 변증 (로마서 9~11장) - 1 (0) | 2012.07.18 |
[연구자료] 하나님의 의의 계시 (로마서 1~8장) - 1 (0) | 2012.07.18 |
[연구자료] 로마서 - 2 (0) | 2012.07.18 |
[연구자료] 로마서 - 1 (0) | 2012.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