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혜받은 성도가 드릴 찬송의 제사, 선행의 제사

[히브리서 13장 9절~17절]

9절 - 여러 가지 다른 교훈에 끌리지 말라 마음은 은혜로써 굳게 함이 아름답고 음식으로써 할 것이 아니니 음식으로 말미암아 행한 자는 유익을 얻지 못하였느니라
10절 - 우리에게 제단이 있는데 장막에서 섬기는 자들은 그 제단에서 먹을 권한이 없나니
11절 - 이는 죄를 위한 짐승의 피는 대제사장이 가지고 성소에 들어가고 그 육체는 영문 밖에서 불사름이라
12절 - 그러므로 예수도 자기 피로써 백성을 거룩하게 하려고 성문 밖에서 고난을 받으셨느니라
13절 - 그런즉 우리도 그의 치욕을 짊어지고 영문 밖으로 그에게 나아가자
14절 - 우리가 여기에는 영구한 도성이 없으므로 장차 올 것을 찾나니
15절 -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로 말미암아 항상 찬송의 제사를 하나님께 드리자 이는 그 이름을 증언하는 입술의 열매니라
16절 - 오직 선을 행함과 서로 나누어 주기를 잊지 말라 하나님은 이같은 제사를 기뻐하시느니라
17절 - 너희를 인도하는 자들에게 순종하고 복종하라 그들은 너희 영혼을 위하여 경성하기를 자신들이 청산할 자인 것 같이 하느니라 그들로 하여금 즐거움으로 이것을 하게 하고 근심으로 하게 하지 말라 그렇지 않으면 너희에게 유익이 없느니라

다른 교훈에 끌리지 않으려면 마음을 은혜로 견고하게 해야 합니다. 예수님이 자기 피로 백성을 거룩하게 하려고 고난받으셨으니 우리도 그분의 치욕을 짊어지고 그분께 나아가야 합니다. 항상 찬송의 제사를 드리고 주님의 이름을 증언하며, 선과 나눔을 행하고, 인도자들에게 순종해야 합니다.

1. 우리에게 있는 제단 (9~12절)
동물 제사와 음식 규정으로는 거룩함과 구원에 이를 수 없습니다. 구약 시대에는 제사와 음식 규정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그것을 통해 거룩함을 유지하고 하나님의 구원을 맛본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히브리서 기자는 '다른 교훈'(9절)에 대한 경계와 더불어 '음식'과 '은혜'를 대조해서 말합니다. 마음은 까다로운 음식 규정들로 굳게 되지 않고 은혜로 굳게 된다고 분명히 밝힙니다. 유대교의 제의적 음식 규정은 불완전하며 은혜의 방편이 되지 못합니다. 은혜와 구원은 오직 예수님의 구원 사역에 근거합니다. 그러므로 성문 밖에서 고난당하신 예수님을 기억하고, 우리를 거룩하게 하는 보혈의 능력을 날마다 의지해야 합니다.
* 우리 마음은 무엇으로 굳게 해야 할까요? 참된 은혜의 방편은 무엇이며, 이를 위해 내가 날마다 기억하고 의지할 것은 무엇인가요?

2.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제사 (13~17절)
우리가 일평생 바라보며 따라야 할 분은 예수님입니다. 그분은 자기 피로써 우리를 거룩하게 하고자 영문 밖에서 치욕을 당하셨습니다. 장차 올 도성을 찾는 우리는 영문 밖 예수님께로 나아가야 합니다. "그에게 나아가자"(13절)라는 권면은 세상 문화에 동조하지 말고 예수님을 닮아 살아가자는 뜻입니다. 이렇게 주님 앞에 나아가는 것이 참된 제사입니다. 우리는 동물을 잡아서 드리는 제사가 아닌 '찬송의 제사'와 '선을 행하고 나누는 삶의 제사'를 드려야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 입에서 나오는 찬송과 선행을 기쁘게 받으십니다. 이것이 예수님을 따르는 제자도입니다. 또한 성도는 현재 지도자들에게 순종해야 합니다. 그들로 하여금 맡은 사역을 즐거이 감당하게 하는 것이 결국 우리의 유익이기 때문입니다.
* 구원받은 성도가 하나님께 드려야 하는 제사는 어떤 것인가요? 내가 하나님의 기쁨을 위해 드리고 있는 삶의 제사는 무엇인가요?

오늘의 기도
자신을 십자가 제단에 드리심으로 그 피로 저를 거룩하게 하신 예수님! 구약의 제사가 더는 필요 없어진 세상에 주님을 향한 찬송과 삶의 예배가 풍성히 채워지게 하소서. 진리의 교훈을 따라 선을 행하며 사랑의 복음을 나눔으로 주님을 미소 짓게 하는 성도가 되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큐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