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욥기의 저자와 저작 시기

1) 저자
초대 교인들에게 인내에 대한 모범이 되며 한 신실한 족장을 소개하는 책인 '욥기'에는 그리스도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욥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현재 욥기의 저자에 관하여 확실하게 밝혀진 것은 없으나 많은 사람들이 모세의 저작이라는 사실에 동의한다. 그것은 모세가 애굽에 관하여 능통했으며(행7:22), 고상한 시를 쓸수 있는 능력을 소유했고(출 15장; 신 32, 33장), 무엇보다도 미디안에 있을때 역사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시를 지을수 있는 기회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욥기의 몇몇 부분들은 전승된 시나 격언으로 나온 것으로 예전부터 존재했던 것도 있다(욥12:13-25; 욥15:20-35).

2) 저작 시기
욥기의 저자 시대에 관하여는 크게 두가지로 나뉘어지는데, 모세 시대라는 견해와 다윗과 솔로몬의 시대라는 견해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다음의 이유들 때문에 후자의 견해를 지지한다.
첫째, 저술의 스타일과 특성.
둘째, 진보된 예술적·문화적 배경.
셋째, 특별한 표현들의 사용.
넷째, '지혜'의 개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
다섯째, 시편과 잠언에 나타나있는 죽은 자들에 관한 묘사에서 감정과 용어의 유사성 때문이다(대상15:19; 시88, 89편).

2. 욥기의 정경성과 영감성

욥기의 영감성과 정경성은 대체로 인정되고 있다. 즉 이것은 그리스도께서 오시기전인 B. C. 6백여년경에 이미 에스겔 선지자에게 알려졌고(겔19:14), B. C. 270년경에는 히브리 성경의 한부분으로 헬라어로 번역되었으며, 기록된 것이 예수그리스도와 사도들에 의해 하나님의 말씀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욥기는 사도 바울에 의해 두번 인용되었는데(고전3:19; 히12:5), 그중에 후자는 '기록된 바'라는 일상적인 도입구와 함께 기록됨으로써 정경성을 더욱 뒷받침해 주고 있다. 욥기에서 드러나고 있는 도덕성과 신학은 다른 성경들과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하나님의 섭리에 관한 올바른 입장을 피력함으로써 그 자체로도 정경성을 확고하게 입증하고 있다. 그밖에 욥기는 구속사의 단계에서 인간의 타락과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3. 욥기의 주제

욥기의 주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바와 같이 욥이 겪게되는 시련이다. 즉 욥기에는 욥이 겪게되는 시련의 시기와 본질에 대하여 그리고 시련에 대한 욥의 인내와 여기에 관련된 문제들에 대하여 심각하게 언급되어 있다. 하나님은 욥을 통하여 세상이 죄악으로 만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신의 신실한 백성이 남아있음을 드러내기를 원하셨다. 때문에 사단에게 욥을 시험하기를 허락하셨던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이러한 뜻을 헤아리지 못한채 욥의 친구들은 혹독한 고난의 원인을 욥의 은밀한 죄로 돌렸으며, 이것은 엘리후에 의해 재차 강조되었다(욥5:17; 욥33:19-30). 그러나 하나님은 더 큰 은혜를 주시기 위하여 욥을 시험하셨는데, 급격한 변화에 당황하기는 하였으나 결국 자신의 신앙을 고수함으로 하나님으로부터 예고된 갑절의 복을 얻었다.

4. 욥기의 의도

첫째, 참된 종교의 실체와 믿음의 본질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둘째, 의인은 아무리 큰 고난을 겪더라도 결국 축복을 받게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하나님에 의해 의로운 백성이 된 그의 백성들은 하나님의 적극적이고 예리한 통찰력 있는 보호에서 결코 제외될 수 없다.
셋째, 참된 신앙은 지혜이며, 인간을 가장 큰 행복에 도달하게 하는 지름길의 역할을 한다.
넷째, 욥기에는 하나님의 섭리의 불가사의함과 공의로움과 자비가 드러나 있다.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사신신학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죽은 신이 아니며, 현재에도 개인의 생활에 적극적이고 궁극적으로 간섭하고 섭리하시는 하나님이시다.
다섯째, 계시의 진리와 하나님의 섭리의 활동 사이에 일관성을 보여준다.
여섯째, 시련받는 성도들에게 소망을 주기위하여 고난을 이겨내는 욥의 예를 소개하고 있다.
일곱째, 성도들은 고난을 통하여 부르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실제로 인정하게 된다.
여덟째, 의인이었던 욥에게도 순간적으로 흔들리는 부분이 있었음을 소개함으로 아무리 훌륭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부족하고 그릇된 점이 있다는 사실을 소개하고 있다.
아홉째, 하나님은 궁극적인 승리자이시며, 성도들도 그의 능력을 힘입음으로 궁극적으로 승리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