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바스가 욥을 정죄한 내용은(욥 15:1-35)?
욥을 불경건하고(욥 1-6절), 교만하며, 불손하다고(욥 7-16절)정죄했으며, 옛 사람의 전통적인 도덕률에 근거하여 욥의 모든 고난을 죄의 결과로 보았습니다.
엘리바스의 태도는 예수님께서 책망하신 바리새인의 율법주의적 태도를 연상시킵니다.
고난에 처한 자에게 필요한 것은 계속적인 차가운 정죄가 아니라 사랑의 위로입니다.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위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욥 15:11)?
어머니의 마음으로 또한 아버지의 연민과 남편의 사랑으로 위로하심.
이 위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서 알게되고 성령을 통하여 모든 사람에게 풍성히 주어집니다.
하나님의 위로는 이 위로 자체를 이해하고 이 위로가 값없이 거져 주어지는 것인줄 믿고 구하는 자에게 주어지는 하나님의 선물입니다.
엘리바스가 주장했던 인간관은 무엇인가(욥 15:14-16)?
인간이란 하나님 앞에서 깨끗치 못한 존재임.
이 사실을 인식했을때 비로소 인간은 하나님의 구원의 길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전통주의자들이 빠질 수 있는 폐단은(욥 15:18)?
완고한 폐쇄성으로 말미암아 전통을 지키기 위하여 적절한 개혁을 절대 반대함.
또한 형식주의로 말미암아 본래적이고도 실질적인 의의를 망각하고 실속이 없는 외형이나 변질된 외식만 내세웁니다.
하나님의 심판의 원리는 어디에 근거하는가(욥 15:31)?
개인의 행위.
선을 행한 자와 악을 행한 자에 대한 심판의 내용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하나님의 심판 원리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심판에 대해 자신의 죄를 회피하거나 그 책임을 남에게 전가할 수 없습니다. 성도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죄를 철저히 회개하고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여 주님으로부터 칭찬받는 자가 되어야 합니다.
출처 : 갓피플
'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욥기 18장 (0) | 2012.06.06 |
---|---|
[성경 QA자료] 욥기 16장 (0) | 2012.06.06 |
[성경 QA자료] 욥기 14장 (0) | 2012.06.06 |
[성경 QA자료] 욥기 13장 (0) | 2012.06.06 |
[성경 QA자료] 욥기 12장 (0) | 2012.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