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식하는 피조물, 속량될 그날을 고대하다

 

[로마서 8장 18절~25절]
18절 - 생각하건대 현재의 고난은 장차 우리에게 나타날 영광과 비교할 수 없도다
19절 - 피조물이 고대하는 바는 하나님의 아들들이 나타나는 것이니
20절 - 피조물이 허무한 데 굴복하는 것은 자기 뜻이 아니요 오직 굴복하게 하시는 이로 말미암음이라
21절 - 그 바라는 것은 피조물도 썩어짐의 종 노릇 한 데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자녀들의 영광의 자유에 이르는 것이니라
22절 -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을 우리가 아느니라
23절 - 그뿐 아니라 또한 우리 곧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우리까지도 속으로 탄식하여 양자 될 것 곧 우리 몸의 속량을 기다리느니라
24절 - 우리가 소망으로 구원을 얻었으매 보이는 소망이 소망이 아니니 보는 것을 누가 바라리요
25절 - 만일 우리가 보지 못하는 것을 바라면 참음으로 기다릴지니라

 

현재 고난은 장차 나타날 영광과 비교할 수 없습니다. 탄식하는 모든 피조물의 소망은 하나님의 아들들이 나타나는 것이요, 썩어짐의 종노릇에서 해방되어 영광의 자유에 이르는 것입니다.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 즉 몸의 속량을 참음으로 기다려야 합니다.

 

● 피조물과 성도들의 탄식

참된 믿음은 현재 겪는 고통이 아닌 미래 나타날 영광에 시선을 둡니다. 바울은 피조물과 성도의 현재 삶을 '탄식'이라는 단어로 묘사하며 삼중의 탄식을 언급합니다. 곧 피조물의 탄식(19~22절), 하나님 자녀들의 탄식(23~25절), 그리고 성령의 탄식(8:26)입니다. 피조물은 파멸과 썩어짐으로부터 해방될 것을 고대하며 탄식합니다. 인간의 타락으로 말미암아 고통당하게 된 피조물은 그들을 지배하는 악한 세력으로부터 해방되기를 간절히 고대합니다. 또 하나님 자녀인 성도들도 죄의 몸을 벗어 버리고 신령한 몸을 입게 될 것을 바라며 탄식합니다. 성도들과 피조 세계의 탄식은 장차 있을 완성이 얼마나 광범위하고 영광스러울지 잘 보여 줍니다. 성도는 불완전한 이 땅에 마음을 두지 말고 완성될 하나님 나라를 기대해야 합니다. 절망이 아닌 소망을 선택하고 인내하며 기다려야 합니다.

 

* 영광스러운 미래와 대비되는 피조물의 현재 모습은 어떠한가요? 장차 있을 영광스러운 구원의 완성을 고대하며 현재 삶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출처 : 생명의 삶 (큐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