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위인의 타락했던 모습은(삿 19:1-30)?
첩을 얻고, 벌하지 않았으며, 첩을 다시 데리러가고, 시신을 열두덩이로 조각냈습니다.
행음한 자의 결과는(삿 19:2)?
행음한 자는 반드시 돌에 맞아 죽어야 함(신22:22).
하나님께서는 종종 당신과 우리의 관계를 남편과 아내로 묘사합니다. 그런데 아내된 성도는 자주 하나님을 버리고 다른 신을 섬기는 행음을 범할때가 있습니다.
쾌락에 대한 성도의 태도는(삿 19:4-9)?
단번에 제거함으로 연속되는 것을 방지해야 함.
쾌락에는 사람을 끄는 마력이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사단이 우리를 넘어뜨리고자 하는 가장 큰 수단이 되기도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자신에게 다가온 세상적인 유혹들을 말씀으로 단호하게 물리치셨습니다(마4:4).
외식하는 자의 모습은(삿 19:10-15)?
자기의 잘못은 인정하지 않고 겉으로만 경건한체 함.
외식은 하나님을 향하여 서지않고 인간을 의식하고 바라볼때 생깁니다.
예수님은 외식하는 바리새인들에 대해서 엄중한 경고를 하십니다(마23:1-39).
나그네에 대한 바른 자세는(삿 19:15)?
이스라엘에서 나그네를 극진히 대접하는 일은 지극히 당연한 일임.
하나님의 공동체에서는 나그네가 왔을때 먼저 영접하는 모습이 있어야 합니다. 성경에는 손대접을 해서 부지중에 천사를 영접한 사람들도 있습니다(히13:2).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신앙 공동체는(삿 19:16-21)?
서로의 것을 나누며 돕는 공동체.
성경에서 가장 이상적인 공동체는 초대 교회 시대의 신앙 공동체입니다. 그들은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재산과 소유를 팔아 각 사람에게 나누어 주고 함께 기도하며 예배하는 생활을 했습니다(행2:43-47).
타락한 백성의 모습은(삿 19:22-26)?
육체적인 일에만 몰두함.
타락은 영적인 면이 어두워진 것으로 빛보다는 어두움을 더 좋아하는 생활입니다. 예수님께서 이세상에 오신 것은 그런 어두움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생명의 빛과 자유의 빛을 주시기 위해서였습니다(요8:12).
나그네에 대한 노인의 태도는(삿 19:22-24)?
차라리 자기 딸을 주더라도 나그네를 살리려 함.
성도는 자기를 희생하면서까지 남을 위해 헌신하며 봉사해야 합니다. 그리스도는 우리를 위해 죽기까지 봉사하셨습니다. 그리스도의 제자된 성도는 그리스도를 본받아 그분의 뜻을 따르는 자가 되어야 합니다(빌2:5).
생사가 걸린 위기가 닥쳤을때 레위인이 취한 태도는(삿 19:24-30)?
자기 첩을 대신 희생시킴.
죄로 인해 우둔해지면 계속 어려움에 부딪히거나, 큰 위기가 닥쳤을때 하나님을 의뢰하는 대신 남을 희생시키고,
온민족을 전쟁으로 몰아넣으며, 한지파를 몰살시키는 지경에까지 이를수도 있다는 것을 레위인은 분명하게 보여주었습니다.
불의에 대해서 성도가 취할 태도는(삿 19:27-30)?
신앙적인 자세를 견지하면서 단호하게 불의에 대처해야 함.
성도에게는 거룩한 분노라는 것이 있습니다. 의롭지 못한 일에는 하나님의 심판의 정신을 가지고 단호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성전에서 불의한 일이 일어나고 있을때 불의한 자들을 향해 채찍을 휘두르셨습니다.
출처 : 갓피플
'사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사사기 21장 (0) | 2012.06.28 |
---|---|
[성경 QA자료] 사사기 20장 (0) | 2012.06.28 |
[성경 QA자료] 사사기 18장 (0) | 2012.06.28 |
[성경 QA자료] 사사기 17장 (0) | 2012.06.28 |
[성경 QA자료] 사사기 16장 (0) | 2012.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