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서의 내용은 앞서 요나가 보여 준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인다. 즉 요나를 통한 니느웨의 구원의 모습과 구원받는 니느웨가 또다시 범죄함으로 인하여 하나님의 심판을 받는 모습인 것이다. 니느웨의 멸망은 유다 민족들에게는 기쁨이요, 희망이었다. 니느웨의 멸망이 오늘날 우리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뜻은 무엇이며, 왜 니느웨가 멸망 받아야만 했는가를 알아봄으로써 우리들 신앙의 모습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니느웨에 대한 하나님의 경고(나1장)
하나님께서는 나훔 선지자를 통하여 니느웨에 대한 심판의 경고를 하신다.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모습은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가?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묘사는 어떻게 기록되어 있는가? 하나님의 공의로운 모습이 유다 백성들에게는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가?

1) 심판주와 구속주
나훔 선지자가 원수들을 벌하는 모습을 통해 하나님의 공의로우심과 선하심을 볼 수 있다(나1:2-7). 하나님께서는 하나님께 대적하는 자들에게 보복하신다(나1:2).이들에게는 하나님이 투기하시는 하나님, 보복하시는 하나님, 진노하시는 하나님으로 묘사되고 있다(나1:2). 이 말의 의미는 모든 사람들이 하나님께 회개하기를 원하시며, 끝까지 회개치 않는 사람들에게 내려지는 하나님의 모습을 가리키고 있다. 니느웨에게 내려지는 심판은 하나님의 백성들에게는 임하지 않으며, 하나님을 대적하는 사람들에게만 임한다. 앗수르가 아무리 강하고 번성하다 할지라도(나1:12) 그들은 하나님의 심판을 모면치 못할 것이다. 앗수르에 대한 심판의 모습은 유다인들에게는 구원의 기쁜 소식이었다. 하나님께서는 유다인의 멍에를 벗겨 주시겠다고 한다(나1:13). 여기서 말하는 멍에는 유다인들이 앗수르에 종속되어 그들에게 조공을 바치는 괴로움을 말하고 있다(왕상18:14). 즉 니느웨에게는 심판주로서 그리고 유다인들에게는 구원의 하나님으로서 묘사되고 있다.

2) 산성이신 하나님
하나님은 공의의 하나님이시다. 죄인들에게는 벌을, 의인들에게는 상급을 주신다.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죄를 회개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다. 그러나 끝까지 회개하지 않는 사람들은 결국 하나님의 심판을 받게 된다. 따라서 성도들은 어떠한 환난이 올지라도 하나님께서 보호하여 주신 다는 사실을 확신하며, 그분을 의지하여야 할 것이다.

2. 심판당하는 니느웨(나2장)
하나님께서 유다 백성들을 구원하여 주시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하나님께서 니느웨를 멸망하기 위하여 도구로 사용한 나라는 어떤 나라인가? 그 나라의 군사력은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가? 니느웨가 멸망 당하는 과정은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가?

1) 비참한 종말과 회개의 삶
하나님께서 앗수르로부터 유다인들을 회복시키는 이유는 앗수르가 유다를 약탈하였고 포도나무 가지를 없앴기 때문이었다.(나1:2). 여기서 말하는 포도나무는 하나님의 택한 백성인 유다인들을 가리키고 있다(사5:1-7). 하나님께서는 유다인들에게 하나님의 택한 백성이 누려야 할 축복을 허락 하셨으며(나2:2), 앗수르를 멸하기 위하여 파괴자를 보내셨다(나2:1). 그 파괴자는 바벨론과 메대의 연합군을 말하는데, 이들 연합군은 나보라폴라살(Nabopolassar)과 씨악사레스(Cyaxares)를 선두로 하여 니느웨를 주전 612년에 함락시켰다. 결국 함락된 앗수르는 삶의 희망을 잃어버리고 낙심과 절망 속에서 살아가게 된다(나2:10)

2) 하나님의 절대적 주권
인류의 역사는 하나님께서 주관하신다. 니느웨를 멸하시겠다고 경고하신 하나님께서는 그 말씀을 실천하신다. 결국 니느웨는 멸망 당하게 되고 유다인들은 구원을 얻게 된다. 그 누구도 감당 못할 정도로 막강하였던 앗수르조차도 하나님의 주권 앞에서는 무용지물이 되고 만 것이다.

3. 니느웨의 죄악과 멸망(나3장)
니느웨가 하나님의 진노의 대상이 되어 심판을 받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심판 당하는 니느웨의 모습은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가? 니느웨의 죄악으로 인해 멸망 당해야 하는 필연성을 강조하면서 예로 든 도시는 어디인가? 하나님의 심판으로 인한 니느웨의 모습은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가?

1) 부도덕한 삶의 모습
니느웨 성은 온갖 악행이 자행되고 있었다(나3:1). 그리고 그들은 마술과 음행으로 일관하는 생활이었다(나3:4). 즉 우상 숭배를 하는 삶이었음을 보여 준다. 이들의 이러한 모습은 결국 하나님의 심판을 자초하게 된 것이다. 니느웨는 많은 사람들의 조롱거리가 될 것이며(나3:6), 그들의 멸망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전파될 것이라고 한다(나3:7). 나훔은 니느웨의 멸망을 '노아몬'이라는 도시를 비유로 들어 필연성을 설명한다(나3:8-11). 이 도시는 나일강변에 위치하고 있는 '테베'(Thebes)를 가리킨다. 니느웨보다 모든 조건이 좋았지만 그들 역시 자신들의 죄악으로 인해 멸망 당하게 된 사실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니느웨의 거민들이 연합군의 침공으로부터 피하려고 하였지만 결국은 실패하고 말았다고 암시하고 있다(나3:12).

2) 물질적 풍요와 영적인 풍요
인간들에게는 항상 이 두 가지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어디에 우선 순위를 두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삶의 방향이 달라지는 것이다. 물질적 풍요를 누리며 사는 것이 죄악으로 인한 것이라면 결국은 심판을 당하게 될 것이다.


나훔 선지자를 통해 전개되는 니느웨에 대한 심판의 모습은 오늘날 자신의 죄악을 알면서도 회개하지 아니하는 많은 성도들에게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하나님은 오래 참으시는 하나님이시다. 그러나 니느웨는 계속되는 죄악으로 인해 결국은 멸망 받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오늘날 성도들도 계속되는 죄악으로 인해 멸망 받기보다는 회개의 삶을 살아야 하며, 어떠한 어려움이 닥쳐올지라도 소망을 가지고 그 환난을 이겨 나가야 할 것이다.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나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나훔 1장  (0) 2012.05.16
[연구자료] 니느웨의 멸망 (나훔 1~3장) - 2  (0) 2012.04.30
[연구자료] 나훔 - 2  (0) 2012.04.30
[연구자료] 나훔 - 1  (0) 2012.04.30
조문객 없는 장례식 (나3:7, 19)  (0) 2012.04.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