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하나님의 구속의 사랑 (피영민 목사)

 

[호세아 3장 1절~5절]

1절 -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이스라엘 자손이 다른 신을 섬기고 건포도 과자를 즐길지라도 여호와가 그들을 사랑하나니 너는 또 가서 타인의 사랑을 받아 음녀가 된 그 여자를 사랑하라 하시기로

2절 - 내가 은 열다섯 개와 보리 한 호멜 반으로 나를 위하여 그를 사고

3절 - 그에게 이르기를 너는 많은 날 동안 나와 함께 지내고 음행하지 말며 다른 남자를 따르지 말라 나도 네게 그리하리라 하였노라

4절 - 이스라엘 자손들이 많은 날 동안 왕도 없고 지도자도 없고 제사도 없고 주상도 없고 에봇도 없고 드라빔도 없이 지내다가

5절 - 그 후에 이스라엘 자손이 돌아와서 그들의 하나님 여호와와 그들의 왕 다윗을 찾고 마지막 날에는 여호와를 경외하므로 여호와와 그의 은총을 나아가리라


호세아 3장은 구속이라는 어려운 교리를 사랑의 연속극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호세아의 아내 고멜은 우상숭배에 따르는 '건포도 떡맛'에 빠져 결국 노예시장에 팔리는 신세가 되었다.

고멜의 남편 호세아는 수동적으로 아내가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사람이 아니요, 행동하는 사랑을 보였다.

하나님이 우리를 먼저 찾아 오시지 않았다면 우리는 소망도 구원도 없는 존재가 되었을 것이다.

고멜을 향한 호세아의 사랑으로 예표되는 하나님의 사랑은 세가지 특징이 있다.

 

1. 하나님의 사랑은 구속적인 사랑이다.

구속이란 원래 자기의 것을 돈주고 다시 산다는 의미이다.

  1) 사람들이 노예가 되는 경우는 세가지이다.

    - 전쟁에서 포로된 경우

    - 부모가 노예인 경우

    - 빚을 갚을 수 없는 경우 (고멜의 경우)

  2) 호세아는 고멜이 본래 자기 아내임에도 불구하고 노예시장에서 돈을 주고 사야만 했다.

  3) 호세아가 고멜을 구속한 것은 하나님이 택하신 자기백성을 죄에서 구속하신 사건의 예표이다.

    -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의 생명과 피를 속전으로 내어 놓으시고 자기 백성을 다시 사셨다.

  4) 신약성서에는 구속, 속전, 대속물이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 마태복음 20:28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

    - 디도서 2:14 그가 우리를 대신하여 자신을 주심은 모든 불법에서 우리를 속량하시고 우리를 깨끗하게 하사 선한 일을 열심히 하는 자기 백성이 되게 하려 하심이라

    - 베드로전서 1:18~19 너희가 알거니와 너희 조상이 물려 준 헛된 행실에서 대속함을 받은 것이 은이나 금 같이 없어질 것으로 된 것이 아니요 오직 흠 없고 점 없는 어린 양 같은 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로 된 것이니라

 

2. 하나님의 사랑은 명령적인 사랑이다.

  1) 호세아는 고멜을 사서 주인이 되었기 때문에 명령할 수 있는 법적 자격을 얻었다. (3절)

    - 나와 함께 지내라

    - 더이상 창녀 노릇하지 말라

    - 다른 남자를 가까이 말라

  2) 출애굽기 20장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십계명을 명령하셨다. 그 이유는 애굽땅 노예상태에서 해방시키셨기 때문이다.

    - 출애굽기 20:2 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네 하나님 여호와니라

  3) 왜 하나님이 우리 삶에 명령권을 가지시느냐? 독생자 예수님의 피값으로 우리를 사셨기 때문이다.

    - 고린도전서 6:19~20 너희 몸은 너희가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바 너희 가운데 계신 성령의 전인 줄을 알지 못하느냐 너희는 너희 자신의 것이 아니라 값으로 산 것이 되었으니 그런즉 너희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

 

3. 하나님의 사랑은 보상적인 사랑이다.

  1) 호세아도 3절 후반에 "나도 네게 그리하리라" 아내의 모든 자격을 회복시키겠다는 것이다.

  2) 하나님의 사랑은 이스라엘 미래 역사에 그대로 실현 되었다. (4~5절)

 

  결론

1. 구속적 사랑을 받은 성도는 여호와를 경외해야 한다.

2. 하나님은 성도들에게 은총 즉, 선하심을 베풀어 주신다.

3. 하나님의 선하심은 이생뿐 아니라, 영원 내세에도 체험할 수 있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