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룻기 1장 15절~22절]
15절 - 나오미가 또 이르되 보라 네 동서는 그의 백성과 그의 신들에게로 돌아가나니 너도 너의 동서를 따라 돌아가라 하니
16절 - 룻이 이르되 내게 어머니를 떠나며 어머니를 따르지 말고 돌아가라 강권하지 마옵소서 어머니께서 가시는 곳에 나도 가고 어머니께서 머무시는 곳에서 나도 머물겠나이다 어머니의 백성이 나의 백성이 되고 어머니의 하나님이 나의 하나님이 되시리니
17절 - 어머니께서 죽으시는 곳에서 나도 죽어 거기 묻힐 것이라 만일 내가 죽은 일 외에 어머니를 떠나면 여호와께서 내게 벌을 내리시고 더 내리시기를 원하나이다 하는지라
18절 - 나오미가 룻이 자기와 함께 가기로 굳게 결심함을 보고 그에게 말하기를 그치니라
19절 - 이에 그 두 사람이 베들레헴까지 갔더라 베들레헴에 이를 때에 온 성읍이 그들로 말미암아 떠들며 이르기를 이이가 나오미냐 하는지라 20절 - 나오미가 그들에게 이르되 나를 나오미라 부르지 말고 나를 마라라 부르라 이는 전능자가 나를 심히 괴롭게 하셨음이니라
21절 - 내가 풍족하게 나갔더니 여호와께서 내게 비어 돌아오게 하셨느니라 여호와께서 나를 징벌하셨고 전능자가 나를 괴롭게 하셨거늘 너희가 어찌 나를 나오미라 부르느냐 하니라
22절 - 나오미가 모압 지방에서 그의 며느리 모압 여인 룻과 함께 돌아왔는데 그들이 보리 추수 시작할 때에 베들레헴에 이르렀더라

1. 시어머니 나오미는 남편을 잃은 두 며느리에게 친정으로 돌아가 새로운 삶을 살라고 권고합니다. 그러자 룻의 동서인 오르바는 어떤 선택을 합니까?(15절)
시어미니의 제안을 받은 오르바는 남편이 죽은 후 그 백성과 그 신(모압)에게 돌아갔습니다.
나오미의 인간적인 설득은 오르바의 마음을 흔들어 놓았습니다. 사실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는 시어머니를 따라 베들레헴으로 간다는 것은 앞날을 전혀 보장받을 수 없는 행동입니다. 그녀는 나오미의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설득에 모압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습니다. 하나님을 따라 믿음의 길을 가다가도 상황과 환경이 열리지 않으면 쉽게 이성과 경험을 의지하게 됩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오르바의 행동입니다. 그녀는 유다 사람에게 시집을 와서 유다 사람의 풍습과 문화를 좇아 이스라엘이 섬기는 하나님을 따랐습니다. 그러나 고향으로 돌아가면 더 이상 하나님을 섬길 수 없습니다. 그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남편이 죽게 되자 오르바는 자신이 믿던 하나님을 버립니다. 여기서 남편과 가족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하나님을 섬겼던 오르바의 내면을 엿볼 수 있습니다.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과 가까이 있고 가족과 함께 교회에 다니고 있다 할지라도 자신이 가슴으로 하나님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진정한 믿음을 소유할 수 없습니다. 외형적으로는 신앙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믿음은 결정적인 순간에 드러나게 되어 있습니다.

2. 룻은 남편을 잃고 동서인 오르바도 떠난 상황에서 어떻게 하기로 결심합니까?(16절)
룻은 자신에게 어머니를 떠나 어머니를 따르지 말고 돌아가라고 강권하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어머니가 가시는 곳에 자신도 가며, 어머니가 머무시는 곳에 자신도 머물며, 어머니의 백성이 자신의 백성이 되고 어머니의 하나님이 자신의 하나님이 될 것이며, 어머니가 죽는 곳에서 자신도 죽겠다고 간청했습니다.
오르바와 달리 룻은 시어머니를 따라 베들레헴으로 가겠다고 했습니다. 그녀의 이러한 고백은 단지 어머니에 대한 가족애를 넘어 하나님께 대한 신앙고백 수준에 이르는 것입니다. 룻은 어머니의 백성이 나의 백성이 되고 어머니의 하나님이 나의 하나님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룻의 고백은 진실로 여호와만이 참 하나님이 되신다는 올바른 신앙에 근거한 것입니다. 룻은 아무런 희망이 없어 보이는 곳으로 시어머니를 따라가겠다고 결심했습니다. 룻의 이러한 결심은 완전한 자기희생의 신앙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하나님께 대한 충성심의 표현이며 사랑과 헌신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룻의 결단은 신앙의 결단이며 하나님께 대한 믿음의 고백입니다.

3. 시어머니 나오미와 함께하고 싶다는 룻의 굳은 결의를 읽을 수 있는 부분은 어디이며 그녀가 뜻을 정한 내용은 무엇입니까?(17절)
룻은 어머니가 죽는 곳에서 자신도 죽어 거기 장사되고 싶고, 자신이 죽는 일 외에 어머니를 떠나면 여호와께서 벌을 내리시고 더 내리시기를 원한다고 고백했습니다.
룻은 자신의 확고한 신념을 보여 주기 위해 이스라엘 사회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서약의 형태인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했습니다. 룻이 맹세할 때 ‘여호와’(Jehovah)라는 명칭을 사용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여호와란 성호는 언약 공동체인 이스라엘 사회에서만 사용하는 고유한 명칭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룻이 이 명칭을 사용했다는 것은 그녀가 이제 언약의 백성으로 새롭게 거듭났음을 뜻합니다. 이러한 룻의 신앙에 근거해 볼 때, 그녀는 맹세할 때 언약을 어긴 자에게 반드시 벌을 내리시는 여호와를 경외하는 마음으로 엄숙히 맹세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룻은 이방 여인이지만 믿음 안에서 자신이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거할 수 있음을 확신했습니다. 우리는 본문을 통해서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은 혈통이 아니라 믿음임을 분명하게 깨닫게 됩니다. 룻은 단순히 어머니를 따라 베들레헴에 간 것이 아닙니다. 그녀는 하나님을 따라 신앙의 숭고한 여정을 선택한 것입니다.

4. 최근에 하나님을 향한 믿음과 현실 사이에 갈등을 겪은 일이 있다면 나눠 보십시오. 그때 어떤 선택을 했고, 어떤 결과를 얻었습니까?
룻은 자신이 처한 상황과 상관없이 하나님을 따르기로 결심했습니다. 자신에게 유리한 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따르기로 선포했습니다. 사람은 인생에서 위기를 만나게 되면 그것을 면하기 위해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선택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룻은 달랐습니다. 그녀의 선택 기준은 하나님을 따르는 것이지 위기를 모면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룻은 하나님을 따르기 위해 자신을 포기하고 희생했습니다. 룻의 신앙은 현실과 타협하지 않는 신앙이었습니다. 끝까지 믿음으로 인내하면 하나님의 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룻은 죽음이 갈라놓을 때까지 어머니를 따르기로 결심했습니다. 어머니가 어떤 곳에 가시든 자신도 함께 가겠다고 했습니다. 상황과 환경을 초월한 온전한 충성입니다. 우리는 룻의 충성의 결과를 잘 알고 있습니다. 룻은 다윗의 족보에 들어가 예수 그리스도의 혈통에 속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이방 여인 룻을 선택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룻을 그분의 거룩한 비전을 이루는 동역자로 삼으셨습니다. 우리가 믿음으로 반응하기만 하면 하나님의 비전이 우리를 통해 완성될 것입니다.

5. 하나님께 충성한다는 것은 일상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는 것인지를 나눠 봅시다.
충성은 상황과 환경을 초월해 하나님을 따르는 것입니다. 충성은 사랑에서 기인합니다. 충성은 곧 사랑의 문제입니다. 하나님께 충성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선하심과 전능하신 성품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합니다. 룻은 결혼과 동시에 남편이 믿는 하나님을 알게 되었고 자신의 모든 가치관과 생활양식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바꾸기로 결심했습니다. 이것은 그녀가 하나님을 따르기 불편한 상황과 조건에서도 충직하게 하나님께 대한 신의를 지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 대한 순수한 사랑으로 하나님을 따르는 사람은 조건과 환경에 의해 결코 흔들리지 않습니다. 룻에게서 배울 수 있는 것은 이런 마음입니다. 그녀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이었습니다. 하나님 한 분만으로 만족하기 때문입니다.

 

 

출처 : 생명의 삶



'룻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룻기 1장 - 매튜헨리  (0) 2013.03.13
말씀대로 내가 다 행하리이다 (룻 3:1~9)  (0) 2013.02.27
[성경 QA자료] 룻기 4장  (0) 2012.05.23
[성경 QA자료] 룻기 3장  (0) 2012.05.23
[성경 QA자료] 룻기 2장  (0) 2012.05.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