룻의 구원 과정을 보면(룻 3:1-18)?
원래는 이방인이었고 죄인이었으며 여호와의 총회에 들어올 수 없는 자였음.
그러나 룻은 하나님을 믿음으로써 믿음의 행위를 보였으며 자기를 부인했음.
그 결과 하나님의 백성이 되었고 축복의 약속을 받았으며 그리스도의 조상이 되는 영광을 얻게 되었습니다.
시어머니 나오미가 세운 룻의 결혼 계획은(룻 3:1-5)?
보아스를 기업무를 자로 정하고 룻에게 행할 바를 지시함.
나오미는 며느리 룻과 보아스의 결혼을 위해 하나의 계획을 세웠는데 그 계획이란 타작하는 날 밤에 룻이 보아스의 침소에 찾아가서 기업무를 자로서의 의무를 이행하기를 요구하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룻은 시모 나오미의 말에 아무런 불평없이 그대로 순종하였습니다.
‘안식할 곳’이라는 말의 의미는(룻 3:1)?
가정을 가리키는 말로써 나오미가 룻을 위하여 새로운 남편을 구해주겠다는 뜻임.
가정은 생활의 토대요 신앙 교육의 산 도장이며 외롭고 고단한 심신을 달래주는 안식처입니다. 때문에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먼저 내 가정을 신앙 공동체로 가꾸어야 합니다.
시어머니인 나오미가 룻을 향해 은혜를 고백하는 이유는(룻 3:10)?
하나님께서 며느리 룻을 통하여 가정의 대를 잇고 하나님의 기업을 세우실 것을 믿었기 때문임.
현숙한 여인이 가지고 있는 특징은(룻 3:11)?
여호와를 경외하고 정욕을 좇지 않음(룻 10, 11절).
부모를 공경하여 타인의 칭찬을 받음(룻 5,10절).
남편에게 선을 행하고 가사를 잘 돌봄(잠31:12-19).
가난한 자를 구제하고 타인에게 지혜를 베풂(잠31:20,26).
남편의 칭찬과 자식의 공경을 받음(잠31:28,29).
‘기업을 무른다’는 의미는(룻 3:13)?
자기 형제나 친족이 어려움에 처했을때 그것을 해결해주어야 하는 의무를 시행한다는 의미.
본문에서는 친족의 부인과 결혼하여 자식을 낳게 함으로 그 죽은 자의 대를 이어주는 일을 의미함.
고대 사회에서는 여자의 청혼은 흔치 않은 일이지만 이같은 룻의 특이한 행위는 기업을 잇기 원하고 기업 회복을 위한 간절한 소망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그 당시 행음자들에 대한 형벌은(룻 3:14)?
이스라엘의 규례에 의해 돌에 맞아 죽임을 당함.
추수때는 주인과 일꾼들이 타작마당 근처에서 잠을 자면서 밤에 습격해 올지 모르는 도적들에 대비했습니다. 때문에 보아스는 다른 사람들이 행음하는 것으로 오해하지 않도록 철저히 경계시켰습니다.
‘가만히 앉아 있으라’는 표현의 의미는(룻 3:18)?
모든 일을 주관하시는 분이 여호와 하나님이란 신앙의 표현임.
여기에서 나오미는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경륜의 손길을 느끼고 확고한 신앙에 서있었고 하나님의 일하실 때를 기다리는 지혜로운 면모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인간으로서 해야할 일을 다한 후에는 모든 것을 하나님께 맡김으로써 모든 염려와 불안에서 해방될 수 있습니다.
출처 : 갓피플
'룻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머니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룻 1:15~22) (0) | 2013.02.27 |
---|---|
[성경 QA자료] 룻기 4장 (0) | 2012.05.23 |
[성경 QA자료] 룻기 2장 (0) | 2012.05.23 |
[성경 QA자료] 룻기 1장 (0) | 2012.05.23 |
[연구자료] 사랑에 대한 보상 (룻기 3, 4장) - 2 (0) | 2012.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