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살롬의 음모와 암논의 운명
[사무엘하 13장 15절~29절]
15절 - 그리하고 암논이 그를 심히 미워하니 이제 미워하는 미움이 전에 사랑하던 사랑보다 더한지라 암논이 그에게 이르되 일어나 가라 하니
16절 - 다말이 그에게 이르되 옳지 아니하다 나를 쫓아보내는 이 큰 악은 아까 내게 행한 그 악보다 더하다 하되 암논이 그를 듣지 아니하고
17절 - 그가 부리는 종을 불러 이르되 이 계집을 내게서 이제 내보내고 곧 문빗장을 지르라 하니
18절 - 암논의 하인이 그를 끌어내고 곧 문빗장을 지르니라 다말이 채색옷을 입었으니 출가하지 아니한 공주는 이런 옷으로 단장하는 법이라
19절 - 다말이 재를 자기의 머리에 덮어쓰고 그의 채색옷을 찢고 손을 머리 위에 얹고 가서 크게 울부짖으니라
20절 - 그의 오라버니 압살롬이 그에게 이르되 네 오라버니 암논이 너와 함께 있었느냐 그러나 그는 네 오라버니이니 누이야 지금은 잠잠히 있고 이것으로 말미암아 근심하지 말라 하니라 이에 다말이 그의 오라버니 압살롬의 집에 있어 처량하게 지내니라
21절 - 다윗 왕이 이 모든 일을 듣고 심히 노하니라
22절 - 압살롬은 암논이 그의 누이 다말을 욕되게 하였으므로 그를 미워하여 암논에 대하여 잘잘못을 압살롬이 말하지 아니하니라
23절 - 만 이 년 후에 에브라임 곁 바알하솔에서 압살롬이 양 털을 깎는 일이 있으매 압살롬이 왕의 모든 아들을 청하고
24절 - 압살롬이 왕께 나아가 말하되 이제 종에게 양 털 깎는 일이 있사오니 청하건대 왕은 신하들을 데리시고 당신의 종과 함께 가사이다 하니
25절 - 왕이 압살롬에게 이르되 아니라 내 아들아 이제 우리가 다 갈 것 없다 네게 누를 끼칠까 하노라 하니라 압살롬이 그에게 간청하였으나 그가 가지 아니하고 그에게 복을 비는지라
26절 - 압살롬이 이르되 그렇게 하지 아니하시려거든 청하건대 내 형 암논이 우리와 함께 가게 하옵소서 왕이 그에게 이르되 그가 너와 함께 갈 것이 무엇이냐 하되
27절 - 압살롬이 간청하매 왕이 암논과 왕의 모든 아들을 그와 함께 그에게 보내니라
28절 - 압살롬이 이미 그의 종들에게 명령하여 이르기를 너희는 이제 암논의 마음이 술로 즐거워할 때를 자세히 보다가 내가 너희에게 암논을 치라 하거든 그를 죽이라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희에게 명령한 것이 아니냐 너희는 담대히 용기를 내라 한지라
29절 - 압살롬의 종들이 압살롬의 명령대로 암논에게 행하매 왕의 모든 아들들이 일어나 각기 노새를 타고 도망하니라
* 주제별 목록 작성
다윗 집안의 분위기(미움과 갈등)
15절 : 암논이 다말을 미워함
19-20절 : 다말이 울며 집에 가 처량히 지냄
21절 : 암논의 범행에 다윗이 심히 노함
22절 : 압살롬이 암논을 미워함
23-29절 : 압살롬이 계획대로 암논을 죽임
* 도움말
1. 나를 쫓아 보내는 이 큰 악(16절) : 약혼하지 않은 처녀와 관계를 맺은 남자는 반드시 그를 아내로 맞아들여야 했다(출 22:16).
2. 손을 머리 위에 얹고(19절) : 머리에 손을 얹는 것은 고대 근동에서 슬픔의 표시였다(렘 2:37).
3. 시비간에(22절) : 문자적으로 ‘나쁘고 싫은 것은 물론이고 좋은 것 조차도’라는 의미이다.
4. 양털을 깎는 일(23절) : 원뜻은 ‘자르다’, ‘베다’, ‘깎다’로 유대인들에게는 추수감사절에 해당하는 양털깎는 잔치를 가르킨다. 양털깎기는 며칠 동안 계속되는 마을 전체의 축제였다.
* 말씀묵상
암논의 범행에 대한 아버지 다윗의 묘연한 태도는 압살롬이 스스로 왕의 권위를 행사하여 암논을 살해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였습니다. 결국 암논과 압살롬 사이의 보이지 않는 갈등은 점점 잘못된 방향으로 가시화되기 시작합니다.
1. 회복되지 않은 화목
15절에서는 다말에 대한 암논의 미움이 다말에 대한 육체적인 매력보다 더 컸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암논의 미움은 갑작스런 감정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이전부터 있던 압살롬에 대한 그의 감정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실의에 빠진 다말에게 한 압살롬의 첫 마디가 “네 오라비 암논이 너와 함께 있었느냐”(20절)라는 완곡한 질문이었다는 사실은 상당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압살롬은 2년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암논을 죽임으로 승리를 거둡니다. 하지만 이것은 압살롬에게 다가올 비극적인 사건들을 예고하는 새로운 문제의 시작일 뿐이었습니다. 이렇게 다윗 왕가의 화평과 화목은 깨어지고 인간적 술수와 반목으로 혈전이 끊이질 않게 됩니다.
2. 권력에 묻힌 희생양
다말은 암논 개인의 욕정과 압살롬의 누이라는 사실로 말미암아 권력찬탈의 미묘한 소용돌이에 희생양이 되고 맙니다. 다말에 대한 정당한 보상은 결코 암논의 죽음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압살롬 개인의 보복에 불과했으며, 이 이야기 후에 다말은 어디에서도 보상받지 못한 채 이야기의 전면에서 소리없이 사라지고, 대신 권력 쟁취를 위한 비겁한 술수만이 재등장합니다. 어쩌면 오늘날에도 권력의 이기심과 개인의 욕망으로 인해 힘없는 한 사람이 쓰러지고 사라지는 일들이 여기저기에서 일어나고 있을지 모릅니다. 우리 주변에 다말과 같이 보상받지 못한 채 입을 잠잠히 하고 슬픔을 뒤집어쓰고 있는 자는 누구일까요? 배제되고 소외된 그 사람을 어떻게 위로할 수 있을까요?
[도움질문]
1. 암논이 다말에게 저지른 죄악에 대한 다윗의 태도는 어떠합니까?(21절)
2. 아름다운 신앙의 유산을 전달하지 못하고 속고 속이는 죄의 전형을 전달하고만 다윗의 가정을 보면서 당신의 가정을 진단해 보십시오.
3. 상대방에 대한 원수 갚음은 곧 자기 자신을 파멸로 몰고 갈 뿐입니다. 화해를 되찾는 당신의 지혜로운 방법은 무엇입니까?
제공:프리셉트
'사무엘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의 맹세에 구속된 다윗 (삼하 14:4~17) (0) | 2013.11.14 |
---|---|
통곡하는 아버지 (삼하 13:30~14:3) (0) | 2013.11.14 |
암논과 다말의 비극적 만남 (삼하 13:1~14) (0) | 2013.11.14 |
여호와의 은혜의 회복 (삼하 12:16~31) (0) | 2013.11.13 |
하나님의 유죄 선고 (삼하 12:1~15) (0) | 2013.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