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곡하는 아버지
[사무엘하 13장 30절~39절]
30절 - 그들이 길에 있을 때에 압살롬이 왕의 모든 아들들을 죽이고 하나도 남기지 아니하였다는 소문이 다윗에게 이르매
31절 - 왕이 곧 일어나서 자기의 옷을 찢고 땅에 드러눕고 그의 신하들도 다 옷을 찢고 모셔 선지라
32절 - 다윗의 형 시므아의 아들 요나답이 아뢰어 이르되 내 주여 젊은 왕자들이 다 죽임을 당한 줄로 생각하지 마옵소서 오직 암논만 죽었으리이다 그가 압살롬의 누이 다말을 욕되게 한 날부터 압살롬이 결심한 것이니이다
33절 - 그러하온즉 내 주 왕이여 왕자들이 다 죽은 줄로 생각하여 상심하지 마옵소서 오직 암논만 죽었으리이다 하니라
34절 - 이에 압살롬은 도망하니라 파수하는 청년이 눈을 들어 보니 보아라 뒷산 언덕길로 여러 사람이 오는도다
35절 - 요나답이 왕께 아뢰되 보소서 왕자들이 오나이다 당신의 종이 말한 대로 되었나이다 하고
36절 - 말을 마치자 왕자들이 이르러 소리를 높여 통곡하니 왕과 그의 모든 신하들도 심히 통곡하니라
37절 - 압살롬은 도망하여 그술 왕 암미훌의 아들 달매에게로 갔고 다윗은 날마다 그의 아들로 말미암아 슬퍼하니라
38절 - 압살롬이 도망하여 그술로 가서 거기에 산 지 삼 년이라
39절 - 다윗 왕의 마음이 압살롬을 향하여 간절하니 암논은 이미 죽었으므로 왕이 위로를 받았음이더라
[사무엘하 14장 1절~3절]
1절 - 스루야의 아들 요압이 왕의 마음이 압살롬에게로 향하는 줄 알고
2절 - 드고아에 사람을 보내 거기서 지혜로운 여인 하나를 데려다가 그에게 이르되 청하건대 너는 상주가 된 것처럼 상복을 입고 기름을 바르지 말고 죽은 사람을 위하여 오래 슬퍼하는 여인 같이 하고
3절 - 왕께 들어가서 그에게 이러이러하게 말하라고 요압이 그의 입에 할 말을 넣어 주니라
* 주제별 목록 작성
다윗 집안의 분위기(통곡과 연민)
31절 : 다윗과 신복들이 다 옷을 찢음
36절 : 왕자들과 신복들이 심히 통곡함
37절 : 다윗이 날마다 그 아들을 인하여 슬퍼함
39절 : 다윗이 압살롬을 향하여 연민의 정을 느낌
* 도움말
1. 괘념하지 마옵소서(33절) : ‘보고된 내용으로 인해 너무 마음쓰지 마십시오’, ‘들리는 소문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마십시오’라는 의미이다.
2. 그술(37절) : 그술은 아람의 소국 중 하나로 이스라엘 북쪽에 인접해 있었다. 다윗은 그술과 우호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그 나라의 공주 마아가와 정략결혼을 하여, 압살롬이 태어나게 되었다(3:3). 따라서 그술은 압살롬에게 외가의 나라이다.
3. 상제(14:2) : ‘슬퍼하다’, ‘곡하다’는 뜻에서 유래한다. 고인을 잃고 슬픔에 잠긴 유족을 뜻한다.
* 말씀묵상
압살롬은 이스라엘에서는 피난처를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외조부인 그술 왕 암미훌의 아들 달매에게로 갔습니다.
1. 간교한 위로자
다윗을 위로한다는 명목으로 찾아온 사람이 있었습니다. 다윗의 조카이자 처음 암논에게 다말을 범하는 실제적인 방법을 가르쳐준 요나답이었습니다. 그는 이번 일이 단순히 압살롬과 암논 사이의 갈등 정리에 불과할 뿐 다른 왕자들은 무사할 것이며, 이는 압살롬의 준비된 살인 음모임을 천연덕스럽게 말합니다. 그는 양심의 가책이나 도의적인 책임을 느끼지 않고 다윗을 위로했습니다. 요나답의 가증한 위로는 욥의 세 친구의 위로보다 더 우리의 마음을 어둡게 합니다. 희생을 생각지 않는 무책임한 위로는 아무리 정확한 진단과 사실을 전달한다 할지라도 사랑어린 감동을 전달하기 어렵습니다. 참 위로자가 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께서 하셨던 것처럼 희생까지라도 감수해야만 합니다.
2. 채찍없는 감정적 사랑
다윗은 한동안 암논의 죽음을 슬퍼했으나 3년이라는 세월이 흐르자 그 슬픔은 사라지고, 암논에 대하여는 오히려 위로를 받았다고 성경은 말하고 있습니다(39절). 대신 압살롬에 대한 연민의 정이 되살아났습니다. 압살롬을 총애하는 쪽으로 마음이 기울어졌던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다윗의 약점이었습니다. 한 나라의 왕인 다윗은 한 가정의 아버지로서도 모든 자에게 본이 되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도피성도 용납지 않는 고의적인 죄를 지은 죄인 압살롬에 대해 다윗은 개인적인 감정에 치우쳐 훈육과 책망의 이성적 사랑을 저버리고 그저 3년이란 시간만을 소모하고 말았습니다. 자녀들에 대한 때늦은 훈계나 경계의 가르침을 소홀히 여기는 태도는 자녀들이 저지른 죄보다 더 큰 죄가 될 수 있습니다.
[도움질문]
1. 요나답의 보고 내용은 무엇입니까(32-33절)
2. 37절에서 다윗은 누구 때문에 슬퍼한 것입니까? 저자가 불분명하게 3인칭으로 지칭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3. 다윗의 압살롬에 대한 반응을 엘리가 그 아들들에게 취한 행동과 비교해 보십시오. 무엇이 문제입니까?
제공:프리셉트
'사무엘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윗과 압살롬의 재회 (삼하 14:18~33) (0) | 2013.11.14 |
---|---|
자신의 맹세에 구속된 다윗 (삼하 14:4~17) (0) | 2013.11.14 |
압살롬의 음모와 암논의 운명 (삼하 13:15~29) (0) | 2013.11.14 |
암논과 다말의 비극적 만남 (삼하 13:1~14) (0) | 2013.11.14 |
여호와의 은혜의 회복 (삼하 12:16~31) (0) | 2013.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