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에 대처하는 다윗
[사무엘하 15장 24절~37절]
24절 - 보라 사독과 그와 함께 한 모든 레위 사람도 하나님의 언약궤를 메어다가 하나님의 궤를 내려놓고 아비아달도 올라와서 모든 백성이 성에서 나오기를 기다리도다
25절 - 왕이 사독에게 이르되 보라 하나님의 궤를 성읍으로 도로 메어 가라 만일 내가 여호와 앞에서 은혜를 입으면 도로 나를 인도하사 내게 그 궤와 그 계신 데를 보이시리라
26절 - 그러나 그가 이와 같이 말씀하시기를 내가 너를 기뻐하지 아니한다 하시면 종이 여기 있사오니 선히 여기시는 대로 내게 행하시옵소서 하리라
27절 - 왕이 또 제사장 사독에게 이르되 네가 선견자가 아니냐 너는 너희의 두 아들 곧 네 아들 아히마아스와 아비아달의 아들 요나단을 데리고 평안히 성읍으로 돌아가라
28절 - 너희에게서 내게 알리는 소식이 올 때까지 내가 광야 나루터에서 기다리리라 하니라
29절 - 사독과 아비아달이 하나님의 궤를 예루살렘으로 도로 메어다 놓고 거기 머물러 있으니라
30절 - 다윗이 감람 산 길로 올라갈 때에 그의 머리를 그가 가리고 맨발로 울며 가고 그와 함께 가는 모든 백성들도 각각 자기의 머리를 가리고 울며 올라가니라
31절 - 어떤 사람이 다윗에게 알리되 압살롬과 함께 모반한 자들 가운데 아히도벨이 있나이다 하니 다윗이 이르되 여호와여 원하옵건대 아히도벨의 모략을 어리석게 하옵소서 하니라
32절 - 다윗이 하나님을 경배하는 마루턱에 이를 때에 아렉 사람 후새가 옷을 찢고 흙을 머리에 덮어쓰고 다윗을 맞으러 온지라
33절 - 다윗이 그에게 이르되 네가 만일 나와 함께 나아가면 내게 누를 끼치리라
34절 - 그러나 네가 만일 성읍으로 돌아가서 압살롬에게 말하기를 왕이여 내가 왕의 종이니이다 전에는 내가 왕의 아버지의 종이었더니 이제는 내가 왕의 종이니이다 하면 네가 나를 위하여 아히도벨의 모략을 패하게 하리라
35절 - 사독과 아비아달 두 제사장이 너와 함께 거기 있지 아니하냐 네가 왕의 궁중에서 무엇을 듣든지 사독과 아비아달 두 제사장에게 알리라
36절 - 그들의 두 아들 곧 사독의 아히마아스와 아비아달의 요나단이 그들과 함께 거기 있나니 너희가 듣는 모든 것을 그들 편에 내게 소식을 알릴지니라 하는지라
37절 - 다윗의 친구 후새가 곧 성읍으로 들어가고 압살롬도 예루살렘으로 들어갔더라
* 주제별 목록 작성
하나님의 궤(언약궤)
24절 : 사독과 모든 레위 사람들이 메고 와 다윗을 기다림
25절 : 다윗왕이 다시 예루살렘 성으로 메어 가라 명함
29절 : 사독과 아비아달이 다시 예루살렘 성으로 메어 감
* 도움말
1. 사독 … 아비아달(27절) : ‘사독’은 아론의 셋째 아들 엘르아살 가문의 대제사장이고, ‘아비아달’은 아론의 넷째 아들 이다말 가문의 대제사장이다.
2. 선견자(27절) : 기본적 의미는 ‘보다’이며, 꿈이나 이상을 보고 하나님의 뜻을 해독하는 자를 말한다. ‘선지자’와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3. 마루턱(32절) : ‘정상’, ‘꼭대기’란 뜻으로, 구약시대의 산 정상은 여호와께 예배드리는 장소로 많이 사용되었다.
4. 후새(32절) : ‘서두’, ‘급속’이라는 뜻으로, 아히도벨의 계략을 물리친 다윗의 친구이자 고문이다.
* 말씀묵상
압살롬은 그동안 사람들에게 다윗의 판단력이 흐려졌다고 여론을 조성해 왔습니다. 그러나 지금부터 보여지는 다윗의 대책과 결정들은 그의 판단력이 결코 흐려지지 않았음을 확실히 밝혀주고 있습니다.
1. 법궤보다 더 중요한 것
사독과 아비아달은 레위 사람들과 함께 법궤를 메어 와서 내려놓고 다윗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다윗의 변화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옛날의 마음 자세를 그대로 지니고 있었다면 그는 지금쯤 매우 기뻐했을 것입니다. 법궤와 함께하는 한 분명히 여호와께서는 자신을 보호하시고 회복시키실 것이라 믿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제 다윗은 알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법궤는 결코 액운을 때우거나 불확실한 미래를 확실하게 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말입니다. 그는 자신의 모든 것을 여호와의 주권에 맡기며, 법궤를 다시 예루살렘으로 가져갈 것을 명령합니다. 다윗은 하나님께서 자기에게 은혜를 베푸시면 “그 궤와 그 계신 데”(25절), 즉 예루살렘을 다시 수복할 것을 믿었습니다. 이제 그는 법궤가 자기 곁에 있는 것보다 먼저 하나님께서 자기에게 은혜를 베푸시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2. 자의적인 신앙적 법궤
때때로 부닥치는 인생의 어려움 속에서 우리가 진정 붙들고 의지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 잘못된 신앙적 외형과 껍데기는 마음에 일시적인 안도감과 위안을 줄 수는 있어도 어려움 그 자체를 해결해 주지는 못합니다. 믿음의 가문을 가졌다고 해서, 교회에 헌금하는 의무를 다했다고 해서, 또 많은 기도의 동역자를 세워놓았다고 해서 어려움을 피해 가는 것은 아닙니다. 진실로 중요한 것은 마음으로 하나님을 찾는 것입니다. 우리 중심이 하나님의 은혜를 가까이 하도록 합시다.
[도움질문]
1. 다윗이 하나님의 궤를 예루살렘 성으로 돌려보낸 신앙적 이유와 전략적 이유를 말해 보십시오.
2. 사독과 아비아달, 그리고 그들의 아들들과 후새가 각각 맡은 역할은 무엇입니까?
3. 위기를 만났을 때 당신이 은연중에 의지하게 되는 잘못된 신앙적 형식은 무엇입니까?
제공:프리셉트
'사무엘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새의 공작과 아히도벨의 모략 (삼하 16:15~17:4) (0) | 2013.11.15 |
---|---|
광야 길의 간계와 저주 (삼하 16:1~14) (0) | 2013.11.15 |
망명길에 오르는 다윗 (삼하 15:13~23) (0) | 2013.11.15 |
반역을 준비하다 (삼하 15:1~12) (0) | 2013.11.15 |
다윗과 압살롬의 재회 (삼하 14:18~33) (0) | 201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