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역을 준비하다

[사무엘하 15장 1절~12절]
1절 - 그 후에 압살롬이 자기를 위하여 병거와 말들을 준비하고 호위병 오십 명을 그 앞에 세우니라
2절 - 압살롬이 일찍이 일어나 성문 길 곁에 서서 어떤 사람이든지 송사가 있어 왕에게 재판을 청하러 올 때에 그 사람을 불러 이르되 너는 어느 성읍 사람이냐 하니 그 사람의 대답이 종은 이스라엘 아무 지파에 속하였나이다 하면
3절 - 압살롬이 그에게 이르기를 보라 네 일이 옳고 바르다마는 네 송사를 들을 사람을 왕께서 세우지 아니하셨다 하고
4절 - 또 압살롬이 이르기를 내가 이 땅에서 재판관이 되고 누구든지 송사나 재판할 일이 있어 내게로 오는 자에게 내가 정의 베풀기를 원하노라 하고
5절 - 사람이 가까이 와서 그에게 절하려 하면 압살롬이 손을 펴서 그 사람을 붙들고 그에게 입을 맞추니
6절 - 이스라엘 무리 중에 왕께 재판을 청하러 오는 자들마다 압살롬의 행함이 이와 같아서 이스라엘 사람의 마음을 압살롬이 훔치니라
7절 - 사 년 만에 압살롬이 왕께 아뢰되 내가 여호와께 서원한 것이 있사오니 청하건대 내가 헤브론에 가서 그 서원을 이루게 하소서
8절 - 당신의 종이 아람 그술에 있을 때에 서원하기를 만일 여호와께서 반드시 나를 예루살렘으로 돌아가게 하시면 내가 여호와를 섬기리이다 하였나이다
9절 - 왕이 그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하니 그가 일어나 헤브론으로 가니라
10절 - 이에 압살롬이 정탐을 이스라엘 모든 지파 가운데에 두루 보내 이르기를 너희는 나팔 소리를 듣거든 곧 말하기를 압살롬이 헤브론에서 왕이 되었다 하라 하니라
11절 - 그 때 청함을 받은 이백 명이 압살롬과 함께 예루살렘에서부터 헤브론으로 내려갔으니 그들은 압살롬이 꾸민 그 모든 일을 알지 못하고 그저 따라가기만 한 사람들이라
12절 - 제사 드릴 때에 압살롬이 사람을 보내 다윗의 모사 길로 사람 아히도벨을 그의 성읍 길로에서 청하여 온지라 반역하는 일이 커가매 압살롬에게로 돌아오는 백성이 많아지니라

* 주제별 목록 작성
압살롬의 반역 준비
1-6절 : 이스라엘 사람의 마음을 포섭함
7-9절 : 서원을 빌미로 헤브론으로 감
10절 : 나팔을 불어 거사를 알릴 정탐꾼을 각 지파에 보냄
11절 : 200명의 고위 관리들을 제사의 명목으로 함께 데리고 감
12절 : 다윗의 모사 아히도벨을 일행에 합류시킴

 

* 도움말
1. 전배(1절) : ‘얼굴’, ‘앞부분’, ‘선발대’라는 의미로, 여기서는 ‘압살롬을 호위하는 개인 경호대’를 가리킨다.
2. 성문 길 곁에(2절) : 성문과 그 옆은 사람의 통행이 많은 곳이요, 재판과 상거래와 집회가 이뤄지던 곳으로 성읍 생활의 중심이었다.
3. 마음을 도적하니라(6절) : ‘마음을 빼앗아 자기 편으로 돌리다’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반역 의지를 엿볼 수 있는 장면이다.
4. 헤브론(7절) : 헤브론은 반란에 적합한 곳이었다. 이곳에서 다윗이 유다의 왕으로 즉위했으며, 온 이스라엘의 왕이 되었다(5:1). 압살롬은 이곳에서 태어났으므로(3:2-3) 이 성읍과 상당한 유대 관계를 유지했을 것이다. 게다가 헤브론은 다윗의 권좌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안전한 곳이었다.

* 말씀묵상
형을 죽인 압살롬의 칼이 이번에는 다윗을 겨냥합니다. “내가 네 집에 재화를 일으키고”(12:11)라는 하나님의 경고가 그대로 성취된 것입니다.


1. 압살롬의 법원
압살롬은 왕권을 탈취하기로 결심하고 민심을 사기 위해 이미지 메이킹(image making)을 시작합니다. 우선 출입할 때 차기 왕으로서의 왕적 위엄을 보여주기 위해 경호대를 50명이나 세웠고, 아침 일찍 재판을 받으러 오는 자들에게 친절을 베풀었습니다. 그는 재판도 하기 전에 상대방에게 “네 일이 옳고 바르다마는”(3절) 하고 인심을 얻으려 했습니다. 그리고 “네 송사 들을 사람”(3절), 즉 재판관을 왕께서 세우지 않으셨다고 말하여 다윗 왕의 직무유기를 은근히 꼬집고 있습니다. 그는 재판관을 자처하고 자기에게 송사하러 오는 자에게 입을 맞추고 그들의 환심을 사기에 이르렀습니다. 압살롬은 이스라엘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그러나 저자는 압살롬이 이스라엘의 마음을 “도적질 했다”(6절)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2. 잃어버린 아버지
압살롬의 반역은 순식간에 그 세력을 팽창해 갔습니다. 여기서 질문하고 싶은 것은 ‘그가 왜 아버지를 대항했는가’ 하는 점입니다. 그는 아버지에 대한 실망과 상처로 얼룩진 가슴을 안고 있었습니다. 다윗은 그에게 있어 여동생의 강간 사건에 대해 책망하기를 포기한 아버지, 예루살렘으로 돌아와서도 2년 동안 얼굴을 가리운 아버지, 또한 나이가 들면서 무기력하고 판단력이 약해져 가는 아버지였습니다. 다윗은 이미 아버지가 아닌 경쟁의 한 대상자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압살롬의 행위를 ‘반역’이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 표현은 사울이 다윗과 그 따르는 자들을 비난하면서 사용한 단어이기도 합니다(삼상 22:8,13).

[도움질문]
1. 압살롬이 헤브론에 온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입니까?(9-10절)
2. 압살롬이 아버지 다윗을 배역하고 반란을 일으킨 이유를 몇 가지로 설명해 보십시오.
3. 당신의 가정은 어떠한 색과 형을 그려내고 있습니까?



제공:프리셉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