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 및 행정 조직의 정비

[역대상 27장 1절~8절, 16~24절]
1절 - 이스라엘 자손의 모든 가문의 우두머리와 천부장과 백부장과 왕을 섬기는 관원들이 그들의 숫자대로 반이 나누이니 각 반열이 이만 사천 명씩이라 일 년 동안 달마다 들어가며 나왔으니
2절 - 첫째 달 반의 반장은 삽디엘의 아들 야소브암이요 그의 반에 이만 사천 명이라
3절 - 그는 베레스의 자손으로서 첫째 달 반의 모든 지휘관의 우두머리가 되었고
4절 - 둘째 달 반의 반장은 아호아 사람 도대요 또 미글롯이 그의 반의 주장이 되었으니 그의 반에 이만 사천 명이요
5절 - 셋째 달 군대의 셋째 지휘관은 대제사장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요 그의 반에 이만 사천 명이라
6절 - 이 브나야는 삼십 명 중에 용사요 삼십 명 위에 있으며 그의 반 중에 그의 아들 암미사밧이 있으며
7절 - 넷째 달 넷째 지휘관은 요압의 아우 아사헬이요 그 다음은 그의 아들 스바댜이니 그의 반에 이만 사천 명이요
8절 - 다섯째 달 다섯째 지휘관은 이스라 사람 삼훗이니 그의 반에 이만 사천 명이요
16절 - 이스라엘 지파를 관할하는 자는 이러하니라 르우벤 사람의 지도자는 시그리의 아들 엘리에셀이요 시므온 사람의 지도자는 마아가의 아들 스바댜요
17절 - 레위 사람의 지도자는 그무엘의 아들 하사뱌요 아론 자손의 지도자는 사독이요
18절 - 유다의 지도자는 다윗의 형 엘리후요 잇사갈의 지도자는 미가엘의 아들 오므리요
19절 - 스불론의 지도자는 오바댜의 아들 이스마야요 납달리의 지도자는 아스리엘의 아들 여레못이요
20절 - 에브라임 자손의 지도자는 아사시야의 아들 호세아요 므낫세 반 지파의 지도자는 브다야의 아들 요엘이요
21절 - 길르앗에 있는 므낫세 반 지파의 지도자는 스가랴의 아들 잇도요 베냐민의 지도자는 아브넬의 아들 야아시엘이요
22절 - 단은 여로함의 아들 아사렐이니 이들은 이스라엘 지파의 지휘관이었더라
23절 - 이스라엘 사람의 이십 세 이하의 수효는 다윗이 조사하지 아니하였으니 이는 여호와께서 전에 말씀하시기를 이스라엘 사람을 하늘의 별 같이 많게 하리라 하셨음이라
24절 - 스루야의 아들 요압이 조사하기를 시작하고 끝내지도 못해서 그 일로 말미암아 진노가 이스라엘에게 임한지라 그 수효를 다윗 왕의 역대지략에 기록하지 아니하였더라

* 주제별 목록 작성
군과 행정의 원리
1절 : 인수대로 반차를 나눔 / 달마다 교대로 일하게 함

* 도움말
1. 달마다 체번하여(1절) : 12반열로 나뉘어진 병사들이 1년 중 1개월간만 교대로 복무하고 다시 자신의 본업으로 돌아갔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는 소수 정예의 정규군이 아닌 준정규 예비군에 가까운 조직에 대한 언급이다. ‘그들은 한 해에 한 달씩 번갈아 가며 근무를 하였는데’(표준새번역).
2. 역대지략(歷代志略, 24절) : ‘다윗 왕 실록’(공동번역)을 뜻한다.

* 말씀묵상
군대와 행정 조직을 정비하는 데서 다윗의 체계적인 노력이 엿보입니다.

1. 군사 조직의 정비
뛰어난 영성과 행정력을 겸비한 다윗은 다양한 상황에 대비한 조직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상황은 전략적 수요를 고려한 상황입니다. 본문에 제시된 군대 조직은 “달마다 체번하여 들어가며 나오는”(1절)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은 정예의 정규군이 아니라, 비정규 예비군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정규군을 불필요하게 많이 편성하여 국력을 낭비하고 백성들의 일상적인 삶을 박탈하지 않아도 되게 하였을 것입니다. 이들은 교대 근무를 통해 장기적인 병영 생활에 지치지 않았을 뿐 아니라, 30만명에 가까운 병력의 정기적인 훈련을 통해 유사시에 대비할 수 있게 한 것입니다. 다윗은 사람들을 배려하면서도 그 배려가 전체적인 군사력을 약화시키지 않는 공공의 이익과 지혜로운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2. 믿음에 근거한 조직 정비
다윗이 이전에 행했던 인구조사는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다윗은 철저한 행정적 조치들을 취해가면서도 20세 이하의 수효를 조사하지 않았습니다(23절). 단지 이스라엘 자손을 번성케 하신다는 하나님의 약속을 신뢰했습니다. 꼼꼼한 행정, 그러나 하나님의 언약을 의지하는 믿음, 이것이 하나님께서 다윗에게 기대하시는 태도였습니다. 또한 다윗은 인구조사의 결과를 자신의 실록에 기록하지 않았습니다(24절). 이 역시 하나님의 진노 앞에서 그 자료가 무가치하다는 생각을 담고 있는 결정이었을 것입니다. 진정한 회개는 실천을 수반해야 합니다. 다윗은 말로만 회개하는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그에 수반하는 조치들을 취하는 일에 소홀히 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도움질문]
* 본문 관찰
1. 반차를 나누는 기준은 무엇입니까?(1절)
2. 정월의 반장을 맡은 사람은 누구입니까?(2절)
* 깊은 묵상
1. 이스라엘 각 반열의 인원은 몇 명입니까? 그들의 근무일수는 어떻게 전개됩니까?(1절)
2. 다윗은 인구조사시 어떤 조치를 취하였습니까?(23절) 그 결과는 무엇입니까?(24절)
* 적용 질문 
내가 속한 공동체의 조직 원리는 무엇입니까? 그 장단점을 기록해 보십시오.


제공:프리셉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