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심과 택하심을 굳게 하라
[베드로후서 1장 1절~11절]
1절 - 예수 그리스도의 종이며 사도인 시몬 베드로는 우리 하나님과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의를 힘입어 동일하게 보배로운 믿음을 우리와 함께 받은 자들에게 편지하노니
2절 - 하나님과 우리 주 예수를 앎으로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더욱 많을지어다
3절 - 그의 신기한 능력으로 생명과 경건에 속한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셨으니 이는 자기의 영광과 덕으로써 우리를 부르신 이를 앎으로 말미암음이라
4절 - 이로써 그 보배로고 지극히 큰 약속을 우리에게 주사 이 약속으로 말미암아 너희가 정욕 때문에 세상에서 썩어질 것을 피하여 신성한 성품에 참여하는 자가 되게 하려 하셨느니라
5절 - 그러므로 너희가 더욱 힘써 너희 믿음에 덕을, 덕에 지식을,
6절 - 지식에 절제를, 절제에 인내를, 인내에 경건을,
7절 - 경건에 형제 우애를, 형제 우애에 사랑을 더하라
8절 - 이런 것이 너희에게 있어 흡족한즉 너희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알기에 게으르지 않고 열매 없는 자가 되지 않게 하려니와
9절 - 이런 것이 없는 자는 맹인이라 멀리 보지 못하고 그의 옛 죄가 깨끗하게 된 것을 잊었느니라
10절 - 그러므로 형제들아 더욱 힘써 너희 부르심과 택하심을 굳게 하라 너희가 이것을 행한즉 언제든지 실족하지 아니하리라
11절 - 이같이 하면 우리 주 곧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나라에 들어감을 넉넉히 너희에게 주시리라
[배경 이해하기]
베드로후서는 오늘날 터키 북부 지역인 소아시아 반도의 로마령 5개 지역에 흩어져 살면서 극심한 박해를 견디고 있던 성도를 위로하기 위한 두 번째 편지입니다. 베드로전서를 보낸 지 약 2년 후인 AD 66년에 베드로후서를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때 베드로는 자기가 죽을 때가 가까웠음을 암시합니다(1:13~15). 사도이며 목회자였던 베드로는 교회 안에 들어온 거짓 선지자들과 거짓 선생들을 성도가 경계하고 대적하도록 지침을 줘야 했습니다.
그 당시의 거짓 선생들은 주로 영지주의자로서 예수님의 가르침과 성도의 윤리를 무시해도 된다는 도덕 폐기론을 내세우고, 예수님의 성육신과 재림을 부인했습니다. 세상의 기독교 핍박도 문제였지만, 이단의 교리에 미혹되어 예수님을 그리스도라 고백하는 믿음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성도가 생기는 것은 더 심각한 문제였습니다. 그래서 베드로는 거짓 선생들의 정체를 밝히고 그들의 가르침이 거짓임을 주장하며, 성도에게 예수님의 강림을 확신하고 주의 날 곧 심판의 날을 기다리라고 엄중히 권면합니다. 또한 하나님은 아무도 멸망하지 않고 다 회개하고 구원받기를 원하시기 때문에 오래 참고 계시는 것을 기억하고, 거룩한 행실과 경건함으로 하나님의 날이 임하기를 간절히 사모하라고 합니다(3:8~13). 이를 위해서 하나님의 성품에 참여하는 자가 되라고 말합니다.
[인도자를 위한 본문 연구]
본문 연구 1: 신성한 성품에 참여하는 자로 부르심(1~7절)
베드로는 하나님께 부르심을 받은 예수 그리스도의 종이요 사도였습니다. 그는 첫 번째 편지를 보냈던 소아시아 5개 지역에 다시 편지를 쓰고 있습니다. 수신자를 ‘동일하게 보배로운 믿음을 우리와 함께 받은 자들’이라고 칭하는데, 여기서 ‘동일하게 보배로운’이라는 구절은 ‘같은 특권을 가진’이라는 뜻입니다. 곧 베드로 같은 사도든 수신자인 성도든 모두 차별 없이 예수 그리스도의 의에 힘입어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으며 모두 같은 특권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하나님이 ‘보배롭고 지극히 큰 약속을’ 모두에게 주셔서 사도들뿐만 아니라 그의 편지를 받는 모든 성도가 세상에서 썩어질 것을 선택하는 정욕을 피해 ‘신성한 성품에 참여하는 자’가 되게 하셨다고 베드로는 말합니다. 여기서 ‘신성한 성품에 참여하는 자’라는 말은 타종교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인간의 내면에 본래부터 신과 같은 거룩한 성품이 있어서 이것을 잘 계발하면 성인(聖人)이 되고 거스르면 악인(惡人)이 된다는 사상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성도는 예수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성령 안에서의 교제를 통해서만 신성한 성품 곧 하나님의 성품을 닮아 갑니다. 이를 위해 베드로는 여덟 가지 덕목, 즉 믿음, 덕, 지식, 절제, 인내, 경건, 형제 우애, 사랑을 갖추라고 권면합니다.
본문 연구 2: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에 들어가도록 택하심(8~11절)
베드로가 말한 8가지 덕목은 개인이 수양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본문에서 신성한 성품이란 예수 그리스도의 성품을 말합니다.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믿는 성도라면 이 8가지 덕목을 갖춰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성도는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가며 삶에서 선한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살아가지 않는 사람은 세상적인 탐욕으로 영적인 눈이 어두워져 진실의 빛을 잃어버리고 결국 하나님의 영광을 보지 못하는 맹인이 되며, 자신의 옛 죄가 깨끗하게 된 것을 잊어버리고 죄악 된 과거로 돌아가려 합니다. 성도는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부르심(벧전 1:15; 2:9, 21; 3:9; 5:10)과 택하심(벧전 1:2)을 확고하게 붙들 때 실족하지 않습니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로 죄를 용서받고 깨끗하게 해 주신 은총을 잊지 않을 때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나라에 넉넉히 들어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부르심과 택하심을 받은 성도는 이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묵상 포인트]
우리는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의에 힘입어 보배로운 믿음을 받은 사람들입니다. 믿음의 사람들은 이 땅에서 결국 썩어 없어질 것에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성품 곧 믿음, 덕, 지식, 절제, 인내, 경건, 형제 우애, 사랑을 자신 안에 채워 하나님의 부르심과 택하심에 합당하게 살아가야 합니다.
1. 5~7절에 언급된 여덟 가지 신성한 성품 중에서 내게 있는 것과 더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나누어 보세요.
우리는 우리를 창조하시고 구속하시고 그분의 자녀로 부르신 하나님을 닮아가야 합니다. 하나님을 닮아가는 일은 그분의 신성한 성품에 참여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성도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더욱 든든히 하고 하나님을 닮아가도록, 하나님은 세상의 미혹과 위협 속에서 살아가는 성도에게 8가지 덕목을 갖추라고 말씀하십니다. ‘믿음’은 하나님의 전적인 선물로서(엡 2:8~9) 성도의 삶의 기초이며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성도의 응답입니다. ‘덕’은 다른 사람에게 베풀고 나누는 일을 말합니다. ‘지식’이란 성도가 덕 있는 생활을 하고 하나님의 뜻대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혜나 통찰력을 말합니다. ‘절제’는 육체의 욕망을 다스리는 능력으로서 성령의 역사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성령의 열매입니다(갈 5:23). ‘인내’는 하나님을 신뢰하는 가운데 고난과 악에 대항하며 용기 있게 오래 참는 것을 말합니다. ‘경건’은 삶 속에서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며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본받는 것을 뜻합니다. ‘형제 우애’는 초대 교회 시기에 믿음 안에서 형제자매가 된 그리스도인들의 교제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믿음’으로 시작된 그리스도인의 덕목은 ‘사랑’으로 완성됩니다. ‘사랑’은 모든 덕목 가운데 으뜸이며(고전 13장), 사랑의 본체이신 하나님이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통해서 완전한 사랑의 본을 이 세상에 보여 주셨습니다. 곧 이 ‘사랑’은 남을 위한 자기희생이며 하나님이 우리 속에 이루고자 하시는 것입니다(요 3:16; 롬 5:5; 요일 3:16; 4:8). 그리스도인에게 이 모든 덕목은 중요하며, 자신의 삶에서 이 모든 덕목을 ‘흡족하게’ 드러내야 합니다.
2. 영원한 나라에 넉넉히 들어가기 위해 더욱 힘써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나누어 보세요.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나라에 넉넉히 들어가기 위해서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첫째, 예수 그리스도를 더욱 깊이 알아가려고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깊이 읽고 바르게 믿어 ‘예수님을 나의 구원자’로 선포해야 합니다. 둘째, 믿음의 사람들이 모인 소그룹 속에서 ‘내가 만난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간증을 나누고 한마음으로 ‘오직 예수님만이 우리의 구원자이심’을 선포해야 합니다. 셋째, 베드로가 언급한 8가지 덕목을 갖추고 삶의 열매를 맺어야 합니다. 이 덕목들은 서로 관계를 맺고 조화를 이루며 발전하고 결국 사랑으로 완성됩니다. 이를 위해서 서로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용납하고 서로 성장하도록 도울 수 있는 소그룹 공동체가 필요합니다. 공동체 안에서 서로의 믿음이 성숙하도록 돕고 함께 변화되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부르심과 택하심을 확신하며 믿음의 삶을 살아갈 때 하나님 나라에 넉넉히 들어갑니다.
[기도문]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도록 저를 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의 신성한 성품을 드러내며, 아름다운 천국의 삶을 보여 주는 사람이 되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베드로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짓'을 분별하는 방법은 '참'을 바로 아는 것 (벧후 2:1~11) (0) | 2016.05.13 |
---|---|
어두운 데를 비추는 등불, 하나님 말씀을 품는 삶 (벧후 1:12~21) (0) | 2016.05.12 |
보배로운 믿음 위에 주님의 성품 더하십시오 (벧후 1:1~11) (0) | 2016.05.11 |
베드로후서 3장 - 매튜헨리 (0) | 2014.05.06 |
베드로후서 2장 - 매튜헨리 (0) | 2014.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