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집에 대한 개념 문제
집이라는 말로 헬라 사람이나 유대 사람들이 무엇을 생각했는가 하는 것은 많은 자료를 가진 흥미있는 제목이다. 헬라어로는 oiko"(오이코스)와 oijkia(오이키아) 라는 두말이 기본적이며 전자 '오이코스'는 먼저 동산, 부동산, 주택 등의 전체 자산을 지시했고 그것에 연관되어 아내, 딸, 가족 등의 전재산도 가리켰다. 다른 한편 '오이키아'는 친척 거래인 봉사직의 사람들을 가리키는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두말 모두 비슷한 내용을 가졌다. 구약성서에서는 히브리어의 tyB(바이트)가 '나무와 풀로 된 건물로써 남녀 가족이 거주하는 곳'이라고 간주되었다. 수24:15에서 "나와 내 집은 여호와를 섬기겠노라"고 쓰여진 것이 모범적이다. 그러나 랍비 문학에서 이 말을 비유적으로 사용하게 된 것은 특이하다. 그러나 집이 무엇과 같다는 것이 아니라 선행을 하고 율법을 많이 배운 사람은 굳건한 기초 위에 집짓고 벽돌로 그 위에 세워 홍수가 와도 넘어지지 않는 것과 비길수 있다고 해서 그들의 행위가 집짓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신약성서에서는 '하나님' 또는 '아버지'를 '집'과 결합시킬 때가 많고 '하나님의 집, 이스라엘의 집'이라고 해서 성전 건물이나 민족 공동체를 지시했다. 신약성서에 사용된 '오이코스'의 사용을 분류하면 ① 집, 가족, 가산 ② 성전 ③ 인간학적인 비유적 사용이 많고 '장막집, 영원한 집'등이 있다. 가정교회를 지시하는 kat oijkon(카트 오이콘)이 란 말을 살펴보면 '…의 가정에 모이는 교회'라는 표현이 어느 시기에 가서 공식어가 된것 같다(롬16:5 ; 고전16:19 ; 골4:15 ; 몬1:2). 이 말은 '집에서'라는 의미로 흔히 쓰였다. 결국 '집에 모이는 교회'라는 말이다.
2. 원시교회의 선교와 가정교회
처음 그리스도인들은 성전을 지으려 하지 않았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포로에서 돌아왔을때 성전을 짓는다는 것은 그들의 신앙을 확증하고 훈련하는 표가 되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의 성전의 예배는 오래 계속되지 않았고, 선교로 나가는 곳이다. 어디서나 예배를 드렸다. 선교설교는 길거리나 장터에서 또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데서 하고 자신들의 기도와 예배는 교회원의 집에서 외부 사람들이 참관할 수 있기는 했으나(행2:13; 고전14:24,25) 다소 비공개적으로 진행했다. 신약성경에서 기록된대로 첫 그리스도인들이 매일 성전으로 올라갔다(눅24:53 ; 행2:46 ; 행3:1 ; 5:42). 또 솔로몬 행각에서(행3:11 ;행5:12 ; 요10:23)곧 성전 회당을 따라 동쪽에 있는 기둥을 나란히 세운 홀에서 설교했다. 그것은 거기에 많은 사람이 왕래했기 때문이다. 거기서 사도들은 병자를 치료하고 설교도 했다. 이것이 모인 군중에게 큰 인상을 주었다. 바울은 회당에서의 집회가 유대인과의 대립을 조장했으므로 그것이 이방인에게로 향하는 계시가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장소의 다양성은 단순히 외적 사정에 의해서 선택된 것이며 결코 미리 정해진 모본에 의해서 된 것이 아니다. 그런데 그같은 집회에서 선교설교의 장소와 성도간의 교제와 성례전과 예배 장소는 다른 곳이 될수 있었고, 같은 장소의 다른 방이 될 수도 있었다. 처음 그리스도인들의 하나님 예배와 성도의 사귐이 이루어진 장소에 대해서는 지적할 것이 많다. 대부분의 선교설교가 이루어진 곳은 가까운 동료 회원들의 집이었다. 예루살렘에서 요한 마가의 어머니 마리아의 집(행12:12)이 이때 특출한 역할을 했다고 보인다. 이미 성서학자 찬(Th. Zahn)이 성실한 석의적 근거로써 이 집은 예수가 제자들과 함께 최후의 만찬을 들고 '주의 만찬'의 전통을 수립했던 그 집이라고 했다. 후대의 전승에 의하면 이집은 시온산 위에 있었다는 것과 그 안에서 제자들이 '예수의 부활 현현'(눅24:33 ; 요20:19,26)과 성령 강림을 기다렸던 곳(행1:13)이며, 맛디아 선택과 오순절의 성령강림(행2:1) 그리고 예배 집회가 있던 곳이라고 한다(행4:23 ; 12:12). 4세기의 증언에 의하면 이 시온산 위의 작은 첫 사도교회가 예루살렘 성전 파괴 때에도 해를 입지 않은채로 하드리안(Hadrian) 황제가 예루살렘을 방문했을때 그것을 보았다고 한다. 이 집에 대해서 우리가 알수 있는 것은 본체에 거리를 가진 '대문간'이 있었다는 것(행12:13)과 넓은 윗층을 가졌다는 것이다.
3. 가정교회의 의미
① 그것은 그리스도인의 집합의 필연적 형태였고 결코 여러 가능성 속의 하나는 아니었다.
② 가정교회는 여러계층의 사람들이 한데 모여 하나님 앞에서 인간다운 심정으로 사귀며 말씀에 의해서 단련받기 때문에 생태의 사람들과 당시의 사회를 불로써 재현하는 도가니의 역할을 했다.
③ 가정교회는 그 소속이 하나님께 있고 하나의 유기체와 같이 근육과 뼈마디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빌레몬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자료] 오네시모를 위한 간구 (빌레몬서 1:8~16절) - 2 (0) | 2012.05.17 |
---|---|
[연구자료] 오네시모를 위한 간구 (빌레몬서 1:8~16절) - 1 (0) | 2012.05.17 |
[연구자료] 빌레몬에 대한 칭찬 (빌레몬서 1:1~7절) - 1 (0) | 2012.05.17 |
[연구자료] 빌레몬서 - 2 (0) | 2012.05.17 |
[연구자료] 빌레몬서 - 1 (0) | 201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