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장까지의 긴 족보 기록의 목적은(대상 1:1)?
언약 백성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메시야 대망을 고취시키기 위함.
본 서가 기록된 시기는 바벨론 포로지에서 귀환한 직후로 이스라엘은 새로운 신정 국가로써의 민족적 재정비라는 시급한 과제에 직면하여 신앙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메시야의 도래를 바라는 의도에서 본 서의 족보가 기록된 것입니다.
아담에서 노아까지의 족보에서 특이한 사항은 무엇인가 (대상 1:1-4)?
가인의 족보가 삭제됨.
1-4절은 창세기(대상5:1-32)에 따른 것으로 저자가 가인의 족보를 의도적으로 삭제한 까닭은 이 족보가 구속사적인 관점에서 기록되고 있으며 구속사의 정통적 흐름을 밝히려는데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구원 역사에 불필요한 기록은 삭제되었습니다.
노아의 족보에 함의 자손들이 자세히 기록된 까닭은(대상 1:8-16)?
언약 백성에게 대적한 민족들의 실체를 정확히 밝히기 위함.
9절에 걸쳐 함의 자손들이 언급되고 있는데 이들은 언약 백성인 이스라엘을 끊임없이 괴롭히고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방해한 무리들입니다.
니므롯이 대표적인 예로, 그는 바벨탑 쌓기를 주도했던 장본인입니다(창10:10).
셈에서 아브라함에 이르는 족보의 특징은(대상 1:17-27)?
셈과 아브라함의 위상이 부각됨.
아담에서 노아까지 10대, 셈에서 아브라함까지 10대임을 강조함으로써 구속사의 중요한 분기점을 밝히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담, 노아, 셈, 아브라함의 구속사적 위상이 크게 높아지고 이들의 후손인 다윗과 장차 도래할 메시야의 역사적 정통성을 확립하고 있습니다.
아브라함에서 이스라엘에 이르는 족보가 주는 교훈은(대상 1:28-34)?
인간의 다양한 계획과 시도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약속은 변치않고 이루어짐.
아브라함의 자녀들 중에서 약속의 자녀 이삭뿐만 아니라 이스마엘 등 다른 자녀들이 언급되고 있지만 이것은 인간의 실패의 역사를 입증할뿐입니다.
우리는 예언된 메시야 곧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약속하신 성령으로 거듭난 약속의 자녀들입니다.
에서의 계보가 상세히 소개된 까닭은(대상 1:35-54)?
가나안 족속과 구별된 언약 백성으로서의 긍지를 높이기 위함.
언약 백성 이스라엘이 형성될 전후 시기에 가나안 땅을 차지하고 있던 민족의 배경을 밝힘으로써 이스라엘의 선민 의식을 고취시키고 구별성을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에돔 땅의 왕을 자세히 언급한 이유는(대상 1:43-50)?
이스라엘의 왕과 가나안의 왕이 본질적으로 다른 존재임을 밝히기 위함.
이스라엘이 왕을 세운데에는 주변 국가들의 영향 때문이기도 했지만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의 뜻하신 바에 따른 것이므로 그 왕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야할 책임과 의무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역대기 저자는 이 점을 계속해서 규명해 나아갑니다.
특히 포로지에서 귀환한 백성은 새로운 신정 국가를 건설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먼저 이전의 실패 원인을 정확히 밝히고 이를 철저히 반성, 회개하며 새로운 국가의 통치 이념과 국민 의식 함양을 위해 이전 왕들의 통치 행위를 평가할 신앙적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의도에서 본문을 읽었을 것입니다.
출처 : 갓피플
'역대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역대상 3장 (0) | 2012.05.29 |
---|---|
[성경 QA자료] 역대상 2장 (0) | 2012.05.29 |
[연구자료] 다윗의 통치 (역대상 10~29장) - 2 (0) | 2012.05.29 |
[연구자료] 다윗의 통치 (역대상 10~29장) - 1 (0) | 2012.05.29 |
[연구자료] 다윗의 혈통 (역대상 1~9장) - 2 (0) | 2012.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