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법에 얽매인 삶, 성령으로 자유로워진 삶
[로마서 7장 1절~6절]
1절 - 형제들아 내가 법 아는 자들에게 말하노니 너희는 그 법이 사람이 살 동안만 그를 주관하는 줄 알지 못하느냐
2절 - 남편 있는 여인이 그 남편 생전에는 법으로 그에게 매인 바 되나 만일 그 남편이 죽으면 남편의 법에서 벗어나느니라
3절 - 그러므로 만일 그 남편 생전에 다른 남자에게 가면 음녀라 그러나 만일 남편이 죽으면 그 법에서 자유롭게 되나니 다른 남자에게 갈지라도 음녀가 되지 아니하느니라
4절 - 그러므로 내 형제들아 너희도 그리스도의 몸으로 말미암아 율법에 대하여 죽임을 당하였으니 이는 다른 이 곧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신 이에게 가서 우리가 하나님을 위하여 열매를 맺게 하려 함이라
5절 - 우리가 육신에 있을 때에는 율법으로 말미암는 죄의 정욕이 우리 지체 중에 역사하여 우리로 사망을 위하여 열매를 맺게 하였더니
6절 - 이제는 우리가 얽매였던 것에 대하여 죽었으므로 율법에서 벗어났으니 이러므로 우리가 영의 새로운 것으로 섬길 것이요 율법 조문의 묵은 것으로 아니할지니라
법은 사람이 살 동안만 그 사람을 주관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을 통해 율법에 대해 죽임당했으므로 율법에서 벗어나,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사신 그리스도께 가서 하나님을 위해 열매 맺습니다. 우리는 율법 조문의 묵은 것이 아닌, 영의 새로운 것으로 하나님을 섬겨야 합니다.
1. 율법으로부터의 해방 (1~3절)
율법은 하나님이 주신 것으로 그분의 거룩한 성품을 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바울은 율법이 악하다거나 완전히 없어져야 한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율법이 인간을 지배하고 얽매었던 원인은 죄입니다. 인간에게는 하나님의 온전한 뜻이 담긴 율법을 행할 능력이 없습니다. 행하는 일마다 율법의 요구와는 정반대됩니다. 율법은 죄 가운데 사는 사람을 사망으로 이끄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지킬 능력이 없는 자에게 주어진 율법은 과격하게 표현하면 재앙 자체였습니다. 남편이 죽으면 아내가 그의 영향에서 벗어나듯, 하나님은 율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셨습니다. 바로 모든 죄를 해결해 주신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 바울은 율법 아래 있는 삶을 혼인 관계에 빗대어 어떻게 설명하나요? 율법에 매이는 삶과 율법에서 자유로운 삶은 무엇이 다를까요?
2. 하나님 영의 지배를 받는 삶 (4~6절)
모든 율법을 철저히 지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예수님 당시 바리새인들은 율법 조항을 문자적으로 지키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들을 비난하셨습니다. 그들의 율법 준수가 올바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그리스도의 죽으심에 동참한 성도는 율법에 대해 죽은 자라고 말합니다. 더 이상 율법의 지배를 받지 않는 새로운 삶이 가능해졌는데, 곧 하나님 영의 지배 아래 사는 삶입니다.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을 통해 영이 살아난 성도는 하나님 영의 지배 아래 살아갑니다. 겉모습이 아닌 마음 중심으로 하나님 뜻에 순종하게 됩니다. 그리스도와 연합해 성령의 이끄심에 순종할 때 사망을 위한 열매가 아닌 하나님을 위한 선한 열매를 많이 맺을 수 있습니다.
* 하나님을 위한 열매와 사망을 위한 열매는 각각 어떻게 맺게 되나요? 내가 성령의 이끄심에 순종해 맺은 삶의 열매는 무엇인가요?
오늘의 기도
주님이 율법에서 자유롭게 하셨는데도 여전히 율법에 매여 행동하고, 율법을 잣대로 판단하는 저를 불쌍히 여기소서. 날마다 그리스도 안에서 풍성한 생명을 누리게 하시는 성령님의 은혜에 힘입어 하나님을 온전히 섬기며 생명의 열매를 맺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큐티)
'로마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율법 아래 있는 죄인의 곤고한 외침 (롬 7:7~25) (0) | 2020.08.06 |
---|---|
거룩한 삶으로의 초대 (롬 6:12~23) (0) | 2020.08.05 |
너희 몸을 의의 무기로 하나님께 드리라 (롬 6:12~23) (0) | 2020.08.04 |
죄에 대해 죽고 하나님을 위해 살라 (롬 6:1~11) (0) | 2020.08.03 |
죽음을 가져온 불순종, 생명을 가져온 순종 (롬 5:12~21) (0) | 2020.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