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룩한 삶으로의 초대

 

[로마서 6장 12절~23절]
12절 - 그러므로 너희는 죄가 너희 죽을 몸을 지배하지 못하게 하여 몸의 사욕에 순종하지 말고
13절 - 또한 너희 지체를 불의의 무기로 죄에게 내주지 말고 오직 너희 자신을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난 자 같이 하나님께 드리며 너희 지체를 의의 무기로 하나님께 드리라
14절 - 죄가 너희를 주장하지 못하리니 이는 너희가 법 아래에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에 있음이라
15절 - 그런즉 어찌하리요 우리가 법 아래에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에 있으니 죄를 지으리요 그럴 수 없느니라
16절 - 너희 자신을 종으로 내주어 누구에게 순종하든지 그 순종함을 받는 자의 종이 되는 줄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혹은 죄의 종으로 사망에 이르고 혹은 순종의 종으로 의에 이르느니라
17절 - 하나님께 감사하리로다 너희가 본래 죄의 종이더니 너희에게 전하여 준 바 교훈의 본을 마음으로 순종하여
18절 - 죄로부터 해방되어 의에게 종이 되었느니라
19절 - 너희 육신이 연약하므로 내가 사람의 예대로 말하노니 전에 너희가 너희 지체를 부정과 불법에 내주어 불법에 이른 것 같이 이제는 너희 지체를 의에게 종으로 내주어 거룩함에 이르라
20절 - 너희가 죄의 종이 되었을 때에는 의에 대하여 자유로웠느니라
21절 - 너희가 그 때에 무슨 열매를 얻었느냐 이제는 너희가 그 일을 부끄러워하나니 이는 그 마지막이 사망임이라
22절 - 그러나 이제는 너희가 죄로부터 해방되고 하나님께 종이 되어 거룩함에 이르는 열매를 맺었으니 그 마지막은 영생이라
23절 - 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

 

[배경 이해하기]
로마서에서 바울은 죄로 인해 전적으로 타락해 하나님과 관계가 단절된 인간은 자력으로는 하나님 앞에서 의를 얻을 수 없다고 말합니다. 인간은 전적으로 무능합니다. 오직 구원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 주어지는 것으로, 하나님의 의롭다 하심, 즉 이신칭의(以信稱義; Justification by Faith)를 통해 얻습니다. 이신칭의는 바울이 기록한 로마서의 기본 주제이자 기독교의 핵심 교리입니다. 즉 죄인 된 인간이 의롭게 될 수 있는 것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만 가능하며, 하나님이 그분을 믿는 자들을 의롭다 칭해 주신다는 것입니다. ‘칭의’는 법정 용어로, 의로우신 하나님만 선언하실 수 있는 죄 용서의 사법적 행위입니다. 하나님으로부터 의롭다 칭함을 받은 성도는 ‘칭의’의 자리에만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됩니다. 적극적으로 거룩한 삶을 추구해야 합니다. 즉, 성화(Sanctification)되어야 합니다. 성화의 근거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입니다. 바울은 이 연합이 세례를 통해 가능하다고 말합니다(6:1~8). 세례를 통해 성도는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하심에 연합함으로 죄에 대해서는 죽고 하나님께 대해서는 살아,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삶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성화의 삶은 이 땅에서 살아가는 동안 계속 진행되어야 합니다.

[관찰과 묵상]
1. 그리스도를 믿어 의롭게 된 성도는 자신의 지체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나요?(12~13절)
성도는 죄의 지배를 받지 않도록 몸의 사욕에 순종하지 말고, 지체를 죄에게 내주지 말아야 합니다. 또 자신을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난 자같이 하나님께 드리며 몸을 의의 무기로 하나님께 드려야 합니다.
성화의 삶을 살아가는 성도에게 요청되는 첫 번째는 주종 관계의 분명한 확립입니다. 하나님의 은혜 아래 있는 사람은 더 이상 죄의 지배 아래 있지 않습니다(6절). 하지만 이것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죄가 지배하지 못하도록’ 하는 성도의 의지적 결단과 다짐이 필요합니다(12절). 사탄은 성도가 계속해서 죄에 종노릇하도록 미혹하고 넘어뜨리려 합니다(벧전 5:8). 따라서 성도는 죄와 피를 흘리기까지 싸워(히 12:4) 죄의 지배를 받지 않도록 하고, 유일한 주인 되신 하나님의 지배를 받으며 살기로 결단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삶의 목적의 분명한 발견입니다. ‘너희 지체를 불의의 무기로 죄에게 내주지 말고 … 의의 무기로 하나님께 드리라’(13절). ‘불의의 무기로 내준다’는 것은 ‘죄에 내맡기어 악의 도구가 된다’는 뜻입니다. 성도는 이를 거부하고, 하나님의 도구로서 이 땅에서 살아가는 것을 삶의 유일한 목적으로 삼아야 합니다. 세 번째는 성도의 삶 전체를 하나님께 드려야 합니다. ‘오직 너희 자신을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난 자같이 하나님께 드리며’(13절). 하나님이 성도에게 원하시는 한 가지는 삶 전체를 하나님께 드리는 것입니다(12:1). 이러한 삶을 살아갈 때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모습의 성도가 될 수 있습니다.
적용과 나눔
성도로서 거룩하게 살아가려 할 때 어떤 점이 어렵나요? 어떻게 하면 기쁨으로 성화를 이루어 갈 수 있을까요?
신학자 존 머리(J. Murray)는 “아직 풀려나지 않은 노예에게 노예처럼 행동하지 말라고 말하는 것은 그의 노예 됨을 조롱하는 것이다”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고 칭함 받은 성도에게 ‘거룩한 삶을 살라’는 명령은 할 수 없는 불가능에 도전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성도는 이미 얻은 구원의 은혜로 인해 충분히 거룩하게 살아갈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여전히 환경과 상황이 거룩한 삶을 살지 못하도록 발목을 잡더라도,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이 여전히 마음 가운데 있다고 할지라도, 의롭다 칭함 받은 성도는 자신의 의가 아닌 성령의 도우심으로 성화의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과거에 죄의 종으로 살았다면 지금은 은혜의 포로가 되어 새 생명으로 살아가는 것이기에,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은 거룩한 삶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성도에게 거룩한 삶은 부담스러운 일이 아닙니다. 의롭다 칭함 받은 사람이 기쁨으로 넉넉히 감당할 수 있는 삶입니다.

2. 죄의 종일 때는 어떤 열매를 맺나요? 또 하나님의 종일 때는 어떤 열매를 맺나요? (20~23절)
죄의 종일 때는 사망의 열매를 맺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종이 되어서는 영생의 열매를 맺습니다.
‘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23절). 죄의 종에서 의의 종으로 변화하는 데는 세 단계의 과정이 있다고 바울은 말합니다. 첫 번째 단계는 ‘…너희에게 전하여 준 바 교훈의 본’(17절), 즉 복음을 듣는 것입니다. 믿음은 들음에서 나고 들음은 그리스도의 말씀에서 말미암습니다(10:17). 두 번째 단계는 ‘…교훈의 본을 마음으로’(17절), 즉 들은 복음을 ‘마음으로’부터 믿는 것입니다. 바울은 마음으로 믿어 의에 이른다고 이야기합니다(10:10). 세 번째 단계로, 이제 입으로만 ‘주여 주여’ 할 것이 아니라(마 7:21) 전심으로 하나님께 ‘순종’해야 합니다(17절). 순종은 의지적 결단이며 직접적 행동입니다. 바울은 곧 지(知), 정(情), 의(意), 전인격적인 믿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교훈의 본’(지), ‘마음’(정), ‘순종’(의), 이 모든 것이 균형 잡혀야 건강한 믿음이 되는 것입니다. 이 같은 믿음으로 죄의 종에서 의의 종, 사탄의 종에서 하나님의 종으로 변화될 수 있습니다. 복음을 듣고 마음으로 믿었다면, 계속되는 인생 여정 가운데 요청되는 것은 말씀에 대한 전적 순종입니다. 순종하는 삶은 하나님을 갈망하는 거룩한 삶이며, 거룩한 삶의 열매는 영생입니다(22~23절).
적용과 나눔
진정으로 하나님의 종이 된 사람은 어떤 삶을 살아갈까요? 참된 종의 모습은 구체적으로 어떠할지 나누어 보세요.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종이 된 성도는 첫째, 자신의 주인이 누구인지 분명히 알고 다른 어떤 것도 주인으로 섬기면 안 됩니다. 하나님만이 우리의 유일한 주인이십니다. 하나님은 “나 외에는 다른 신을 네게 두지 말라”고 명령하셨습니다(출 20:3). 예수님도 ‘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길 수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마 6:24). 죄의 종에서 벗어나 하나님의 종이 된 사람은 반드시 하나님만을 섬기고 그분께만 순종하며 그분만을 찬양해야 합니다. 둘째, 주인의 뜻대로 행해야 합니다. 종은 주인의 명령을 따르는 존재입니다. 자신의 생각이 옳다며, 자신의 경험이 맞다며 자신의 주장을 주인의 뜻보다 앞세워서는 안 됩니다. 오직 주인이 원하는 것을 성취하고 따르는 것이 종이 할 올바른 일입니다. 셋째, 주인에게 충성해야 합니다. “맡은 자들에게 구할 것은 충성이라”(고전 4:2). “네가 죽도록 충성하라 그리하면 내가 생명의 관을 네게 주리라”(계 2:10). 종에게 요구되는 것은 오직 충성입니다. 충성은 일상의 성실함에서 시작합니다. 악하고 게으른 종이 아닌 착하고 충성된 종으로 칭찬받는 삶은 하나님의 종 된 성도가 걸을 마땅한 길입니다.

 

*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칭함 받은 사람은 거룩하게 살아가야 합니다. 거룩함은 성도가 이 땅에서 끊임없이 이루어 가야 하는 삶의 모습입니다. 우리는 이제 더는 죄의 지배를 받는 종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종, 의의 종입니다. 하나님의 종이 되었다는 것은 구원받았음을 의미합니다. 나아가 주인 되신 하나님께 순종하고 충성하며 헌신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믿음으로 구원받고 성령의 도우심으로 말씀을 따라 거룩함을 이루어 가는 성도는 영생의 열매를 누리게 됩니다. 이것이 자신의 전 존재를 주님께 드린 종이 받는 선물입니다.  

 

[말씀으로 기도하기]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하나님의 자녀 되게 하신 은혜에 감사합니다. 하나님 나라 백성으로서 마땅히 거룩한 삶을 살아가게 하시고, 기꺼이 주님 말씀에 순종하며 헌신하는 삶을 살아가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