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Ⅰ.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의 복 128:1-6
경건한 생활태도는 이 땅위에서 뿐만아니라 앞으로 올 세상에서도 영원한 생명을 보증하는 언약이다. 하나님께서는 어떤나라 사람이든지간에 참마음으로 여호와를 경외하고 올바른 도를 지켜행하기만 하면 기쁘게 영접해주실 것이다. 또한 하나님께서는 신분의 고하는 물론, 빈부에 따른 차별도 두지않으시므로 이세상의 어떤자라도 하나님의 축복을 받을수 있다. 누구든지 믿음으로 자기를 다스리면 그 보호하심을 받아 풍성함을 누리게될 것이다. 여호와를 경외하며 그 도에 행하는 자마다 복이 있도다...네가 복되고 형통하리로다.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가 어떤일을 당하더라도 결국에는 그로인해 축복을 얻으리로다. 땅위에 사는동안 복되고 죽는 순간은 더욱 복되며, 무엇보다도 영생을 얻을 것이므로 복되도다." 한편 '내가 네 손이 수고한대로 먹을 것이라'하는 말씀은 다음의 두가지 사실을 약속한다.
첫째,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는 언제나 할일이 있으며 그일을 감당할만한 능력도 소유할 것이다(할일이 없어 게으르게 지내는 것이야말로 비참하고 불행한 생활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일용한 양식을 위하여 남에게 신세를 지지도 않으려니와 다른 사람의 수고를 의지하여 살아가는 일도 없을 것이다.
둘째, 이들은 자신이 하는일에 성공을 거두고 여기서 얻은 재물로 식솔들과 함께 즐거워할 것이다. 힘써 일을 한자는 단잠을 자며 음식도 맛있게 먹는 법이다. 그들은 가족관계에서 큰만족을 느낄 것이다. 아내와 자식들을 부양하는 일에 수고를 아끼지 않은 자들은 그만큼 이들로인하여 큰기쁨을 맛보게될 가능성을 지니고있다고 하겠다. 물론 이런 기쁨을 맛보려면 먼저 하나님의 은혜로 저들이 잘되는 일이 있어야할 것이다. 네 집 내실에 있는 네 아내는 결실한 포도나무같으며.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의 아내는 사방으로 가지를 뻗어 아름다운 자태를 자랑할뿐만 아니라 풍성한 열매를 맺는 포도나무같은 존재인 것이다. 또한 그 열매를 인하여 하나님과 사람이 크게 기쁨을 누릴 것이다(삿 9:13). 포도나무는 연약하여 잘견디지 못하기때문에 받침대를 세워 지탱해주고 세심하게 돌보아야하지만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 식물이다. 아내가 거할 처소는 그 남편의 짐이다. 남편의 집은 곧 아내의 성으로 그곳에는 언제나 아내의 손길을 기다리는 일감이 있게 마련이다. '네 아내 사라가 어디있느냐 대답하되 장막에 있나이다' 하는 말씀속에는 이미 아내된 자가 그이외에 달리 어느곳에 거하겠느냐는 반문의 뜻을 담고있었다. 아내가 거할곳은 '내실'이다. 이는 곧 아내가 발밑에 짓밟힐 존재가 아니며 지붕꼭대기에 올라앉을 지배자도 아니라는 점을 나타내준다. 한편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의 자식은 때를 따라 열매를 맺는 '어린 감람나무같으리라'고 하셨다. 비록 매일의 상차림이 보잘것 없다하여도 자식들이 서로 흩어지지 아니하고, 강제로 끌어오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오손도손 모이는 것을 보면 부모는 마음에 큰기쁨을 느끼게 된다. 어떤 부모든지 자식들이 상앞에 모여앉아 이야기꽃을 피우고, 건강하여 음식을 잘먹으므로 약을 쓸일이 없으며, 올바른 가르침을 받아들여 감람나무와 같이 곧고 푸르게 자라나는 것을 가장 큰기쁨으로 여긴다.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는 그 가족이 융성하여 대가 끊이지 아니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기뻐하리라." '손자는 노인의 면류관'이다(잠 17:6). 실제로 노인들은 손자를 귀여워하는 경향이 강하나 특히 선한 사람을 후손으로 두었을때 더욱더 기쁘리라는 것은 명약관화한 일이다.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여. 네가 땅에서 장수한다하여도 그 사는동안 내내 '예루살렘의 복을 보며' 바깥세상이 아무리 시끄러워도 가정의 일로 기쁨을 잃고 비통해하는 일은 없으리로다."

# 핵심
128:1-6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가 현세에서 받는 축복을 주제로 삼고있는 시편이다.

# 묵상
가정안락의 길 ( 128:1-6 )
가정을 안락하게 할수 있는 복의 길은 하나님을 경외하며 그분의 말씀을 복종하는 것입니다. 신앙과 경건은 번영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우리는 그러한 찬양을 하나님께 돌리며 진리에 대한 굳건한 신념으로 삶을 살아야할 것입니다.

'시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편 130편 - study  (0) 2020.11.11
시편 129편 - study  (0) 2020.11.11
시편 127편 - study  (0) 2020.11.11
시편 126편 - study  (0) 2020.11.11
시편 125편 - study  (0) 2020.11.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