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저자

본 서 자체에는 저자가 누구인지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히브리 성경에서는 본 서를 구약성경에서 룻기와 전도서 사이에 있는 mybwtk(케투빔)이라 불리는 성문서 사이에 수록하였다. 이러한 편집은 저자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시편과 잠언 시가서로 분류했기 때문이다. 저자가 예레미야라는 것을 제시한 것은 칠십인역 번역자에 의하여 생겨난 것이다. 칠십인역 번역자는 현존하는 히브리 사본에 나타나지 않는 말이 "이스라엘 백성들이 사로잡혀 가서 예루살렘이 파괴된 후에 예레미야가 예루살렘에 대하여 애도하며 말하기를" 이라는 부분을 첨가하고 있다. 또한 요세푸스와 탈무드의 기자 역시 이 사실을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오리겐을 미롯한 교부들과 칼빈 역시 본 서의 저자가 예레미야임을 인정했다.
본 서와 예레미야서의 유사성을 살펴보면 저자에 대한 관점이 더욱 명백해질 수 있다. 내용상으로는 예루살렘이 멸망을 기술한 점에서 동알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또한 문체상으로 '내 눈에 눈물이 물같이 흐름'(렘9:18; 렘13:17; 렘14:17; 애1:16; 애2:11,18; 애3:48,49)과 '선지자와 제사장의 죄악(렘23:11; 애2:14; 애4:13)과 '처녀 내 백성의 파멸'(렘8:11,21; 애2:11; 애3:48; 애4:10) 등의 표현이 유사한 표현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주제상으로도 하나님의 백성이 징계 당함에 대한 비통과 눈물속에서 백성들에게 회개를 촉구하는 것도 동일하다. 이러한 사실을 비추어 볼때 본 서의 저자는 예레미야라는 사실이 더욱 명백해진다.

2. 시대적 배경

예레미야애가의 배경은 주전587-586년에 유대와 예루살렘에 임한 하나님의 무서운 심판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다.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이 예루살렘성을 18개월동안 포위하여 점령한 사실이다. 포위로 인하여 예루살렘은 기근과 질병으로 가득찼고, 점령으로 인하여 성은 완전히 파괴되고 불에 타버렸다.
남이스라엘이 앗수르에게 멸망한 이래 유다는 예루살렘성을 하나님이 안전하게 지켜주실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유다가 하나님을 버리고 패역한 결과로 하나님이 바벨론을 들어 예루살렘성과 성전을 완전히 파괴해 버리자 유다 민족들은 자신들의 눈을 믿을수 없었고, 따라서 이들의 비애는 이루 말할수 없었다.
예루살렘의 훼파를 전후하여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회복을 선지자 예레미야를 통하여 약속하신다. 그리고 바벨론의 포로지에서도 이런 약속을 선지자 에스겔과 다니엘을 통하여 주셨다. 이러한 약속은 바벨론의 멸망과 함께 메대 바사의 고레스 왕의 포고령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또한 완전한 회복은 다윗의 후손으로 태어날 메시야를 통하여 영원한 왕국을 이루실 것을 약속하고 계신다. 그리고 그 약속은 예수그리스도를 통하여 완전히 성취되었으나 유다 민족은 아직 깨닫지 못하고 있다.
유다 민족이 이 애가를 상당히 애독한 사실은 역사적으로 알수 있는데, 그것은 이 애가가 유대의 중요한 연중 행사 중 다섯 두루마리 책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브월 9일에 애가는 성전의 파괴를 기념하기 위하여 금식하면서 읽혀졌다. 또한 로마 교회는 성주간의 마지막 3일 동안 애가서의 말씀을 인용하였다.

3. 전체 내용 요약

애가는 다섯편의 시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시들의 첫 4편은 히브리어 알파벳 순으로 구성된 이크로스틱 시(각 행의 첫 자음을 모으면 알파벳 순서로 끝까지 이루는 시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시들은 이스라엘 민족의 동질성 상실에 대한 큰 슬픔을 표현하는 것으로써 이스라엘 민족에게 읽혀지길 바라는 의도에서 저작되었다. 시대적으로는 예루살렘 성의 파괴, 유다의 마지막 왕인 시드야의 유배, 백성들이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감 등의 극심한 고통속에서 쓰여졌다.
1장은 예루살렘 성의 파괴로 인한 성의 비참함이 묘사되면서 예레미야의 탄식과 애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2장의 초반절 역시 예루살렘이 비참한 모습을 기술하였고, 후반절에는 예루살렘 성의 멸망 원인인 거짓 선지자의 잘못된 예언을 기술하면서 선지자의 탄식이 기록되어 있다. 3장에는 저자의 애통이 계속되면서 백성들을 향하여 회개를 촉구하고 있다. 그리고 유다 백성을 위하여 하나님의 자비하심과 신실하심을 좇아 긍휼을 구하고 있다. 4장은 다시금 예루살렘의 비참한 현실에 대한 탄식과 선지자와 제사장들의 죄악을 기술하고 있고, 마지막으로 위로와 하나님께 대한 소망이 나타난다. 5장에서는 유다 백성의 처지를 하나님께 신원하고, 하나님의 구원과 회복을 간구함으로 끝마치고 있다.

4. 구속사적 의미

본 서는 예루살렘의 파괴로 인한 선지자 예레미야의 애통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예레미야는 애통의 5편의 시를 쓴 것으로만 요약되는 것이 아니라, 그 가운데 하나님의 신실한 약속을 의지하여 하나님의 무한한 자비와 긍휼을 구하고 있다. 또한 백성에게는 진정으로 회개하여 하나님께로 돌아올 것을 종용하고 있다. 그래서 본 서는 하나님의 공의와 회개하는 자에 대한 하나님의 자비와 긍휼을 기록하고 있다.
본 서는 예수그리스도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예수그리스도께서 십자가 위에서 자신의 물과 피를 다 쏟으시며 인류의 죄악을 사하시는 은혜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진정으로 회개하는 자들에 대한 하나님의 무한한 사랑의 회복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5. 내용 분해

Ⅰ. 예루살렘 성의 멸망과 애통(1장)
1. 예루살렘의 비참한 상태(1:1-11)
2. 예레미야의 탄식(1:12-22)

Ⅱ. 예루살렘 성의 모습과 멸망 원인(2장)
1. 비참한 성의 모습(2:1-10)
2. 성의 멸망 원인(2:11-22)

Ⅲ. 예레미야의 간구와 회개 촉구(3장)
1. 선지자의 탄식(3:1-18)
2. 회개의 촉구(3:19-54)
3. 선지자의 간구(3:55-66)

Ⅳ. 예루살렘의 멸망과 그 죄악(4장)
1. 시온의 비참(4:1-12)
2. 시온의 죄(4:13-20)
3. 에돔의 심판(4:21-22)

Ⅴ. 하나님께의 회개와 간구(5장)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