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상을 해야할 이웃에 대한 5가지 범죄 유형은(레 6:2-6)?

① 남의 물건을 맡거나 ② 전당 잡거나 ③ 강도질 하거나 ④ 늑봉하고도 사실을 부인하거나 ⑤ 남의 잃은 물건을 얻고도 사실을 부인하는 경우.
이웃의 물건을 취한 경우는 여호와의 성물에 범죄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취급되었습니다.


이웃에 대한 범죄의 속건제는(레 6:5)?

원래의 물건에 5분의 1을 더해서 돌려보내고 흠없는 숫양을 제사장 앞으로 데려와서 속건제를 드려야 했습니다.


번제의 규례는(레 6:9-13)?

번제물을 단위 석쇠에 아침까지 두었으며 단의 불은 꺼지지 않게 했습니다. 제사장은 긴세마포 옷을 입고 세마포 고의로 하체를 가리고 번제의 재를 가져다 단곁에 두고, 그옷을 벗고 다른옷을 입고, 그 재를 바깥 정결한 곳으로 가져가야 했습니다.
제사장의 성결과 관련된 번제 규례는 성결한 영혼의 끊임없는 헌신이 가장 귀한 제물임을 보여줍니다.

 

불을 끊이지 않고 단 위에 피우라고 한 이유는(레 6:13)?

불을 꺼치지 않도록 아침마다 번제를 드리라는 의미가 아니라 번제를 계속 드려 여호와께 끊임없이 헌신하라는 뜻임.
성도는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의 불길이 끊임없이 타오르도록 해야 합니다.

 

소제의 규례는(레 6:14-16)?

고운가루 한움큼과 소제물 위의 유향을 기념물로 사르고 나머지는 제사장들이 먹음.
소제는 유일하게 피없는 제사로써 예수 그리스도의 흠없으신 인격을 보여줍니다.


소제를 먹을수 있는 사람은(레 6:16-18)?

아론과 제사장들.
소제물에는 누룩을 넣지않고 거룩한곳 회막 뜰에서 먹었습니다.
하나님을 섬김에 있어 세속적인 누룩이 끼어들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제사장이 기름부음 받은 날에 드리는 소제가 다른 소제와 다른 점은(레 6:20-23)?

다른 소제물의 경우에는 제사를 드리고 난후 제사장이 그 일부를 먹도록 되어 있었지만 이 소제는 온전히 태우도록 규정되었습니다.
이는 제사장의 완전한 헌신을 상징합니다.

 
속죄 제물은 누가 어디서 먹을수 있었는가(레 6:26)?

제사장이 회막뜰 거룩한 곳에서 먹을수 있었음.
하나님께 바쳐진 제물은 거룩한 것이기 때문에 제사장과 그의 가족들만 먹을수 있었습니다.


고기를 삶은 그릇들은 어떻게 했는가(레 6:28)?

토기에 삶은 경우에는 자신의 삶속에서 깨뜨리고 유기에 삶은 경우는 깨끗이 씻어야 했음.
성도들도 깨뜨릴 것은 깨뜨리고 씻을 것은 깨끗이 씻어서 거룩한 삶을 영위해야 하겠습니다.

 

 

출처 : 갓피플


'레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레위기 8장  (0) 2012.06.22
[성경 QA자료] 레위기 7장  (0) 2012.06.22
[성경 QA자료] 레위기 5장  (0) 2012.06.22
[성경 QA자료] 레위기 4장  (0) 2012.06.22
[성경 QA자료] 레위기 3장  (0) 2012.06.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