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때를 맞이하는 자세
[베드로전서 4장 1절~11절]
1절 - 그리스도께서 이미 육체의 고난을 받으셨으니 너희도 같은 마음으로 갑옷을 삼으라 이는 육체의 고난을 받은 자는 죄를 그쳤음이니
2절 - 그 후로는 다시 사람의 정욕을 따르지 않고 하나님이 뜻을 따라 육체의 남은 때를 살게 하려 함이라
3절 - 너희가 음란과 정욕과 술취함과 방탕과 향락과 무법한 우상 숭배를 하여 이방인의 뜻을 따라 행한 것은 지나가 때로 족하도다
4절 - 이러므로 너희가 그들과 함께 그런 극한 방탕에 달음질하지 아니하는 것을 그들이 이상히 여겨 비방하나
5절 - 그들이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기로 예비하신 이에게 사실대로 고하리라
6절 - 이를 위하여 죽은 자들에게도 복음이 전파되었으니 이는 육체로는 사람으로 심판을 받으나 영으로는 하나님을 따라 살게 하려 함이라
7절 - 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이 왔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정신을 차리고 근신하여 기도하라
8절 - 무엇보다도 뜨겁게 서로 사랑할지니 사랑은 허다한 죄를 덮느니라
9절 - 서로 대접하기를 원망 없이 하고
10절 -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하나님의 여러 가지 은혜를 맡은 선한 청지기 같이 서로 봉사하라
11절 - 만일 누가 말하려면 하나님의 말씀을 하는 것 같이 하고 누가 봉사하려면 하나님이 공급하시는 힘으로 하는 것 같이 하라 이는 범사에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시게 하려 함이니 그에게 영광과 권능이 세세에 무궁하도록 있느니라 아멘
1. 베드로는 만물의 마지막 때가 가까울수록 근신하면서 기도하라고 요청했습니다. 이것은 무슨 의미입니까?(7절)
마지막 때가 되면 우리를 혼미케 하는 일들이 많이 일어납니다. 그때 성도는 정신을 차리고 근신하며 기도해야 합니다.
마지막 때는 편안한 시기가 아닙니다. 육체적으로나 영적으로 혼란스럽고 고통스러운 시기입니다. 마지막 때가 되면 닥쳐오는 환난이 너무 크기 때문에 정신을 놓아 버릴 가능성도 많습니다. 사람들은 육체의 쾌락을 좇아 정욕과 술 취함과 방탕에 몸을 맡길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성경에 근거하지 않은 이상한 종말론에 전 재산을 바칠 정도로 미혹될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사람들은 마지막 때일수록 하나님께 집중하며 기도해야 합니다. 하나님께 기도한다는 것은 그분께 모든 것을 맡기는 일이며,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다잡는 일입니다. 기도를 하면 환난보다 하나님이 더 크신 분임을 알게 됩니다. 기도를 하면 환난에 대해 이성적으로 보게 됩니다. 마지막 때에 근신하고 기도함으로써 하나님이 나에게 무엇을 요구하시는지를 깨달아야 합니다. 기도는 마지막 때를 맞이하는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2. 말세에 성도들이 힘써 해야 할 일은 서로 사랑하는 것입니다. 우리에게 사랑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8절)
마지막 때에 그 어느 시기보다 사랑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성도들은 마지막 때에 서로 열심히 사랑해야 합니다.
마지막 때가 되면 사람들은 자신만 사랑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들을 향한 사랑이 급격히 식어질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사람들은 그런 세태 속에서도 서로 사랑하기를 멈추지 말아야 합니다. 베드로는 ‘열심히’ 사랑하라고 권합니다. 원래 ‘열심히’라는 단어는 고대 올림픽에서 결승점을 향해 달리는 선수를 묘사하던 말입니다. 베드로는 이 이미지를 이용해 운동선수가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해 달리듯, 마지막 때에 열심히 사랑하라고 권합니다. 말세에 우리가 열심히 사랑해야 하는 이유는 사랑이 허다한 죄를 덮는 힘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고난의 시기에 그리스도인들마저 서로 비판하고 상대방의 죄를 들춰낸다면 어려움을 이길 수 없습니다. 사랑하고 사랑받는 것보다 더 큰 위로와 격려는 없습니다. 서로 사랑하면서 마지막 때를 맞이한다면, 환난은 경감되고 새로운 큰 힘을 얻게 됩니다. 그래서 베드로는 열심히 서로 사랑하라고 외치고 있습니다.
3. 만물의 마지막 때가 가까울수록 서로 섬기며 살아야 합니다. 베드로가 말하는 섬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은 무엇입니까?(9~10절)
성도는 원망 없이 서로 대접해야 하고, 은사를 받은 대로 서로 봉사해야 합니다.
베드로는 마지막 때에 서로 대접하고 섬김으로써 지내라고 말합니다. 그리스도인은 다른 사람들을 대접할 때 원망 없이 해야 합니다. 베드로 당시에 핍박이 많았습니다. 따라서 핍박을 피해 고향을 떠난 나그네들이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면서 그리스도인들의 가정에 머무르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런 나그네들을 귀찮아하지 말고 원망하지 말며 기쁨으로 섬기라는 것이 베드로의 권면입니다.
또한 베드로는 은사를 받은 대로 서로 봉사하라고 명합니다. 하나님이 주신 은사로 다른 사람들을 섬기면, 마지막 때를 더욱 잘 견딜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남을 대접하는 것은 결국 예수님을 대접하는 일이고, 남을 섬기는 것은 결국 하늘에 상급을 쌓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모두 나그네입니다. 나그네에 대해 잘 영접하고 대접하는 사람을 만나면 참으로 기쁩니다. 나에게 무언가 해주기를 바라지 말고 다른 사람들을 원망 없이 대접할 때, 하나님은 그 행위를 기억하십니다. 모든 사람은 한 가지 이상의 은사를 갖고 있습니다. 그 은사를 묻어 두지 말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일입니다. 남을 대접하는 것과 은사를 사용해 봉사하는 것은 마지막 때를 잘 대비하는 최선의 길입니다.
4. 나는 어려움 중에도 하나님께 더욱 매달리며 기도하기를 힘씁니까? 아니면 그 어려움 때문에 기도마저 포기합니까?
믿음이 있는 사람과 믿음이 없는 사람은 어려움 속에서 확연히 구분됩니다. 믿음이 있는 사람은 어려움 때문에 더욱 기도하지만, 믿음이 없는 사람은 어려움 때문에 기도를 포기하고 그나마 있던 믿음마저 버립니다. 그래서 고난은 참 믿음과 거짓 믿음을 판별하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됩니다. 만일 누군가 어려움 때문에 더욱 기도한다면, 그는 진짜 그리스도인입니다. 그에게 어려움은 오히려 축복이 됩니다. 어려움이 닥쳐도 결코 주저앉지 마십시오. 하나님은 복을 주시기 위해 고난을 주시는 분임을 믿고 더욱 열심히 기도하십시오.
5. 나는 어려움을 겪을 때 자신에게만 집중합니까? 아니면 다른 사람들을 돌아볼 마음을 갖습니까?
내가 어려우면 다른 사람도 어려운 법입니다. 고난은 혼자만 당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 모든 사람에게 찾아오는 것입니다. 성숙한 그리스도인은 어려움이 닥치면,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고 사랑하며 섬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숙하지 못한 사람은 자신에게만 고난이 있다고 생각하고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을 원망하기에 바쁩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고통에는 뜻이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 고통의 경험을 낭비하시는 분이 아닙니다. 고난을 당해 본 사람은 다른 사람들을 잘 도울 수 있습니다. 어려움 속에서도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고 격려하며 섬기는 사람이 되십시오.
출처 : 생명의 삶
'베드로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평을 도모하는 길 (벧전 3:10~13) (0) | 2013.01.22 |
---|---|
택하심을 입은 자들 (벧전 1:1~4) (0) | 2013.01.14 |
정신을 차리고 근신하여 기도하라 (벧전 4:1~11) (0) | 2013.01.11 |
그리스도인의 정체성 (벧전 2:4~10) (0) | 2013.01.11 |
복음의 핵심, 승리하신 그리스도 (벧전 3:18~22) (0) | 2012.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