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바울의 '개인적-내세적 종말사상'(빌1:20-24)
사도 바울은 종말론에 관한 초기 서신의 언급과 후기 서신의 언급이 일치되지 않고 있다. 그의 초기 서신인 데살로니가전서(살전4:13-17)와 고린도전서(고전15:23,51-52)에서는 모든 죽은 자들이 마지막날 그리스도의 재림시에 일제히 부활한다는 우주적 묵시적 종말 사상을 피력하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후기에 기록된 빌립보서(1:20-24)와 고린도후서(5:1-9)에서 바울은 개인적이고 내세 지향적인 종말 사상을 내비치고 있다. 이것은 바울의 종말내지 부활 사상의 '변화를 의미할 수도 있고 혹은 바울의 종말 사상속에 이 두 입장이 긴장 속에서 조화를 이루며 처음부터 공존했음을 시사할 수도 있다.
2. 감독(Bishop)
1) 의미
'감독'이란 지역 교회를 공적을 맡아 목회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이 용어는 주로 신약에서 사용되었다. 특히 에베소 교회와(행20:28) 빌립보교회에서(빌1:1) 감독은 교회를 다스리는 자로 인정받았던 것 같다. 1차 투옥 후에 바울도 감독의 직분을 인정하였다(딤전3:2 ; 딛1:7).
2) 신약에서의 사용
신약에서 감독과 장로는 거의 유사한 직분이었다. 그러나 A.D.2세기경부터는 그 직분이 서로 분류되었다. 감독의 임무는 설교를 포함하여 양 떼를 보살피는 일이었다(행20:28). 감독의 자격에 대한 언급은 딤전 3:1-7과 딛1:7-9에 나타나 있다. 흥미롭게도 베드로는 그리스도를 소아시아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의 '감독'이라 불렀다(벧전2:25). 장로들도 감독과 함께 목회에 참여했다(벧전5:1). 가롯 유다가 예수를 팔고 자살한 후 한명의 사도가 비게 되었는데, 이 유다가 잃어버린 정통 사도직을 가리키는 행1:20의 '직분'이란 단어는 '감독'이란 뜻의 헬라어 epivskoph(에피스코페)이다.
3. 바울의 감사(빌1:5-8)
바울은 공식적인 문안 인사를 하고 나서 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감사를 피력하고 있다. 이것은 바울 서신의 일반적인 통례이다(롬1:8-10). 그러면 바울이 빌립보 교인들에게 감사한 이유는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그리고 빌립보 교회 교인들은 바울을 어떻게 도와주었나?
1) 신앙 안에서의 아름다운 교제
빌립보 교회는 바울의 2차 전도여행 중에 세운 교회이다(행16:11-40). 빌립보 교회는 항상 바울을 매우 사랑하고 존경하였고 또한 기도와 물질적으로 바울의 복음 사역을 도와주었다(행16:15 ; 고후11:9). 뿐만 아니라 빌립보 교인들은 에바브로 디도를 로마로 파송하여 바울 곁에서 그의 손발이 되어 수종들도록 하여 주었다(빌2:25-30). 바울은 이런 빌립보 교인들의 사랑을 돌이켜 보며 빌립보 교인들의 끊임없는 사랑과 복음 사역의 동참에 감사드렸다. 실로 신앙 안에서의 아름다운 교제를 지속하였던 것이다(빌1:5-8).
2) 성도의 교제
빌립보 교인들은 환난과 극한 가난 속에서도 바울을 위해 물질적 지원을 아끼지 않음으로써 바울의 복음 사역에 동참하였다. 또한 여러모로 바울에게 도움을 주었다. 빌립보 교회와 바울간의 아름다운 교제의 모습이 오늘날 교회에서 사라져 가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는 복음 사역자를 물질적으로나 여러가지 다른 차원에서 도와주어 복음 사역의 진보를 위해 같이 힘써야 할 것이다.
4. 중보기도
1) 정의
'중보'란 둘 사이에서 어떤 일을 주선하는 행위 또는 주선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따라서 중보기도란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들을 대신하여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을 가리킨다.
2) 중보기도의 근거
우리가 하나님께 기도할 수 있는 것은 먼저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셔서 찾아와 주셨기 때문에 가능하다. 기도는 하나님과의 은밀한 개인적인 교제이다. 하나님은 바로 이런 개인적인 기도를 통해서만 실제적인 기도의 응답을 주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에서는 중보기도를 명령하고 있다(엡6:18 ; 약5:14). 이것은 하나님의 찾아오심과 중보기도의 허용에 의해 성도들간의 중보기도가 가능한 것이다. 즉 하나님께서 당신을 통하여 성도들이 서로 교통하며 연합하여 하나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편으로, 또한 하나님의 구속 사역을 이루시기 위한 방편으로써 중보기도를 허락하신 것이다. 중보기도의 근거는 바로 하나님이시다. 이것은 중보기도의 효과의 확실함을 보증해 준다.
3) 의의
중보기도는 믿음이 약한 자나 고난으로 지쳐 있는 자에게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이 임하게 함으로써 믿음을 강건하게 해준다.
또한 위로와 힘을 얻을 수 있게 해주는 방편이 된다. 그리고 성도간의 영적인 교제를 나누는 통로가 되기도 한다.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빌립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자료] 성도의 생활태도 (빌립보서 2장) - 2 (0) | 2012.05.12 |
---|---|
[연구자료] 성도의 생활태도 (빌립보서 2장) - 1 (0) | 2012.05.12 |
[연구자료] 그리스도의 생명 (빌립보서 1장) - 1 (0) | 2012.05.12 |
[연구자료] 빌립보서 - 2 (0) | 2012.05.12 |
[연구자료] 빌립보서 - 1 (0) | 2012.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