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막절

1) 유래 및 목적
초막절은 40년간의 광야 방랑 생활 중 이스라엘을 인도하시고 보호해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하고 감사하기 위해 지켜진 절기이다. 그런데 이 절기가 가나안의 농경 축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혹자는 초막절이 가나안 원주민의 농경 축제를 본딴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즉 가나안 사람들은 올리브 열매 수확의 달(9월)이 되면 밤마다 가지와 덩굴로 만든 초막에 서서 올리브 과수원을 감시하고 또 올리브나 포도의 수확이 끝난 후에 축제를 벌였는데, 이스라엘이 이것을 본따서 가나안 정착 후에 초막절을 지키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레23:43에서 초막절은 분명히 출애굽과 광야 시대에 초막에 거한 사실에서 유래하였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리고 신31:9-13에는 초막절에 특별히 온 회중 앞에서 율법을 낭독할 것을 규정하고 있어 이스라엘의 초막절이 가나안의 농경 축제와는 다른 여호와의 절기임을 보여주고 있다.

2) 준수시기 및 방법
초막절은 유대력에서 1년의 마지막 달인 일곱째 달 (티쉬리)의 15일부터 7일간 계속되었으며, 8일째 되는 날은 안식의 날로써 장엄한 성회로 모였다. 초막절에 참석하는 모든 사람은 먼저 7일동안 기거할 초막을 준비해야 했다. 초막을 짓기위해 예루살렘 주위에서 버드나무 종려나무의 잔가지들을 모아 초막을 지었다(느8:13-18).
한편 이 절기동안 매일 행해지는 세가지 의식이 있었다. 그중 첫번째로는 아침에 가장 먼저 드려지는 헌수 의식으로써 제사장들이 실로암 못에 가서 일주일동안 쓰기에 충분한 물을 길러오는 것이다.
두번째는 밤에 4개의 커다란 '일곱 가지의 촛대' 밑에서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며 축제의 즐거움을 만끽하는 의식이었다. 마지막으로 새벽에는 제사장들에 의해 장엄한 제사 의식이 거행되었다. 이러한 7일동안의 의식이 끝나고 8일째 날에는 절기를 마감하는 장엄한 대성회로 모여서 초막절의 의미를 다시 마음에 새기며 축제의 막을 내린다.

2. 언약의 종류와 형식

1) 언약의 형식
① 전문(前文) : 언약의 반포자를 밝히고 있는 부분이다. 예를들면 십계명의 서문에서 '나는…너의 하나님 여호와로다' (출20:2)를 들수 있다. ② 역사적 서언(序言) : 언약을 맺기 이전에 당사자간의 과거의 역사적 관계를 밝히고 있는 부분이다. 출20:2에서 "너를 애굽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이란 구절이 이에 해당된다.
③ 조항(규례)들 : 언약 당사자간의 상호 책임을 밝히고 있는 부분이다. 십계명 중에서 1, 2계명이 이에 해당된다.
④ 문서보관 및 낭독 규례 : 언약 내용을 기록한 문서 보관과 그 문서를 정기적으로 낭독함으로써 그 언약 내용을 계속해서 숙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신31:10, 11 부분이 이에 해당되며, 율법을 숙지하도록 요구하는 많은 부분이 이에 해당된다(신6:20-25; 수4:6, 7).
⑤ 증인 또는 증거물 기록 : 성경 중에는 이런 내용이 잘 나타나지 않으나 여호와께서 스스로 언약의 증인으로 나타나고 있는 부분이 더러 있다(수24:22; 사1:2; 미6:1, 2). 그리고 돌은 그 증거물로 비석처럼 세우기도 했다(창31:47; 수24:27).
⑥ 맹세 : 언약의 규례에 대해 준수할 것을 쌍방간에 맹세하는 부분이다(창15:17). 그리고 "소금 언약"(민18:19), "여호와의 모든 말씀을 우리가 준행하리이다"(출24:7) 등도 이런 맹세 행위를 묘사한 것이다.
⑦ 축복과 저주 : 언약의 준수여부에 따른 축복과 저주의 내용을 기록한 부분이다.(신27, 28장).

2) 언약의 종류
① 종주권 언약 : 이는 주종 관계에서 맺은 언약으로 강대국과 약소국 사이에 주로 이런 언약이 체결된다(겔17:13). 성경에서 하나님과 그의 백성간의 언약적 관계를 묘사함에도 이 형식을 따르고 있다. 한편 이 언약의 특징은 주로 종신이 종주에 대해 지켜야할 규례와 충성심이 강조된다. 종주권 언약 중에도 왕이 신하에게 보상으로 땅이나 어떤 은총을 베풀어 양자간의 관계를 묶는 보호 언약 또는 봉건 언약이 있다.
② 동등 언약 : 이는 쌍방이 동등한 입장에서 의무 규례를 제시하거나 또는 의무 부과없이 서로에 대해 신의를 지켜 평화를 보존코자 맺는 언약이다. 이 언약의 특징은 양자를 우정 관계 혹은 형제의 관계로 결속하며 상대를 이해하고 존경하며 보호해 줌으로써 보다 성숙된 관계로 발전케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언약은 인간의 악한 본성 때문에 또는 상황의 변화에 따라 쉽게 파기될 수도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렘34:8-11).


 

출처 : 갓피플 자료&지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