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님 말씀하신 대로 이 산지를 내게 주소서
[여호수아 14장 1절~15절]
1절 - 이것은 이스라엘 자손이 가나안 땅에서 받은 기업 곧 제사장 엘르아살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자손 지파의 족장들이 분배한 것이니라
2절 -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그들의 기업을 제비 뽑아 아홉 지파와 반 지파에게 주었으니
3절 - 이는 두 지파와 반 지파의 기업은 모세가 요단 저쪽에서 주었음이요 레위 자손에게는 그들 가운데에서 기업을 주지 아니하였으니
4절 - 이는 요셉의 자손이 므낫세와 에브라임의 두 지파가 되었음이라 이 땅에서 레위 사람에게 아무 분깃도 주지 아니하고 다만 거주할 성읍들과 가축과 재산을 위한 목초지만 주었으니
5절 -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것과 같이 행하여 그 땅을 나누었더라
6절 - 그 때에 유다 자손이 길갈에 있는 여호수아에게 나아오고 그니스 사람 여분네의 아들 갈렙이 여호수아에게 말하되 여호와께서 가데스 바네아에서 나와 당신에게 대하여 하나님의 사람 모세에게 이르신 일을 당신이 아시는 바라
7절 - 내 나이 사십 세에 여호와의 종 모세가 가데스 바네아에서 나를 보내어 이 땅을 정탐하게 하였으므로 내가 성실한 마음으로 그에게 보고하였고
8절 - 나와 함께 올라갔던 내 형제들은 백성의 간담을 녹게 하였으나 나는 내 하나님 여호와께 충성하였으므로
9절 - 그 날에 모세가 맹세하여 이르되 네가 내 하나님 여호와께 충성하였은즉 네 발로 밟는 땅은 영원히 너와 네 자손의 기업이 되리라 하였나이다
10절 - 이제 보소서 여호와께서 이 말씀을 모세에게 이르신 때로부터 이스라엘이 광야에서 방황한 이 사십오 년 동안을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나를 생존하게 하셨나이다 오늘 내가 팔십오 세로되
11절 - 모세가 나를 보내던 날과 같이 오늘도 내가 여전히 강건하니 내 힘이 그 때나 지금이나 같아서 싸움에나 출입에 감당할 수 있으니
12절 - 그 날에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이 산지를 지금 내게 주소서 당신도 그 날에 들으셨거니와 그 곳에는 아낙 사람이 있고 그 성읍들은 크고 견고할지라도 여호와께서 나와 함께 하시면 내가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그들을 쫓아내리이다 하니
13절 - 여호수아가 여분네의 아들 갈렙을 위하여 축복하고 헤브론을 그에게 주어 기업을 삼게 하매
14절 - 헤브론이 그니스 사람 여분네의 아들 갈렙의 기업이 되어 오늘까지 이르렀으니 이는 그가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온전히 좇았음이라
15절 - 헤브론의 옛 이름은 기럇 아르바라 아르바는 아낙 사람 가운데에서 가장 큰 사람이었더라 그리고 그 땅에 전쟁이 그쳤더라
[배경 이해하기]
여호수아는 모세가 죽은 후 이스라엘 백성과 함께 약속의 땅인 가나안 정벌에 나섭니다. 크고 작은 전쟁을 겪은 뒤 그는 하나님이 맡기신 땅을 취합니다. 여호수아 11장은 그가 하나님이 모세에게 말씀하신 약속을 이루었다고 기록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하나님이 모세를 통해 하신 약속이 여호수아를 통해 이루어졌다는 것에 주목해야 합니다. 하나님께 약속을 받은 모세는 비록 광야에서 생을 마감했지만, 여호수아를 통해 하나님의 약속은 신실하게 이루어졌습니다. 하나님은 여호수아에게 가나안 땅 분배를 지시하셨고, 이스라엘이 분배받은 땅을 직접 점령하게 하심으로 가나안이 온전히 이스라엘의 땅이 되게 하십니다. 그런데 다른 지파들에게는 땅이 정해진 반면 유다 지파의 갈렙은 헤브론을 요구합니다. 헤브론은 옛 이름이 기럇 아르바로, 가나안에서 가장 높은 지대일 뿐 아니라 거인 아낙 족속의 땅입니다. 갈렙은 헤브론을 산지라고 불렀는데 이는 그가 40세 때 가나안 정탐 시 보았던 산지를 연상시킵니다(민 13:17). 그는 정탐한 지 45년이 지나 85세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40세의 시각으로 헤브론을 바라봅니다. 갈렙의 이러한 태도는 모세를 통해 가나안 정복을 약속하신 하나님의 약속이 여호수아에 이어 갈렙을 통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인도자를 위한 본문 연구]
본문 연구 1: 땅을 분배받는 이스라엘 백성(1~4절)
여호수아 11:23절은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신 대로 그 온 땅을 점령하여 이스라엘 지파의 구분에 따라 기업으로 주매 그 땅에 전쟁이 그쳤더라”라고 선언합니다. 그리고 이스라엘에게 가나안 땅을 주리라 하신 하나님의 약속이 드디어 여호수아를 통해 이루어집니다(5절). 이 두 구절을 통해 가나안 정복이 완결됐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11:23절의 ‘그쳤더라’라는 선언은 미래 완료적 선언으로, 아직 완전히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하나님이 이루실 것에 대한 의지적 표현입니다. 실제로는 아직도 정복해야 할 땅이 많이 남아 있었습니다(13:1). 여호수아가 이끌었던 이스라엘 군대는 여리고 성, 아이 성을 점령하고, 아모리 족속의 다섯 왕으로 구성된 연합군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여기까지 왔습니다. 여호수아는 이제 나이 들어 늙었고 아직도 정복할 땅이 많이 남아 있었기에 그는 가나안 땅을 이스라엘 백성에게 분배하여 나눠 줌으로써 그들이 남아 있는 가나안 땅을 스스로 온전히 정복해 갈 수 있는 길을 제시했습니다. 이제 이스라엘 백성은 그 땅 거민과 싸워 분배받은 땅을 점령해야 합니다. 가나안 정복은 땅을 분배받은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아직도 싸워야 할 대상이 남아 있고 점령해야 할 곳이 남아 있습니다. 모세를 통해 주신 약속의 땅은 거저 주어지지 않습니다. 거대한 성을 무너뜨리고 분배받은 땅을 온전히 점령해야만 그들의 기업이 되는 것입니다(9절).
본문 연구 2: 헤브론을 기업으로 받는 갈렙(6~15절)
이스라엘 백성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땅을 나누어 받을 때 유다 지파 그니스 사람 여분네의 아들 갈렙은 헤브론을 달라고 요구합니다. 갈렙은 모세가 가데스 바네아에서 열두 명의 정탐꾼을 뽑아 가나안 땅에 보냈을 때 유다 지파의 대표로 뽑혀 가나안을 정탐하고 돌아와 그 땅을 정복할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7절). 갈렙과 여호수아 두 사람만 하나님이 그 땅을 이스라엘에게 붙이셨다고 했습니다. 이는 승리를 허락하실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믿음의 고백이었습니다(민 13:30). 그러나 다른 열 명의 부정적인 보고에 하나님을 원망한 이스라엘 백성은 40년간 광야에서 방황해야 했습니다. 헤브론 산지는 40년 전 갈렙이 보았던 산지를 연상시킵니다. 헤브론은 가나안에서 가장 높은 지대였으며(해발 930미터), 거인족으로 불리는 아낙 자손이 살던 땅이었습니다. 아낙 자손들을 본 열 명의 정탐꾼은 자신들을 메뚜기 같다고 표현하며 백성을 낙담시켰지만(민 13:33), 갈렙은 그 땅을 주겠다고 말씀하신 하나님의 약속을 바라보았습니다. 그는 자신이 85세인 지금까지 살아 있는 이유가 “네 발로 밟는 땅은 네 기업이 되리라”라고 하신 하나님의 약속 때문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갈렙에게 헤브론은 40년 전 하나님이 주신 약속이 이루어지는 소망의 땅이었습니다.
[묵상 포인트]
하나님의 약속은 상황과 상관없이 하나님이 이루십니다. 모세는 죽었고 여호수아는 늙었지만, 가나안 정복은 갈렙을 통해 계속 진행됩니다. 갈렙에게 가나안 땅을 주시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은 신실하게 이뤄집니다. 사람과 환경은 바뀌어도 하나님의 약속은 변하지 않습니다.
1. 지금까지 내 삶을 이끌어 온 하나님의 약속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그 약속이 과연 이루어질까 의심이 들 때는 어떤 경우였나요?
갈렙이 나이 85세에 헤브론을 향해 나아갈 수 있었던 이유는 하나님의 약속 때문이었습니다. 갈렙은 자신의 나이를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오직 하나님의 약속만을 생각했습니다. 그는 사람은 늙고 변해도 하나님의 약속은 변함없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그 약속은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라고 확신했습니다. 하나님은 40년 전에 갈렙에게 약속하셨습니다. “네 발로 밟는 땅은 영원히 너와 네 자손의 기업이 되리라”(9절). 갈렙은 이 약속을 잊지 않았습니다. 신실하신 하나님의 약속을 붙잡는 인생은 흔들리지 않습니다. 약속을 붙잡는 인생은 바른길을 갑니다. 후회하거나 뒤돌아보지 않습니다. 어떤 일이 있어도 결코 포기하지 않습니다. 인생의 역경을 극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연재하던 기독교 잡지 기사에서 발견한 특이한 점은 그들 모두 하나님이 주신 약속의 말씀을 붙잡았다는 사실입니다. 갈렙은 40년 전 하나님이 주신 약속을 잊지 않았고, 기회의 때에 약속을 이루어 주실 하나님을 믿음으로 약속의 땅으로 나아갔습니다.
2. 내 한계와 삶의 조건을 초월해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을 경험하려면 어떤 믿음으로 어떻게 행해야 할까요?
온누리교회를 설립한 하용조 목사는 오랜 시간 결핵과 간암 등으로 많은 수술을 받았고 급기야 교회의 권고를 받아 안식을 위해 일본으로 갔습니다. 그는 일본에서 쉬는 동안 일본인들에게 복음이 필요함을 깨닫고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기로 결심합니다. 자신의 몸을 돌아보고 안식을 취해야 할 시간에 일본인들을 위한 전도 집회를 구상한 하용조 목사는 일본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의 노래인 ‘러브 소나타’를 개최했습니다. 그가 2011년 소천한 뒤에도 현재까지 수많은 중소 도시에서 ‘러브 소나타’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하용조 목사는 크고 장대한 우상으로 가득한 헤브론과 같은 산지인 일본이 하나님의 기업이 될 수 있도록 갈렙처럼 “이 산지를 내게 주소서!”라고 외쳤던 것입니다. 하나님의 역사는 나이와 환경을 뛰어넘습니다. 75세에 누리글을 세계에 보급한 김석연 교수나 자기 몸이 닳아 없어질 때까지 복음을 전하다 죽겠다고 한 방지일 목사 모두 나이와 환경을 뛰어넘어 하나님의 역사를 경험한 이 시대의 갈렙입니다.
[기도문]
제게 주신 하나님의 약속은 어떤 상황에서도 변함없는 줄 믿습니다. 제 연약함을 뛰어넘어 역사하시는 하나님을 신뢰하며 믿음의 길을 걷게 하소서.
출처 : 생명의 삶
'여호수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극적인 도전과 참여로 주님의 기업을 얻은 사람 (수 15:13~19) (0) | 2016.08.12 |
---|---|
나의 영적 지경은 어디까지입니까? (수 15:1~12) (0) | 2016.08.12 |
충성한 자의 당당한 외침, 이 산지를 내게 주소서! (수 14:1~15) (0) | 2016.08.09 |
하나님의 기업은 거룩함에 근거합니다 (수 13:15~33) (0) | 2016.08.08 |
복음 들고 믿음으로 정복해야 할 약속의 땅 (수 13:1~14) (0) | 2016.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