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udy
I. 레위 지파에게 성읍을 나눠줌 21:1-8
(1) 레위 지파의 청원이 실로에 자리한 대표자 총회에 제시되었다(1,2절).
1)그들은 이 청원을 할때까지 아직 자신들의 분깃을 배당받지 못했다. 그들의 주장은 아주 타당한 근거가 있었다. 즉 자신들의 공로나 직분이 아닌 하나님의 명에 근거를 두고있는 것이다. "여호와께 모세로 명하사 우리의 거할 성읍들과 우리의 가축먹일 그 들을 우리에게 주라 하셨었나이다. 이는 당신들에게는 그땅을 우리에게 주라고 명하신 것이며, 아울러 우리에게는 그것들을 요구하라는 명령이기도 합니다." 사역자들의 생계가 순전히 성도들의 호의에 내맡겨져 임의로 처리할수 있는 것이 아님을 주목하라. 만일 그렇다면 성도들이 원할때 사역자들을 굶게 할수도 있다는 것이 아닌가? 절대로 그렇지않다. 이스라엘의 하나님께서 레위 사람들이 적절히 보살펴지도록 명하신 것처럼 교회의 왕이신 주 예수께서도 복음을 전파하는 자들이 복음으로 말미암아 살게되리라고 정해주셨다(고전 9:14).
2)그들은 다른 모든 지파가 기업을 얻기까지는 요구하지 않다가 기업분배가 끝나자 곧 자신들의 요구를 하였다. 그들은 기꺼이 마지막에 배분받고자 했다. 그렇다고해서 그들이 결코 더나쁘게 대우받았던 것은 아니다. 하나님의 사역자들은 인간의 사고방식으로 볼때 늦어지는것 같이 보일지라도 불평하지 말고 하나님의 은총과 그로부터 오는 존귀함을 확신할수 있어야 한다.
(2) 레위 지파의 청원은 아무 이의없이 곧 수락되었다.
1)이스라엘 자손이 레위 지파 사람들을 위해서 성읍들을 주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나님께서는 모두 마흔여덟 개의 성읍을 지정하셨었다. 하나님께서는 '각기 얻은 산업에 따라서 그 성읍들을 레위인에게 줄지니라'고 정하셨다(민 35:8). 나중에 나오는 설명을 보면 이스라엘 자손이 레위 지파에게 준 성읍들은 대개 각지파에서 가장 좋거나 중요한 것들이었음을 알수 있다.
2)그들은 '여호와의 명을 따라' 성들을 주었다.
3)마흔여덟 개의 성읍이 선정되자 그들은 이것들을 서로 가까운 것끼리 묶어서 레위 지파내의 가족수에 따라 네분깃으로 나누었다.
①유일한 제사장 가문이었던 아론의 가문은 유다, 시므온, 그리고 베냐민 지파로부터 십삼 성읍을 자기들의 몫으로 받았다(4절).
②그핫 족속 레위인들(비록 구분할수는 없으나 그들가운데는 모세의 후손들이 있었다)은 유다 지파 가까이에 있는 단 지파의 분깃에 속한 성읍들과 베냐민 지파옆에 있는 므낫세 반지파의 성읍들, 그리고 에브라임 지파의 성읍들을 소유했다. 이렇게해서 아론과 일가된 자들은 아론의 자손들과 가장 가까이 있게 되었다.
③게르손은 레위의 장자였다. 그러므로 비록 동생인 그핫 자손의 집이 그의 집보다 앞섰다할지라도 그의 자손들은 므라리 자손보다는 앞서게되었다(6절).
④가장 막내인 므라리의 가문은 마지막으로 분깃을 받았는데 그것은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7절).
Ⅱ. 레위 지파의 분깃으로 주어진 성읍들의 목록 21:9-42
우리는 이것에 관하여 율법에서 발견할수 있는 사실들을 제외하더라도(민 35장) 본문의 설명에서도 여러가지 사실들을 발견할수 있다.
(1) 레위인들은 각지파가운데로 흩어졌으며 나라안 어느 한지역에 모여 살수 없었다. 그리스도께서는 열두 사도를 한몸으로 남겨두셨으나 때가되면 제각기 흩어지라는 말씀을 남기셨다. 이는 모든 족속에게 복음을 전파케하기 위함이었다.
(2) 이스라엘의 모든 지파는 아무리 멀리 떨어진 곳에 있다할지라도 그지역의 크기에 비례해서 레위인들에게 성읍들을 줌으로써 자기 지파를 돋보이게 하고 풍족하게 하였다.
1)이는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명하신대로 관대함을 보이기 위해서였다(신 12:19;14:29).
2)이는 또한 레위 사람들로부터 권고와 훈계를 받기 위함이었다. 그들이 회막으로 올라가지 못하여 회막에 있는 사람들과 의논하지 못하게 되었을때 그들은 레위 사람들의 성읍으로 가서 여호와의 선한 지식을 배울수가 있었다. 이와같이 하나님께서는 그의 집의 모든 방에 양초를 두시고 모든 가족들에게 불을 밝히신다.
(3) 아론의 자손들 즉 제사장들을 위해서 지정된 성읍들은 십삼 개로서 가장 좋은 것들이었다(19절). 아론은 엘르아살과 이다말, 단지 두아들만을 두었으나 이제는 상당히 번성해있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이성읍들을 다 채울만큼 크게 번성케되리라는 것이 예견되어졌다. 우리는 신구약성경에서 애굽을 탈출한 이스라엘의 모든 가족들중에서 아론의 가족만큼 번성한 가족은 또 없을 것이라고 생각될정도로 제사장 수효가 많았던 것을 읽을수 있다. '여호와께서 너희 곧 너희와 또 너희 자손을 더욱 번창케하시기를 원하노라'(시 115:12,14)는 약속은 아론의 집에 대한 약속이기도 했다.
(4) 레위 지파 성읍들중의 몇몇은 후에 다른 여러기록들에 나타나듯이 유명하게 되었다. 헤브론은 다윗이 그의 통치를 시작한 곳이었고, 마하나임 역시 레위 지파의 성읍(38절)으로 다윗이 압살롬을 피해 도망할때 그의 본거지가 된 곳이다. 레위 지파의 또다른 성읍 세겜은 최초로 왕의 칭호를 사용한 이스라엘 사람(기드온의 아들 아비멜렉)이 통치했던 성읍이였다(21절).
Ⅲ. 하나님의 약속의 완전한 성취 21:43-45
우리는 여기서 미리 예언된 역사가 성취되는 것을 보게된다.
(1)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의 자손에게 가나안 땅을 주시기로 약속하셨고 이제 그약속을 실행하셨다. 그들이 그것을 얻어 거기 거하였으며(43절).
(2) 하나님께서는 그땅에서 그들에게 안식을 주시기로 약속하셨고 이제 그들은 안식을 얻었다. 즉 광야를 지나는 긴여정으로부터 안식을 얻었으며 가나안에서의 전쟁으로부터도 안식을 얻었다. 그들은 이제 자신의 거주지에 거하게 되었을뿐만 아니라 아주 조용하고 평화롭게 거할수 있게 되었다. 이 안식은 그들이 자신의 죄와 어리석음으로인해 자신들의 침대와 눈에 가시를 놓기까지 계속되었다.
(3) 하나님께서는 그들에게 전쟁에서의 승리와 성공을 약속하셨고 이 약속도 마찬가지로 성취되었다. 그들을 당한 자가 하나도 없었으니(44절).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신실성을 경험한 것이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영광을 위하여 채무를 이행하신 것이고 그처럼 빈번히 불신당해온 하나님 자신의 약속을 입증하신 것이며 또한 세상끝날까지 모든 신자들에게 주신 격려이었다.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족속에게 말씀하신 선한 일이 하나도 남음이 없이 다 응하였더라(45절).
# 핵심
21:1-42
레위인들은 그핫, 게르손, 므라리 자손으로 구성되었다(출 6:16; 민 3:17). 이들은 자신의 영토나 마을을 할당받지않고 각지파의 영토에 속한 성읍에 흩어져 살았다.
안식(21:44)
안식개념에는 일로부터 쉬거나 전쟁없이 평안하게 정착하는 삶을 의미할뿐 아니라(1:13-15) 중요한 신학적인 의미도 담겨있는데, 그것은 신실한 믿음을 지닌 사람에게 주어지는 영적인 해방과 만족감을 동반하는 참된 안식이다. 이스라엘이 가나안을 정복하고 얻은 안식은 영원한 안식의 그림자였다. 안식의 진정한 의미는 신약에 와서 성취된다. 성도는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안에서 모든 수고와 짐을 벗고 안식을 누린다(마 11:28-30). 또한 장차 완성될 새하늘과 새땅에서의 안식이 여전히 남아있다(히 4:8-10).
# 묵상
레위 지파의 요구 ( 21:1, 2 )
그들의 요구는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명하신 것이기때문에 정당한 것이었습니다(민35:1-9). 레위 지파는 하나님께서 구별하신 지파로(신10:8) 성막에서 섬기는 직무를 행했는데(민16:9) 이렇게 하나님의 일을 하는 자들에게 거할 성읍과 들이 제공되는 것은 하나님의 뜻입니다. 사람들의 요구는 하나님의 명령과 그분의 섭리를 바탕으로 해야만 합니다.
흩어져 거주하게된 레위 자손 ( 21:8-42 )
이는 레위 자손으로하여금 온백성들의 일꾼으로 일하게 하기위한 하나님의 섭리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이들을 어느 한곳에 편중해서 살게하지 않았고, 윤택하거나 궁핍함을 가리지않고 정해진 곳에 거주하게 하셨습니다. 이 사실이 의미하는바는 하나님의 사람들은 어느장소든 구애받지 않고 믿음으로 생활에 자족하며 살아야한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약속을 성취하시는 하나님의 신실성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데못 ( 21:37 )
그데못이라는 지명은 ‘동쪽의 땅’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이곳은 요단 동편의 모압 광야에 있던 성읍으로서 아르논 강 상류에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출애굽한 모세는 이곳에서 헤스본왕 시혼에게 사자를 보내어 이스라엘이 그땅을 통과하는 것을 허락해달라고 하였으나 거절당한 다음 그땅을 정복하였습니다. 그후 이 성읍은 므라리 사람에게 주어지게 됩니다.
안식의 의미 ( 21:44 )
안식은 구체적으로 주변족속들의 위협, 압박 등에서 벗어난 평화로운 상태를 뜻합니다. 그리고 신약에서는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그 안식이 성취됩니다(히12:22-24). 그리스도께서 믿는 자들의 안식이 되시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는 당신에게 오는 모든 자들에게 영혼의 위안과 해방과 참안식을 주시는 분입니다(마9:28-30).
하나님과 말씀의 관계 ( 21:45 )
하나님은 이세상을 말씀으로 창조하셨고, 이스라엘에게 말씀하셨던 약속은 다 지키셨습니다. 하나님의 약속이 비록 더디게 성취되는것 같아도 성도가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믿고 인내로써 기다리면 언젠가는 이루어주십니다.
'여호수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호수아 23장 - study (0) | 2020.12.23 |
---|---|
여호수아 22장 - study (0) | 2020.12.22 |
여호수아 20장 - study (0) | 2020.12.22 |
여호수아 19장 - study (0) | 2020.12.22 |
여호수아 18장 - study (0) | 2020.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