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udy
Ⅰ. 법궤를 옮김 13:1-8
(1) 다윗은 하나님의 법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기겠다는 경건한 제안을 함으로써(1-3) 왕의 성읍을 거룩한 도성이 되도록 하였다.
1) 다윗은 왕위에 앉자마자 하나님의 궤에 대하여 생각하였다. 우리가 우리 하나님의 궤를 옮겨오자(3절).
① 다윗은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인 하나님의 법궤에 경외심을 나타냄으로써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려고 하였다.
② 그 거룩한 계시의 위로와 은혜를 얻고자 하였다. "그것을 우리에게 가져오도록하여 우리면목을 세울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축복이 임할수 있도록 하자." 하나님을 상담자로 삼고, 율법을 삶의 규칙으로 삼기위해 이세상에서 하나님의 궤를 받아들이는 자들은 지혜로운 사람이다.
2) 다윗은 그일에 대해 백성의 지도자들과 상의했다(1절).
① 다윗은 그들에게 존경과 영예를 표하고자 하였다. 지혜로운 왕은 독단적이 되기를 원치않는다.
② 다윗은 법궤를 옮기는 방법에 대하여 그들의 충고를 받고자 하였다.
3) 다윗은 그때 모든백성을 불러 참석하게 하였는데, 이는 법궤의 존귀함을 드러내고 백성들을 만족시키고 또한 그들을 깨우쳐주기 위함이었다(2절).
① 그는 일반서민을 '형제'라고 불렀는데, 그것은 그의 겸손과 겸양을 말해준다.
② 그는 백성을 남은자로 표현하여 어떤재난을 면하였던 것을 보여준다. 이스라엘 온땅에 남아있는 우리형제, 그들은 흩어질 위험에 있었다.
③ 그는 특히 레위인들과 제사장들을 법궤옮기는 일에 불러모으도록 하였다.
4) 이모든 일은 '우리의 하나님 여호와께로 말미암았으면'이라는 가정아래 있다.
5) 과거통치에서 잘못된 것이 있었던 것을 고쳐야 하는것은 이와같이 필수적인 일이었다. 사울때에는 우리가 궤앞에서 묻지 아니하였느니라(3절). 다윗은 사울에 대해 비난하려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그와 다른사람들이 태만한 죄를 범하였다고 말하는 것이다.
(2) 백성들은 이제안에 동의하였다(4절). 뭇백성이 이일을 선히 여겨.
(3) 법궤를 옮겨올때의 의식(5-8)에 대해서는 사무엘하 6:1절이하에서 이미 언급되었다.
Ⅱ. 웃사의 죽음 13:9-14
웃사에게 돌발한 사건은 모든기쁨을 중단시켰다. 사무엘하 6:6절이하에 자세한 설명이 나온다. 웃사의 죄는 성물을 다룰때에 무례하고 조급하고 불경하게 하는것을 우리모두에게 경고하는 것이며(9절), 선한의도가 나쁜행동을 정당화시킬 것이라고 생각지 말라는 것이다.
# 핵심
13:1-14
삼하 6:1-11절에 기록된 내용과 동일하지만 그문맥상의 위치가 다르고, 내용도 좀더 자세하다. 다윗왕국이 결성된 직후에 언약궤를 옮기는 기사를 기록한 이유는 신정국가의 면모를 분명하게 부각시키기 위함이다.
# 묵상
다윗의 행정처리 방법 ( 13:1 )
다윗은 국가의 중대사를 천부장, 백부장들과 의논했습니다. 전시였지만 다윗은 모든일을 독단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민의를 수렴했습니다. 교회에서의 회의도 다른지체들을 생각하여 개인의 독단에 사로잡히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다윗의 소망 ( 13:8 )
백성의 추대를 받은 다윗이 하고자 했던 일은 하나님의 궤를 메어오는 것이었습니다. 백성의 인기를 한몸에 받았지만 다윗은 하나님께서 함께계시기 때문에 이런일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하나님께 자문을 구하고자 언약궤를 가져오기로 결심했던 것입니다.
웃사의 죄 ( 13:9, 10 )
웃사의 잘못은 자격없는 사람이 궤를 붙든 것입니다. 자격없는 사람이 감당할수 없는일을 맡게되면 그자신은 물론 온교회가 시험에 들게된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웃사의 죽음을 통한 다윗의 깨달음 ( 13:12, 13 )
웃사의 죽음을 통해 다윗은 별생각없이 언약궤를 다룬일을 두려워하여 궤를 다윗성이 아닌 오벧에돔의 집에 안치했습니다. 중대한 일을 하나님께 묻지않고 마음대로 처리했다가 낭패를 당할수가 있습니다.
# 해설
법궤의 운반과 웃사의 죽음 ( 13 )
이스라엘 장로들에 의해 왕으로 기름부음을 받은 다윗이 제일먼저 시도한 것은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사이의 관계를 회복시키는 것이었습니다. 본장에는 왕위에 오른 다윗이 하나님의 법궤를 옮기려는 시도를 했던것과 법궤운반 도중에 일어났던 불상사에 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1. 법궤를 운반하고자 하는 다윗
1) 회의를 소집한 다윗
다윗은 이스라엘백성의 절대적인 지지속에 왕위에 오른후 첫번째 사업으로 법궤이동을 계획했습니다. 그동안 이법궤는 예루살렘에서 40리 가량이나 떨어져있는 기럇여아림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다윗은 하나님의 법궤를 기럇여아림에서 예루살렘으로 옮겨오는 중대한 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해 회의를 소집하였습니다.
a.회의를 소집한 다윗(대상13:1-2)
b.기럇여아림에 있던 하나님의 궤(대상13:5)
2) 지도자들과 의논함
회의를 소집한 다윗은 먼저 군사관계 지도자들을 모아 법궤옮기는 문제를 의논했습니다. 그는 법궤이동에 대한 자신의 계획을 일방적으로 관철시키려 하지않고 백성의 뜻을 묻고 수렴하는 정치적 지도력을 보였던 것입니다. 다윗은 온백성앞에 법궤이동을 제안하면서 법궤를 소홀히했던 지난시대의 잘못을 지적했습니다. 다윗은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법궤가 이스라엘의 중심지인 예루살렘으로 옮겨지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다윗은 법궤이동을 계획하고 이를 백성에게 제안함으로써 좋은신앙의 본을 보여주었습니다.
a.궤에 묻지않은 사울왕 시대(대상13:3)
b.궤와 함께하시는 여호와(민10:35-36)
3) 법궤이동에 동의하는 백성
기럇여아림에 있는 법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겨오자는 다윗의 제안은 뭇백성의 동의를 얻었습니다. 이스라엘백성은 다윗이 제안한 법궤이동 계획에 동의함은 물론 이를 실행에 옮기기로 결의했습니다. 법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겨오는 일은 신앙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적지않은 의미를 지닙니다. 법궤는 하나님을 향한 이스라엘 신앙의 증표가 되기도 하며 이스라엘가운데 거하시는 하나님임재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a.법궤이동에 동의함(대상13:4)
2. 웃사의 죽음
1) 거국적인 행사
다윗은 오랫동안 기럇여아림에 방치되어 있던 언약궤를 예루살렘으로 운반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에 착수했습니다. 다윗은 이일을 위해 애굽의 시홀시내에서부터 하맛어귀까지 온이스라엘 백성의 대표자를 불러모았습니다. 법궤를 기럇여아림에서 예루살렘으로 옮겨오는 일은 온이스라엘의 기쁨이고 보람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법궤이동 행사는 온백성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가운데 온민족의 축제로 진행되었습니다.
a.기럇여아림에 있는 궤(삼상7:1)
2) 규례를 어김
다윗과 이스라엘백성들은 법궤이동을 위해 준비를 많이 했습니다. 그렇지만 법궤를 옮겨오는 행사는 그규모의 성대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이 명하신 규례를 어김으로써 돌이킬수 없는 불행을 빚고 말았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분명히 법궤를 옮길때는 고핫자손들이 어깨를 메어 운반하라고 하셨습니다(참조, 출37:5). 그러나 다윗왕은 새수레에 법궤를 싣고 웃사와 아히오가 수레를 몰도록 했습니다.
a.새수레에 실음(대상13:7-8)
b.고핫자손이 메는것만 허락함(민4:15)
3) 웃사의 죽음
다윗을 비롯한 이스라엘백성들은 법궤를 실은 수레행렬을 쫓으며 힘을 다하여 춤추고 뛰놀았습니다. 법궤를 옮기는 수레의 행렬이 기돈의 타작마당에 이르렀을때에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소들이 뛰므로 수레를 몰던 웃사가 급히 손을 뻗어 법궤를 붙잡았습니다. 경황없이 행한 실수때문에 웃사는 하나님의 진노로 죽음을 당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하나님이 명하신 규례를 어겼기 때문입니다.
a.아비나답의 아들 웃사(삼하6:3)
3. 법궤운반 중지와 오벧에돔
1) 법궤운반을 중지함
다윗은 웃사의 죽음을 부른 법궤이동 사업을 계속 진행시키기를 두려워했습니다. 그는 법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겨옴으로써 그자신에게도 진노가 임할까 두려워했던 것입니다. 다윗과 온이스라엘 백성들이 순수한 열정과 기쁨으로 착수했던 법궤의 예루살렘운반은 전혀 예기치못한 사건으로 중단되고 말았습니다.
a.성물을 만지는자는 죽음(민4:15)
2) 축복을 받은 오벧에돔
예루살렘으로의 운반이 중지된 법궤는 오벧에돔의 집에 머물게 되었습니다. 오벧에돔은 레위족의 거주지인 가드림몬에 살고있는 것으로 보아 레위의 후손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는 베레스웃사에서 일어난 끔찍한 사건을 목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법궤를 그의 집안에 안치하는 일에 동의했습니다. 법궤는 오벧에돔의 집에 안치되어 석달동안을 그의 권속들과 함께 지냈습니다. 하나님은 오벧에돔의 집안과 소유에 많은축복을 베푸셨습니다. 오벧에돔의 축복을 통해서 다윗과 이스라엘백성들은 새삼 하나님을 경외하는 마음을 갖게 되었습니다.
a.오벧에돔에게 복을 주심(대상26:5)
b.능력있는 자손을 낸 오벧에돔(대상26:4)
결론
우리는 하나님의 궤에 대한 다윗의 태도를 통해 그가 얼마나 하나님중심으로 살고자 애썼는가를 잘알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윗의 삶은 하나님의 축복을 받기에 당연한 것입니다. 우리도 다윗처럼 하나님 제일주의로 살아 형통한 삶을 살아가도록 해야합니다.
'역대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대상 15장 - study (0) | 2022.11.12 |
---|---|
역대상 14장 - study (0) | 2022.11.12 |
역대상 12장 - study (0) | 2022.11.11 |
역대상 11장 - study (0) | 2022.11.11 |
역대상 10장 - study (0) | 2022.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