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약궤의 봉헌식은 어떤 절차로 진행되었는가(왕상 8:1-11)?
백성들이 모임
성전에 가득한 구름이 의미하는 바는(왕상 8:9-11)?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제사를 열납하셨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남을 보여줌.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생활할때 구름으로 그들을 인도하시고 보호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뜨거운 태양을 막아주는 구름처럼 당신의 백성을 많은 어려움 속에서 보호해 주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성전에만 계시는가(왕상 8:12, 13)?
하나님께서는 무소 부재하시기에 성전에만 계시지 않고 어느 곳에나 계십니다. 그러나 성전은 하나님의 자기 계시의 장소로써 공식적인 예배를 드리는 장소이기에 중요합니다.
신약에서 예수님은 예배 장소보다 예배하는 자의 마음 자세를 중요하게 여기셨기 때문에 신령과 진리 안에서 예배할 것을 말씀하셨습니다(요4:24).
솔로몬이 하나님을 찬양한 봉헌사는(왕상 8:15)?
성전은 하나님의 계획과 은혜로 말미암은 것이고,
하나님께서는 어려움 가운데에서 구원해 주신 구원주이심을 찬양했습니다.
하나님의 절대 주권이란(왕상 8:16)?
하나님의 선택하심에 있어서 믿는 자를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고유한 권한을 말합니다.
‘내 이름을 둘만한 집’이란 의미는(왕상 8:16)?
하나님께서 자기 계시의 장소로써의 성전의 역할을 강조하신 말씀임.
하나님께서는 성전에서 드려지는 예배와 제사를 흠양하십니다.
또한 백성에게 필요한 생명의 말씀은 바로 ‘내 이름을 둘만한 집’에서 계시해 주십니다.
다윗을 택했다는 말씀의 의미는(왕상 8:16)?
하나님께서 절대적인 주권으로 다윗을 선택하셨음을 의미함.
이는 결코 다윗이 자고함에 빠지지 않도록 경계하여 하나님 앞에서 절대적으로 순종할 것과 하나님의 은총을 찬양케 했음을 의미합니다.
솔로몬의 신앙 고백은 무엇인가(왕상 8:23)?
‘주께서는 온 마음으로 주 앞에서 행하는 종들에게 언약을 지키시고 은혜를 베푸시나이다’.
살아서 역사하시는 하나님께 범사를 의탁하는 자에게는 하나님의 권능이 함께하실 것이라고 약속하십니다.
성도들은 환란에서 물러서지 아니하고 살든지 죽든지 하나님만 의지할때 성숙된 그리스도인으로서 영광스러운 모습으로 살수 있을 것입니다.
기도의 근거는(왕상 8:22-26)?
기도는 단순히 사람의 간구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기도는 하나님의 약속에 근거합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기도할때 먼저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말씀을 붙들어야 합니다.
중보 기도란(왕상 8:27-30)?
다른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
예수님께서는 지상에서 제자들을 위한 중보 기도를 하셨으며 지금은 성령님께서 우리를 위해 말할수 없는 탄식으로 간구하고 계십니다(롬8:26).
죄사함은 어떻게 가능한가(왕상 8:31, 32)?
구약에서의 죄사함은 하나님의 전에서 희생 제물을 드림으로만 가능했음.
신약에서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피흘리심을 믿는 사람만이 죄사함을 받는데 그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친히 제사장이 되시기도 하고 제물이 되시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자연 계시란(왕상 8:35, 36)?
하나님의 계시가 믿음을 통해 특수한 방법으로만 아니라 자연 현상을 통한 보편적인 것으로 나타나는 것.
하나님께서는 자연 현상을 통해서도 친히 말씀하시는데 우리에게는 그것을 파악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자연을 통해서도 하나님을 알수 있게 하셨습니다. 그러므로 누구도 핑계할 수 없습니다(롬1:20,21).
구약에도 보편 구원이 있는가(왕상 8:41-43)?
하나님께서는 특별한 하나님의 계시를 나타내시기 위해 이스라엘을 택하셨습니다.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향한 계획입니다. 그러나 다른 백성도 하나님께 나아와 회개하고 기도하면 하나님께서 그들을 지키신다는 것을 요나서를 통해 알수 있습니다.
신약은 완전한 보편 구원을 나타내고 있는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역이 이것을 확실히 가능케 했습니다.
구약에서 전쟁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왕상 8:44, 45)?
구약에서 전쟁은 소위 ‘성전(聖戰)’이라 불렸습니다. 왜냐하면 이스라엘이 이방 민족들과 벌인 전쟁은 하나님을 위한 전쟁으로 이방 민족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의미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전쟁은 개인 또는 국가의 이기주의로 일어납니다. 예수님께서는 이땅에 평화를 주러 오셨기 때문에 우리는 평화를 실현해야 합니다.
인간의 타락 정도는(왕상 8:46)?
인간은 죄로 인해 어느 한부분만 아니라 온 인격과 존재 전부가 타락하게 되었음.
그러기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도 어느 한부분만의 회복이 아니고 인간의 전 존재를 회복시키는 것이고 완전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시키는 것입니다.
솔로몬이 예언적인 간구를 했던 동기는(왕상 8:46-49)?
인간의 부패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었고,
이스라엘의 타락과 이로 인한 포로 생활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과거의 이스라엘 패역을 회고하면서 장래의 하나님의 공의의 심판을 우려했기 때문입니다.
성도는 우리가 살고있는 현실을 역사적인 안목으로 꿰뚫어 볼수 있어야 합니다.
성도들의 올바른 신앙 생활이란(왕상 8:61)?
하나님과 하나되어서 그분의 명령을 지키며 그 말씀대로 살아나가는 생활.
예수님은 나의 제자가 되려면 날마다 자기 십자가를 지고 자기를 부인하며 예수님을 좇는 생활을 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막8:34).
제사드리는 장면에서 눈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특징은(왕상 8:62-66)?
각 제사에 드린 제물이 넘쳐날 정도로 많았고, 백성과 왕이 서로에게 축복했음.
백성들의 제물이 넘치도록 많았던 것은 하나님 없이는 자신들의 존재가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깊이 인식한데서 비롯된 것이고,
서로에게 축복한 것은 서로 사랑하고 위하여 기도하며 살아야 하는 연약한 존재들이라는 것을 인식한데서 비롯된 행동으로 볼수 있습니다.
제사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왕상 8:62-65)?
구약의 제사에는 목적에 따라서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 등이 있고, 드리는 방법에 따라서는 화제, 거제, 요제, 전제가 있습니다.
구약의 제사는 창조주 하나님과 죄인인 인간이 원래 창조 상태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그 원인이 되는 죄를 해결하는 방법이었습니다.
화목제란 무엇인가(왕상 8:63)?
화목제는 하나님과 예배자 사이에 화목과 친교를 목적으로 하는 제사입니다. 여기에는 감사제, 서원제, 자원제가 있습니다(레3:1-17).
신약에서 이 제사는 그리스도를 통한 성도와 하나님과의 화평을 의미합니다(롬5:1).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과 인간의 교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친히 제물이 되셨습니다.
출처 : 갓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