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대자들의 음모에 가담한 제자는(눅 22:1-6)?
가룟 유다.
가룟 유다의 역할은 무리가 없을때를 틈타 예수님을 그들에게 넘겨주는 일이었습니다. 그들의 계획에 유다가 가담한 것은 그들에게 더없이 좋은 기회였습니다. 그러나 진리를 따르는 사람에게는 엄청난 죄악이었습니다. 하나님은 이런 모든 일을 섭리가운데 이끄셔서 구원 사역을 완성지으십니다.
유월절을 예비하시는 과정가운데 하나님이 교훈하시는 것은(눅 22:10-13)?
장래의 일을 아시는 하나님임을 알수 있음.
예수님의 최후와 관련된 모든 일은 영원전부터 하나님의 뜻대로 예정되어 있었으며,
예수님께서는 장래 일을 미리 아시고 계시는 하나님이심을 알수 있습니다.
최후의 만찬때 예수님께서 제정하신 제도는(눅 22:14-20)?
성만찬 예식.
성만찬이란 예수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를 나눔으로써 그리스도의 고난을 기념하고 하나님의 통치가 이루어질 것을 기다리며 살기로 결단하는 의식입니다. 이는 또한 그리스도가 재림하실때 하나님 나라의 백성들과 더불어 갖게될 메시야적 축연을 상징합니다.
떡과 잔이 상징하는 것은 무엇인가(눅 22:19,20)?
그리스도의 몸과 피.
이는 우리를 위하여 찢기고 흘리신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상징합니다. 이것을 먹고 마심으로써 우리는 그리스도와 연합하며 그리스도 고난의 의미를 되새기고 새로운 언약에 동참하는 것입니다.
유월절 식사후에 제자들 사이에 일어난 다툼은 무엇인가(눅 22:24-27)?
누가 크냐 하는 다툼.
이는 제자들이 예수님의 말씀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건입니다. 예수님은 고난과 죽음을 앞에 두고 계신데도 그들은 권세를 얻었을때의 논공 행상(論功行賞)에 빠져있었던 것입니다. 후에 그들은 예수님이 사로잡히자 모두 예수님을 버리고 달아났습니다.
하나님 나라에서 제자들에게 주어질 직위는 어떤 것인가(눅 22:28-30)?
나라를 맡아 열두 지파를 다스리게 하는 지위.
이 나라는 세상의 나라가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과 통치가 이루어지는 하나님 나라이며, 그들은 믿음으로 하나님의 백성이 된 자들을 다스리게 될 것입니다. 그 나라에서 다스리는 원리는 지배하고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섬기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겟세마네 기도의 특징은(눅 22:40-44)?
시험에 들지않기 위한 기도(눅 40절).
아버지의 뜻을 구하는 기도(눅 42절).
성령이 돕는 기도(눅 43절).
힘쓰고 애쓰는 기도(눅 44절).
간절한 기도(눅 45절).
솔직한 기도(눅 42절).
유다의 범죄는 구체적으로 무엇인가(눅 22:47, 48)?
적대자들을 데리고 예수께로 와서 예수님을 넘겨줌.
낮에는 예수님을 따르는 백성들 때문에 밤에는 예수님께서 감람산에 은신해 계셨기 때문에 적대자들은 예수님을 잡을수 없었습니다. 이때 유다가 예수님의 은신처를 그들에게 알려준 것입니다. 결국 그는 모든 범죄자의 모형이 되었습니다.
제자가 대제사장의 종의 귀를 칼로 쳤을때 예수님이 보이신 반응은(눅 22:50)?
떨어진 귀를 만져 낫게 하심.
주님은 자기를 잡으러온 무리들에게도 자비를 베푸셨습니다. 예수님은 이 싸움의 성격을 정확히 아셨던 것입니다. 그것은 칼로 싸우는 것이 아니라 순종과 섬김으로 싸우는 것입니다.
베드로가 예수님을 부인한 이유는(눅 22:54-62)?
인간은 그 본성상 누구나 다 연약한 존재이고(고전1:25),
죄를 범하지 않은 인간은 한명도 없고(롬3:10),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고 사람을 두려워할때 죄를 짓게 됩니다(아10:28).
그러나 성경은 베드로를 통해 죄를 범했다하더라도 즉시 회개해야 한다는 것을 가르칩니다(요일1:9).
닭울음 소리를 듣은 베드로의 행동은(눅 22:60-62)?
밖에 나가 심히 통곡함.
이는 회개의 눈물이었습니다. 베드로는 예수님의 말씀이 생각나서 곧 회개한 것입니다. 우리가 그릇된 길로 나갈때 주님의 말씀은 우리를 돌이켜 바른 길로 인도하십니다. 그러므로 주님의 말씀을 마음 깊이 새겨 늘 기억나도록 해야 합니다.
예수님은 무슨 죄로 재판을 받으셨나(눅 22:66-71)?
신성 모독죄.
그러나 예수님은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셨고 죄없으신 분으로 유대 지도자들의 모함에 의해 그리고 로마 총독의 잘못된 판결로 인해 무고하게 처형되신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 사건을 가장 고귀한 대속의 사건으로 삼으셨습니다.
예수님의 심문 절차는(눅 22:54-23:25)?
① 대제사장의 심문(눅22:54).
② 산헤드린의 공회심문(눅22:66).
③ 빌라도의 1차 심문(눅23:1).
④ 헤롯의 심문(눅23:7).
⑤ 빌라도의 2차 심문(눅23:11).
⑥ 빌라도의 판결(눅23:24).
출처 : 갓피플
'누가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누가복음 24장 (0) | 2012.07.19 |
---|---|
[성경 QA자료] 누가복음 23장 (0) | 2012.07.19 |
[성경 QA자료] 누가복음 21장 (0) | 2012.07.19 |
[성경 QA자료] 누가복음 20장 (0) | 2012.07.19 |
[성경 QA자료] 누가복음 19장 (0) | 201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