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이 떠난 예루살렘
[예레미야애가 4장 1절~10절]
1절 - 슬프다 어찌 그리 금이 빛을 잃고 순금이 변질하였으며 성소의 돌들이 거리 어귀마다 쏟아졌는고
2절 - 순금에 비할 만큼 보배로운 시온의 아들들이 어찌 그리 토기장이가 만든 질항아리 같이 여김이 되었는고
3절 - 들개들도 젖을 주어 그들의 새끼를 먹이나 딸 내 백성은 잔인하여 마치 광야의 타조 같도다
4절 - 젖먹이가 목말라서 혀가 입천장에 붙음이여 어린 아이들이 떡을 구하나 떼어 줄 사람이 없도다
5절 - 맛있는 음식을 먹던 자들이 외롭게 거리 거리에 있으며 이전에는 붉은 옷을 입고 자라난 자들이 이제는 거름더미를 안았도다
6절 - 전에 소돔이 사람의 손을 대지 아니하였는데도 순식간에 무너지더니 이제는 딸 내 백성의 죄가 소돔의 죄악보다 무겁도다
7절 - 전에는 존귀한 자들의 몸이 눈보다 깨끗하고 젖보다 희며 산호들보다 붉어 그들의 윤택함이 갈아서 빛낸 청옥 같더니
8절 - 이제는 그들의 얼굴이 숯보다 검고 그들의 가죽이 뼈들에 붙어 막대기 같이 말랐으니 어느 거리에서든지 알아볼 사람이 없도다
9절 - 칼에 죽은 자들이 주려 죽은 자들보다 나음은 토지 소산이 끊어지므로 그들은 찔림 받은 자들처럼 점점 쇠약하여 감이로다
10절 - 딸 내 백성이 멸망할 때에 자비로운 부녀들이 자기들의 손으로 자기들의 자녀들을 삶아 먹었도다
* 주제별 목록 작성
예루살렘 함락 당시의 참상(1)
2절 : 귀한 젊은이들이 질항아리같이 대접받음
4절 : 젖먹이가 목말라서 혀가 입천장에 붙음
5절 : 부유하여 맛있는 음식을 먹던 자가 길거리에서 구걸함
10절 : 자비로운 부녀가 자신들의 자녀를 삶아 먹음
* 도움말
1. 타조(3절) : 타조는 탐욕스럽고 폭식하는 존재의 대명사이다. 특히 본문에서는 알을 낳고도 그 알을 돌보지 않을 정도로 ‘애정이 없고 무관심한 존재’를 상징한다.
2. 붉은 옷…거름더미(5절) : 여기서 ‘붉은 옷’은 왕이나 귀족이 착용하던 고급스럽고 고귀한 옷을, ‘거름더미’는 비참하고 천한 상태를 나타낸다. 유다는 과거의 화려함을 뒤로한 채 결국 포로가 되어 비참한 상황을 맞게될 것을 시사한다.
3. 자녀들을 삶아(10절) : 기근의 정도가 극심할 것이고, 그 결과 인륜조차도 무참히 짓밟히게 될 것을 시사하는 표현이다.
* 말씀묵상
1. 비천해진 예루살렘 성의 참상
선지자는 예루살렘 성의 멸망을 슬퍼하면서 “금이 빛을 잃고 순금이 변질하였으며”(1절) 하고 탄식했습니다. 예루살렘의 영광이 이방인들의 침략으로 퇴색되었다는 뜻입니다. 또한 예레미야는 보배로운 순금에 비하여야 할 시온의 아들들이 토기장이가 만든 질항아리같이 여김이 되었음을 탄식했습니다(2절). 즉 토기장이가 질항아리를 던져 깨뜨림같이 이스라엘 청년들은 바벨론 군대에 의해 죽임을 당해야 했던 것입니다. 젖먹이가 목이 말라서 혀가 입천장에 붙고 어린아이가 떡을 구하나 떼어 줄 사람이 없다고 하였습니다(4절). 이는 예루살렘의 기근이 얼마나심각했는지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계속해서 부유했던 자가 몰락하여 거지와 같은 신세가 되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5절). 한편 예레미야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악이 소돔의 죄악보다 무겁다고 했는데, 이는 예루살렘에 임한 재앙이 소돔에 임하였던 것보다 중함을 뜻하는 것입니다(6절).
2. 기근으로 인한 예루살렘 성의 참상
선지자는 예루살렘에서 칼에 죽은 자가 주려 죽은 자보다 나음은 토지 소산이 끊어지므로 점점 쇠약하여 감이라고 말했습니다(9절). 칼에 죽은 자의 고통은 잠시뿐이지만 굶주려 죽은 자의 고통은 더욱 심하였던 것입니다. 이는 예루살렘에 임한 재앙이 죽음보다 더한 고통이었음을 알려줍니다. 예레미야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멸망당할 때 자비로운 부녀가 자기들의 손으로 자기들의 자녀를 삶아 먹었다고 증거하였습니다(10절). 이는 예루살렘에 임한 심판의 극치를 보여줍니다. 악한 자도 아닌 자비로운 부녀가 자신의 자녀를 삶아 먹을 정도로 극도에 달한 굶주림이 인간의 인격을 파괴하였던 것입니다. 인간은 하나님의 보호 아래에 있을 때만이 인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도움질문]
* 본문 관찰
1. 본문에서 예루살렘 함락 당시의 참상에 대한 내용을 찾아 살펴보십시오(주제별 목록 작성 참조).
2. 예레미야 선지자는 예루살렘의 죄가 어디의 죄악보다 무겁다고 하였습니까?(6절)
* 깊은 묵상
1.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보호하심을 외면했을 때 극심한 고통을 당했습니다. 여러분의 삶 가운데에는 하나님의 보호하심이 있습니까?
2. 하나님의 영광이 떠나면 순금과 같은 존재도 한낱 질항아리같이 취급받게 됩니다. 여러분의 삶에 하나님의 영광이 머물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묵상해보십시오.
제공:프리셉트
'예레미야애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복을 비는 눈물의 간구 (애 5:1~22) (0) | 2013.05.08 |
---|---|
황폐함 속의 소망 (애 4:11~22) (0) | 2013.05.08 |
하나님을 향한 호소 (애 3:55~66) (0) | 2013.05.08 |
민족적 회개에 대한 권고 (애 3:40~54) (0) | 2013.05.08 |
구원의 소망 (애 3:19~39) (0) | 201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