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헤미야가 레위인들을 성문 지키는 자로 뽑은 이유는(느 7:1)?
당시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이 예루살렘 인구의 반수 정도를 차지했었고,
성전문 지키는 임무를 레위인들이 잘 감당해 왔기 때문입니다(대상9:17-22).
여기에서 교훈하는 점은 하나님의 일꾼들은 성공과 승리가 주어져도 방심하지 말고 근신하여 깨어있어야 하고, 하나님께서 베풀어주신 은혜를 잘 간직해야 하며, 맡은바에 충성하고(고전4:2) 누구보다 하나님을 경외함에 있어서 탁월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1차 귀환자들의 귀환은 언제 이루어졌나(느 7:5-73)?
고레스 왕 칙령으로 B.C. 537년(스1:1-4).
고레스는 바벨론을 멸망시키고(B.C. 539) 메대와 바사의 왕이 되었던 그 첫해에 유대 백성들이 가나안으로 귀환할 것과 성전을 재건할 것을 명했습니다.
이는 고레스 왕이 하나님의 손에 붙들려 하나님의 구원 사역을 이루어나가는 도구임을 가르쳐줍니다.
인구 조사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느 7:7)?
무슨 일을 하든지 하나님의 감동과 인도하심을 따라야 한다는 것.
성도들의 이름은 하나님의 생명록에 기록되기 때문에 그 어떤 악의 세력도 우리에게서 구원과 영생의 축복을 빼앗지 못합니다.
느헤미야가 귀환자들의 명단과 숫자를 파악하게 된 것은 하나님께서 그의 마음을 감동시키셨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에게 있어서의 족보의 의미는(느 7:7)?
하나님의 은혜를 보장해주고,
하나님의 통치하심 속에서 평안과 기쁨을 느끼게하는 확실한 소망이요, 증거입니다.
이 족보에 기록된 사람은 생명책에 기록된 자로서 한사람도 빠짐없이 ‘새 예루살렘’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계20:11-21:4).
제 1차 귀환자들의 인구를 조사한 이유는(느 7:8-73)?
관리 및 책임자를 임명하여 명실공히 독립국가를 이룩하기 위해서.
순수한 이스라엘 혈통을 확인하기 위해서.
여기에 기록된 명단은 스바냐 2:1-69의 명단과 거의 유사합니다.
계보에서 누락된 자는 어떻게 되는가(느 7:61, 62)?
이스라엘의 거룩한 회중에 들지 못함.
이들은 이방 사람들과 결혼하여 그들의 피에 이방인들의 피가 섞였으므로 그 신분이 불확실하게 된 자들이었습니다.
출처 : 갓피플
'느헤미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QA자료] 느헤미야 9장 (0) | 2012.05.28 |
---|---|
[성경 QA자료] 느헤미야 8장 (0) | 2012.05.28 |
[성경 QA자료] 느헤미야 6장 (0) | 2012.05.28 |
[성경 QA자료] 느헤미야 5장 (0) | 2012.05.28 |
[성경 QA자료] 느헤미야 4장 (0) | 2012.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