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모사의 대결
[사무엘하 17장 5절~14절]
5절 - 압살롬이 이르되 아렉 사람 후새도 부르라 우리가 이제 그의 말도 듣자 하니라
6절 - 후새가 압살롬에게 이르매 압살롬이 그에게 말하여 이르되 아히도벨이 이러이러하게 말하니 우리가 그 말대로 행하랴 그렇지 아니하거든 너는 말하라 하니
7절 - 후새가 압살롬에게 이르되 이번에는 아히도벨이 베푼 계략이 좋지 아니하니이다 하고
8절 - 또 후새가 말하되 왕도 아시거니와 왕의 아버지와 그의 추종자들은 용사라 그들은 들에 있는 곰이 새끼를 빼앗긴 것 같이 격분하였고 왕의 부친은 전쟁에 익숙한 사람인즉 백성과 함께 자지 아니하고
9절 - 지금 그가 어느 굴에나 어느 곳에 숨어 있으리니 혹 무리 중에 몇이 먼저 엎드러지면 그 소문을 듣는 자가 말하기를 압살롬을 따르는 자 가운데에서 패함을 당하였다 할지라
10절 - 비록 그가 사자 같은 마음을 가진 용사의 아들일지라도 낙심하리니 이는 이스라엘 무리가 왕의 아버지는 영웅이요 그의 추종자들도 용사인 줄 앎이니이다
11절 - 나는 이렇게 계략을 세웠나이다 온 이스라엘을 단부터 브엘세바까지 바닷가의 많은 모래 같이 당신께로 모으고 친히 전장에 나가시고
12절 - 우리가 그 만날 만한 곳에서 그를 기습하기를 이슬이 땅에 내림 같이 우리가 그의 위에 덮여 그와 그 함께 있는 모든 사람을 하나도 남겨 두지 아니할 것이요
13절 - 또 만일 그가 어느 성에 들었으면 온 이스라엘이 밧줄을 가져다가 그 성을 강으로 끌어들여서 그 곳에 작은 돌 하나도 보이지 아니하게 할 것이니이다 하매
14절 - 압살롬과 온 이스라엘 사람들이 이르되 아렉 사람 후새의 계략은 아히도벨의 계략보다 낫다 하니 이는 여호와께서 압살롬에게 화를 내리려 하사 아히도벨의 좋은 계략을 물리치라고 명령하셨음이더라
* 주제별 목록 작성
아히도벨의 모략에 대한 후새의 지적
8절 : 아히도벨이 지나치게 다윗과 그의 군사를 과소평가한 점 / 다윗이 백성과 함께 자지 아니할 것이라는 점
9-10절 : 다윗을 못 찾은 채 압살롬 군인 몇이 죽을 경우 전세가 다윗에게로 완전히 역전될 것이라는 점
* 도움말
1. 병법에 익은 사람(8절) : 문자적으로는 ‘전쟁의 사람’이란 의미를 가진다. 즉 수많은 전투를 경험한 자요, 필승의 전술을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극찬의 말이다.
2. 저상하리니(10절) : 기본 의미는 ‘녹다’, ‘흘러내리다’, ‘야위다’이며, ‘무기력해지다’, ‘겁쟁이가 되다’, ‘낙담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3. 단 … 브엘세바까지(11절) : 팔레스틴 최북쪽 지방(단)에서부터 최남단 지방(브엘세바)을 뜻하는 말로, ‘가나안 전역’을 칭하는 관용적인 용어이다.
* 말씀묵상
파병에 관한 적절한 모략을 구하는 압살롬에게 아히도벨은 다윗의 약세를 내세워 즉각적인 공격을 주장하고, 후새는 다윗의 우세를 내세워 신중론을 제시합니다.
1. 후새의 모략
후새는 다윗을 위기에서 구하기 위해 압살롬에게 아히도벨의 전략이 지닌 허점을 지적합니다. 즉 다윗은 병법에 능하고(8절), 압살롬의 군사가 몇 사람 전사해도 악의에 찬 선전으로 인하여 용사들의 사기가 저하될 터이니(10절) 함부로 나서는 것은 위험하며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윽고 후새는 아히도벨의 전략을 비판하며 자신의 대안을 제시합니다. 그것은 각 지파에서 국민병을 모집하여 압살롬이 총사령관이 되어 진두 지휘를 하는 것입니다(11절). 이것은 속전속결로 전세를 단번에 뒤엎으려는 아히도벨의 전략과는 정반대로 많은 시간을 요하는 일종의 지연 전술이었으며, 다윗에게 시간을 벌게 하려는 저의가 깔려 있었습니다. 압살롬은 이러한 후새의 아부에 넘어가 정확한 판단력을 잃고 감정적인 결단을 내리게 됩니다. 물론 그 배후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역사가 있었음을 14절은 분명히 증언하고 있습니다.
2. 여전한 하나님의 손길
하나님은 전에 아히도벨의 모략을 어리석게 해달라는 다윗의 짤막한 기도(15:31)에 응답하셨습니다. 지금 압살롬 앞에서 다윗의 기도를 이루어가는 자는 후새로 보입니다. 그러나 압살롬의 마음이 후새의 제안에 쏠리도록 하신 분은 하나님입니다. 압살롬과의 힘겨운 싸움이 비록 다윗의 죄에 기인한 것이었지만, 하나님은 다윗 자체를 파멸시키는 데 관심이 있지 않으셨기에 다윗을 향하여 구원의 손길을 펴십니다. 우리가 여전히 살아 있다는 그 자체가 어쩌면 하나님의 인자와 자비의 무궁함을 반영하는 단적인 증거라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마르지 않는 인애를 얼마나 절실하게 느끼며 살아가십니까?
[도움질문]
1. 후새의 모략 가운데에는 다윗에 대한 영웅적인 설명이 많습니다. 다윗을 은연 중에 찬양하는 부분들을 찾아보십시오.
2. 압살롬과 온 이스라엘 사람들이 후새의 모략에 손을 들어주는 결정적인 힘은 무엇입니까?(14절)
3. 14절을 묵상하면서 어떠한 하나님의 성품을 느끼게 됩니까?
제공:프리셉트
'사무엘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父子)의 결전 (삼하 17:26~18:8) (0) | 2013.11.19 |
---|---|
압살롬의 좌절된 계획 (삼하 17:15~25) (0) | 2013.11.19 |
후새의 공작과 아히도벨의 모략 (삼하 16:15~17:4) (0) | 2013.11.15 |
광야 길의 간계와 저주 (삼하 16:1~14) (0) | 2013.11.15 |
위기에 대처하는 다윗 (삼하 15:24~37) (0) | 2013.11.15 |